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공포로 오염된 빈 공간 - 존 카펜터의 <할로윈>을 중심으로 -
  • 저자명|계영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존 카펜터, 할로윈, 빈 공간, 페티시, 두려운 낯설음, 죽음 본능.

국문초록

전시적인 이미지와 그리고 살인마와 피해자의 쇼트와 역쇼트를 통한 공포의 극대화는 무수히 많은 슬래셔 영화들에서 지켜온 관습이다. 그런데 존 카펜터(John carpenter)의 <할로윈>(1978) 속 장르 관습은 동시대 슬래셔 영화들과 분명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 영화에는 전시적인 이미지가 부재하며 나아가 쇼트와 역쇼트를 통한 공포는 살인마와 피해자의 교차가 아닌 빈 공간을 중심으로 ‘있다-없다’의 교차를 통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형태를 기준으로 삼아 크리스티앙 매츠(Christian Metz)의 페티시즘(Fetishism)에 관한 연구에 기대어 빈 공간에 깃든 모호함을 거세공포의 원리에서 살펴본다. 살인마가 제시되는 ‘있다-없다’의 쇼트는 페티시의 체계를 만들어 물리적으로 비어있는 빈 공간을 보는 관객들에게 정신적으로 살인마를 존재하게 만든다.

또한 영화 속 작동하는 페티시의 체계를 통해 관객들이 빈 공간을 보며 끊임없이 부재하는 살인마를 상기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할로윈>의 살인마가 지닌 특징과 영화에서 살인마를 포착하는 형태를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두려운 낯설음(Uncanny)이란 정서를 통해 살펴본다. 살인마가 지닌 두려운 낯설음은 그가 공간에 분명히 존재하는 순간까지 자신의 존재감을 불명확하게 만드는데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살인마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가면의 결여된 눈이 발생시키는 두려운 낯설음에 집중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결여된 눈은 거세공포의 변형된 기표라고 하는데 본 연구는 이를 빈 공간에 내재된 페티시 표상으로 바라보며 살인마가 지닌 존재의 불명확함의 원인을 시선의 결여(lack)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페티시의 빈 공간을 보며 상기하게 되는 살인마의 존재 또한 부재의 영역으로 편입된다는 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페티시를 발생시킨 거세 공포를 응시의 차원으로 바라보며 <할로윈> 속 빈 공간을 포착한 쇼트가 반복적으로 오인을 발생시켜 관객들에게 불안을 자아낸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불안은 영화 속 빈 공간을 전지적 시점 쇼트인지 혹은 시점 쇼트인지와 같은 지각의 분열을 촉발시켜 빈 공간에 두려운 낯설음을 파생시킨다.

또한 <할로윈>에서 어둠과 공간의 배경 속에 불명확하게 제시된 살인마의 모습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이를 살인마를 포착했다고 보기에도 모호하며 빈 공간을 포착했다고 보기에도 모호하다는 사실에 기인해 불명확하게 제시된 살인마의 모습을 ‘중첩 이미지’의 형태로 바라본다. 영화에서 반복적으로 제시된 중첩 이미지는 마지막 단일 쇼트로 제시된 빈 공간에까지 영향을 미쳐 빈 공간을 중첩 이미지의 흔적을 자아내는 공간으로 만들어 낸다는 사실에 주목해 빈 공간에 내제된 두려운 낯설음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빈 공간을 페티시와 두려운 낯설음이라는 이상감각이 아닌 본능의 영역으로 바라보며 프로이트의 포르트-다(fort-da)를 통해 연구한다. <할로윈>의 반복적인 ‘있다-없다’ 쇼트의 종착지가 언제나 빈 공간이라는 점은 반복강박이 복원하는 죽음본능(Thanatos)의 원리를 상기시킨다. 본 연구는 반복 강박의 원리를 통해 빈 공간이 복원하는 것이 살인마의 존재감이 아닌 인간 본연의 상실감인 죽음 본능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으로 바라보며 빈 공간에 깃든 공포를 연구한다.

영문초록

The maximization of fear through bloody display of violence and shot/reverse-shot of victims and murderers make up the conventions of slasher films. With no direct depiction of violence, Halloween(1978), directed by John Carpenter, does not follow these conventions. The usual shot/reverse-shot composition is often replaced by the reaction shot of the potential victim following or followed by an empty shot that functions as false alarms.

Taking Christian Metz’s discussion on fetishism as the point of departure, this study analyzes the ambiguity of empty space through the principle behind the fear of castration that Sigmund Freud lays down as the foundation for the reciprocal desire. Carpenter’s repetitive use of the empty shots reproduce the system of fetish, as they render the murderer’s presence in the diegesis through perceived absence. Focusing on the fact that spectators constantly recall the absent murderer by looking at the empty space, this paper then incorporates Freud's notion of the uncanny to investigate the patterns through which the murderer is depicted.

There are three types of fear associated with absence in Halloween. First, the lack or invisibility of the murderers’ eyes behind the mask symbolically reverberates the unsettled clarity of the visible field that the potential victim perceives. According to Freud, lack of eyes is a altered signifier of the fear of castration. Through this fact, it is analyzed that the existence of the murderer reminded by the empty space of fetish is also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absence.

Also approaching the castration fear that caused fetish in a dimension of gaze, this paper recognizes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shots capturing empty space is uncertain and further discusses the anxiety inherent in the empty space. This anxiety provides empty spaces uncanniness by arousing uncertainty that makes the audience unable to tell whether the features of empty spaces, presented in single shots, are shown as an omniscient viewpoint or a first-person viewpoint.

Not only that, but this article also focuses on the image of the murderer, presented vaguely inside dark spaces. in this study view this not only as a single image but also as an overlapped image,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ambiguous to define whether the image is focused on the murderer or the empty space itself. Overlapped images, presented repeatedly over the film, influences the last shot of the empty space, shown as a single shot, and makes the empty space a place where traces of overlapped images remain. This article aims to view these traces of overlapped images in the empty space through the principles of fetishism, and to examine the fear injected into the empty space, focusing on the uncanniness aroused from the ambiguity of overlapped images.

Finally, empty space is explored through Freud's Fort-da and Thanatos, considering it as an area of instinct, not as a dysesthesia of fetish and uncanny. The fact that the destination of ‘murderer-victims’ shots repeatedly shown in ‘Halloween’ is always the empty space serve as a reminder of Thanatos principle, reconstructed by repetitive obsession. This article uses the principle of repetitive obsession to research about the fear that lie inside the empty spac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what the empty space reconstructs may be the Thanatos, which is the instinctive sense of loss, rather than the presence of the murderer.

비고 : MCA-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