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문화매개자로서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웹 이후, 아마추어 비평의 발전과 영화비평 문화의 변화
  • 저자명|김지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문화매개자, 아마추어, 영화비평, 영화 블로거, 블로그, 문화매개활동, 온라인 비평, 영화문화, 무임노동, 부르디외/ cultural intermediaries, amateur, amateur film criticism, film criticism blogger, blogger,

국문초록

이 연구는 웹 이후 아마추어 비평의 발달로 인한 문화적 변동에 주목하여 블로그를 중심으로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문화적 실천이 영화비평문화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보고자 했다. 누구나 자유롭게 비평을 생산하고 출판할 수 있어 새로운 비평공간으로 주목받는 블로그에서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활발한 비평활동은 전문가의 입지를 위협하며 실질적인 비평권력의 분점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블로그에서 활동하는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역할과 기능, 그 사회문화적 효과를 탐구하고자, 이 글은 부르디외 이후 문화연구와 문화사회학에서 발전해 온 ‘문화매개자’ 개념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온라인에서의 문화매개 활동을 통해 경제자본이나 상징자본을 축적하려는 전문적인 수준의 비평주체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가를 이해하고, 그 문화적 실천의 구체적 함의를 연구를 통해 묘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등장배경’,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정체성과 비평전략’, ‘문화경제 내에서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위치’라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블로그라는 공간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들에 주의를 기울이며 문화매개활동으로서 이들의 비평활동이 갖는 효과와 기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제 블로그에서 활발하게 비평활동을 펼치고 있는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기본으로 하여, 이들의 비평활동에 대한 온라인에서의 참여관찰과 관련된 전문가 인터뷰, 영화기자 경력을 지닌 연구자 본인의 자기기술 등을 다각측정법의 차원에서 시도하였다. \r\n\r\n먼저 첫 번째 연구문제인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등장배경’과 관련해서는 PC통신으로부터 블로그에 이르는 사이버 영화비평 미디어의 발달과정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축적되고 발전된 영화글쓰기의 기술과 전략이 오늘날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에게 계승되었다는 점, 당시 놀이(게임)를 통해 발전한 또래문화의 영향력, 영화광 세대론과의 관련성 등을 지적하였다. 블로그 서비스의 기술적 발전에 따른 이용형태의 분화가 참여자들의 세대별 특성과 연결되어 각각의 비평성향과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역시 이와 관련되어 설명하였다.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정체성과 비평전략’은 문화매개자로서 그 역할과 기능, 사회문화적 효과를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의 영화비평가로서의 자기인식과 비평신념을 살펴본 후, 다른 비평주체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지를 각각의 비평전략에 대한 분석과정에서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아마추어’로서의 비평신념과 비평가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로 인한 비평가로서의 특성이 다른 비평주체들과의 ‘구별짓기’ 과정에서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블로그라는 새로운 비평공간에서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와 경쟁하는 비평주체는 전문가 외에도 다른 아마추어, 다중 등 다원화되어 있었는데, 명성을 얻기 위한 상징투쟁의 과정에서 이들 각각은 스스로를 다른 비평주체와 구별짓기 위해 다양한 비평전략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 연구자는 아마추어 비평텍스트의 특성과 독자관리의 전략, 비평텍스트와 대중미학(혹은 영화 취향)과의 관계, 하위문화와 비주류장르에의 주목도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문화매개활동으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의 효과를 다른 비평주체들의 그것과 비교하려는 의도에서였다. 마지막으로, ‘문화경제 내 아마추어 영화비평가의 위치’가 문화매개에서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관심’이 곧 명성, ‘파워’이자 권력이 되는 관심경제의 장으로서 블로그가 지닌 특성을 살펴본 후, 이러한 관심경제의 메커니즘이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들의 비평활동에 기여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해 ‘1인 미디어’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가 제도화되는 문제와 아마추어 영화비평의 상업화와 속물화 문제 등을 검토하였고, 포털이나 IT, 언론사와 영화사 등의 여러 문화산업과의 복잡한 이해관계에서 이들의 비평활동이 ‘무임’의 노동으로 착취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r\n\r\n이 논문은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의 비평을 통한 문화적 실천을 문화매개활동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비평활동이 갖는 문화적 함의를 비평가로서의 정체성과 비평신념과 같은 미시적인 수준에서, 다른 비평주체들과 구별짓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공모, 나아가 문화경제 내에서의 사회적 위치로 인한 노동 문제 등 거시적인 수준으로까지 확장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최근의 문화연구나 문화사회학에서 ‘참여문화’의 확대나 ‘문화권력의 변동’과 관련해 그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론적 개념화를 시도하였던 ‘온라인 문화매개자’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접근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초록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hanges that cultural practices of film critics have brought on film criticism culture by focusing on cultural chan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amateur criticism after the web. Vigorous criticism activities of amateur film critics on the blog,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criticism space because anyone can produce and publish criticism freely, are threatening\r\nexpert's position and leading out actual critical power. To explore roles and function of amateur film critics in blogs and its socio-cultural effects, this study used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mediaries,' which had been developed in cultural studies and cultural sociology after Bourdieu, as a theoretical framework. It intended to understand the amateur film critic as a principal criticism of professional level, which tends to accumulate economic capital or symbolic capital, through cultural mediating activities online, and to describe specific implications of its cultural practices through research.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problems, such as 'advent background of amateur film critics 'identity of amateur film critics and criticism strategy,' and 'standing of amateur film critics within the cultural economy,' were set, and described in detail about the effects and functions of these criticism activities as cultural mediating activiti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space, called blog. In-depth interviews on 'amateur film criticism bloggers' who are actively engaged in critical activities in actual blogs were conducted, and expert interviews related to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nline on their criticism activities and self-description of the researchers with movie news career, were attempted in multiple measurement aspect. First,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hich is related to the 'advent background of amateur film critics,' was inquired by investing the development background of cyber film criticism media from PC communication to blogs, and by doing this, how accumulated and developed technology and strategy of movie writing has been a succeeded to the amateur film criticism bloggers of today, the influence of developed peer culture by play(game) at the time, and relationship with moviegoer generations were pointed out. How differentiation of usage forms by technological advances of blog service affecting the critical inclination and strategy by being associated by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as also explained in this regard. 'Identity and review strategy of amateur film critic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opic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roles, functions, and social and cultural effects as cultural intermediaries. For this purpose, after inquiring the self-awareness of amateur film criticism bloggers as film critics and criticism beliefs, they were compared in the analysis process of each criticism strategy of how it is different from other criticism principals. Specifically, criticism belief as an 'amateur' and criticism sight were inquired, and intended to determine how characteristics as a critic makes contribution in the process of 'distinction' with other criticism principals. The criticism principal, who is competing with amateur film critics in a new space of criticism, called the blog, is pluralistic, such as expert, amateur, and mixed, and they had been using a variety of criticism strategie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 subjects of criticism in the process of symbolic struggle to gain fame.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amateur review text and strategies of reader man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view text and popular aesthetic(or movie taste), and problems of an attention of sub-culture and visual genre. The intention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amateur film criticism as cultural intermediaries with other criticism principals. Lastly, the effect of 'the standing of amateur film critics in cultural economy' on culture parameters was analyzed. After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 blog as a chapter of attention economy, where 'interest' becomes fame, 'power' and authority, the effect which contributes to the review activity of amateur film criticism bloggers was reviewed. In this regard, problems of amateur film criticism bloggers being institutionalized as the 'single person media' and commercialization of an amateur film criticism were examined, and possibilities of their criticism activities being extorted as the 'free-labor' in complex understanding relationships with various cultural industries, such as portal or IT, media, and motion picture, were critically discussed. This thesis understood cultural practices through the criticism of amateur film criticism bloggers as cultural mediating activities,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ir review activities were analyzed by extending them from conflict and conspiracy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other criticism principals to the macro level, such as labor issues due to the social position, in micro-level, such as identity and criticism beliefs as critics. This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it being a practical and concrete approach on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who attempted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s, by underlining their importance related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participation' or 'fluctuations of cultural pare.'

비고 : MVC-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