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체험관광마을의 출현과 전개에 따른 마을공간과 행위자의 변화 연구
  • 저자명|김예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체험관광마을, 농촌 어메니티, 사회와 제도, 관광객과 정주민, 농촌 정책, 체험/ rural tourism village, rural amenity, society and institution, tourists and residents, rural policy, experience economy

국문초록

이 글은 2000년 이후 전국적인 차원에서 농촌이 체험관광마을로 변화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출발한다. 체험관광은 농촌의 다면적인 가치(amenity)를 바탕으로 도시민과 농촌마을주민의 교류형태로 추진되는 체류형 여가활동을 의미한다. 2000년을 전후하여 사회·문화적으로 농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들이 증가하고, 체험관광마을이 제도적으로 활성화되면서 많은 수의 농촌 마을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노무현 정부의 ‘농업·농촌 종합대책’에 따라 2017년까지 전국에 1000개가 넘는 체험마을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라 농촌 공간은 물론 정주민들이 모습이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체험관광(마을)은 정부의 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도시민 그리고 마을주민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그런데 농촌 관광화는 농촌의 장소성(locality)을 상품으로 치환시키려는 계획이기 때문에 정주민과 정주민의 삶이 배태된 농촌 공간을 특정한 힘의 방향성에 따라 배치하고 조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변화된 농촌의 모습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체험관광의 가장 중요한 주체들-정부, 도시민, 주민-의 관계망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마을주민을 매개로 정부(제도적 논리)와 도시민이 조응하면서 형성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마을개발사업의 함의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체험관광으로 인한 변화의 중심에 있다고 여겨지는 마을지도자와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하되, 풍부한 논의를 위해 체험관광사업에 참여했던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r\n\r\n연구결과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되었다. 우선 정부의 제도적 논리가 농촌 사회에 적용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제도적 효과를 살펴보고, 외부의 인풋(input)이 강조될 때 마을내부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농촌개발에 대한 정부와 지역민의 상이한 기대와 기준은 두 주체 사이의 갈등을 가져온다. 먼저 농촌지역개발은 외생적 자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지역의 내생적 발전구조를 붕괴시키고 정부에의 의존성을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정부와 마을주민 모두 시장개방으로 인한 농업의 구조적 위기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지만, 정부는 체험관광마을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발전주의적’인 사업화 논리를 지역에 적용하여 최대한 빨리 경제적 효과를 얻고 싶어 한 반면 지역주민은 사업의 내용자체보다는 개인의 이득에 관심을 갖았기 때문에 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한 마을 주민들이 사업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부와 외부전문가를 통해 이루어진 마을개발은 전국의 마을들을 제도적으로 동형화(Institutional Isomorphism)시켰으며, 지자체간 경쟁을 유발하여 농촌지역 개발이 정치적으로 이용되게 하였다. 이처럼 국가주의적 압박이 가해질 경우, 내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을 나타냈다. 농촌과 같이 사회적 자본에 의존하는 사회에서는, 외부의 위기에 대응하여 사회적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런데 마을 사업이 실제로 이루어질 경우 합리적인 개인은 최소한의 노력을 통해 최대의 이익을 얻고자 할 것이기 때문에 ‘집합행동의 딜레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무임승차와 같은 문제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공동체 내부의 상호신뢰와 호혜성의 규범이 요구된다. 한편, 마을 내부의 인력 부족과 책임회피로 인해 마을의 사업을 모두 책임지고 운영하는 ‘슈퍼맨 지도자’가 출현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농촌체험에 참여하는 방문객과 마을주민 사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관찰되었다. \r\n\r\n우선, 마을주민들은 도시민이 농촌에 기대하는 이미지나 가치들을 예상하고, 전략적으로 사업에 임하였다. 이들은 마을의 장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거나, 농촌의 상징경관이나 집촌경관을 ‘농촌다운’ 모습으로 꾸미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심상품(prime commodity)을 개발하여 ‘차별’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을 만족시키고자 하였다. 한편, 체험관광은 농외소득을 증대시키고 정체되었던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는 등 마을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한다. 또한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농촌에 팽배하였던 무력감과 좌절감이 회복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관광이 농촌을 특정한 기호로 소비하게 하기 때문에 재생산된 공간이 실제(lived)세계와 갈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둘 사이에 합리적 거래는 이루어지기 힘들며, 마을 주민들은 농촌 관광이 지닌 상업적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는 체험객들에게 ‘희생’을 요구받기도 한다. 체험관광마을의 양적팽창에도 불구하고, 농촌과 마을주민의 입장에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민들의 삶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농촌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변화된 농촌 장소성이 마을과 마을주민에게 미칠 영향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한정된 시간과 제한된 접근으로 인하여 단일 마을을 중심으로 세밀한 관찰을 하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number of rural communities taking part in rural tourism. Last decade, with the increase in personal income and interests on the rural amenity, rural tourism and leisure businesses in the rural area has been growing. Meanwhile, agriculture and rural residents are under the pressure of open market. Due to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limitation on agricultural restructuring policy, Roh administration proposed new regional policy to break through such concerns on the field of agriculture. Following new regional policy as backdrop of recent changes in rural area, at least over a thousand village will be created until 2017. Thence, changes in rural area and residential lifestyle are expected. To find out diverse findings on rural area and resident from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resident and tourist-resident, this research is compose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ten leaders of such rural communities. First, I tried to find out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institutional logic of government. The bureaucratic and path-dependent policy decision making systembreaks endogenous structure of rural society and accelerates dependency on government subsidy. Then, village development process is conducted by government and expert, not by residents; resulting a chance of the insemination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heightened competition between locals. Moreover, such interventions in the rural development, affect inner society of rural community. As a rural society depends on Social Capital, the priority to its residents, is to take collective action using social network, which responds to the crisis of outside threat. However, when rural developments are actually accomplished, there are possibilities of ‘collective action dilemma’, since people will always want to get the most profit at the lowest effort. At last, because of the most of the villages suffer from a shortage of manpower; community leaders have been overburdened within last ten years. The results of rural tourism between visitors and resid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sidents would be likely to behave statically in order to satisfy visitors’ expectation. I wanted to portray residents as aggressive and active subject, not a subjugated to the tourist desire. They try to influence the process of tourism development and cultural preservation. At last, rural tourism promises more profit and vitality to rural residents. Just a few years ago, many rural residents went through helpless and frustrated phase, influenced by industrialization. But now, they are fulfilled with their lives, and are proud of their accomplishments. Meanwhile, place-image of rural area is prescribed by ‘tourist gaze’ which can stimulate certain conflict between resident and tourist.

비고 : MVC-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