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주체의 재구성과 우발적 마주침의 가능성 - 페드로 코스타의 <반다의 방>을 중심으로 -
  • 저자명|정일건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반다의 방, 페드로 코스타, 다큐멘터리, 관찰, 루이 알튀세르, 우발성

국문초록

픽션과 논픽션의 ‘구분’은 전통적으로 다큐멘터리의 객관성과 진실됨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시네마베리테(cinema?verite)와 다이렉트 시네마(American Direct Cinema)는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현실을 살아가는 ‘주체’와 구성된 ‘역할들’ 사이에서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주체에 관한 질문을 드러낸다. 스스로를 연기하는 데 몰입하고 있는 인물 주체는 픽션인가, 논픽션인가. ‘참여’와 ‘관찰’은 주체의 분리, 연기, 상호작용과 역할을 통해 인물 주체를 재구성하는 방식이다. 주체들의 ‘분리’와 ‘역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관찰’은 ‘참여’와 다르지 않다.

페드로 코스타(Pedro Costa)의 <반다의 방>(No Quarto Da Vanda, 2000)은 ‘관찰 카메라’가 포함하고 있었던 인물 주체의 분리와 연기, 상호작용과 역할을 기반으로 픽션과 논픽션의 구분을 해체하는 작품이다. <반다의 방>의 ‘관찰 카메라’는 브레히트의 내적 ‘거리두기(Verfremdungseffekt)’의 방식으로 인물 주체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 논문은 <반다의 방>의 인물 주체들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하면서, ‘극장’을 암시하는 ‘방’의 역할과 그 속에서 작동하는 ‘우발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루이 알튀세르의 ‘호명이론’과 ‘우발성 유물론’에 따르면, <반다의 방>의 ‘관찰 카메라’는 ‘우발적인 마주침’을 통해 주체의 ‘탈이데올로기적’ 재구성을 수행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The ‘distinction’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has been perceived as an essential criterion that ensures the objectivity and veracity of documentary films. The cinema verite movement and the American direct cinema movement, however, raised important questions on the layered functions of the participating subjects, creating tension between their constructed roles and their daily personas, instead of assumingly depicting them “as they are.” Not unlike the participatory or interactive modes of documentary-making, the observatory camera thus revoked, rather than revealed, the identities of the subjects.

Pedro Costa’s No Quarto Da Vanda(In Vanda’s Room, 2000) unsettles the distinction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based on separation and acting, interactions, and roles of subjects through the observatory camera. The observatory camera in No Quarto Da Vanda reconstructs the filmed subject by creating the inner distantiation(Verfremdungseffekt) in the Brechtian sense. In analyzing the ways the subject is reconstructed,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room as an allegorical space for ‘the theatre.’ Applying Louis Pierre Althusser’s concepts of ‘the interpellated subject’ and ‘the encounter’(Materialismus der Begegnung), I look at the ways the observatory camera attends to reconstruction the ‘post-ideological’ subject through the accidental encounters.

비고 : MCA-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