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의 재구성: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저자명|배세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이데올로기, 알튀세르, 발리바르, 마르크스, 스피노자, 라캉, 상상, 호명, 주체, 문화연구, 토픽적 과학, 구조주의, 기능주의

국문초록

본 연구는 문화연구의 핵심적 이론 중 하나인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을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논의를 통해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알튀세르는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의 모순점을 작동시켜 이를 해체하고 자신의 독특한 철학에 기반하여 마르크스주의 이데올로기론을 재구성한다. 마찬가지로 발리바르는 알튀세르의 문제설정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알튀세르 이데올로기론의 문제점을 정정하고 알튀세르의 작업을 극단화한다. 그러나 문화연구는 현실 사회주의의 붕괴와 소위 ‘이데올로기의 종언’이라 일컬어지는 정세를 맞이하면서 문화연구 특유의 이론에 대한 실용주의적 관점으로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기능주의로 규정하고 진지한 이론적 탐구의 대상에서 배제한다.\r\n\r\n이러한 문화연구의 현 상황에 개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론에서 알튀세르에 대한 비판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기능주의로 규정하는 비판을 라캉 정신분석학에서의 비판과 속류 구조주의적 관점에서의 비판으로 세분하고, 속류 구조주의적 관점에서의 비판의 경우 구조주의가 주체를 말살하는 이론이 아닌 구조에 의해 구성되는 주체를 설명하는 이론임을 설명함으로써 이를 서론에서 반비판한다.\r\n\r\n본론에서는 세 개의 장으로 나누어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론과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론을 설명하는데,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발리바르의 마르크스 이데올로기론에 대한 주해에 기반하여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론을 환상으로서의 이데올로기론으로 규정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마르크스의 이러한 문제설정을 비판하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설명하는데, 우선 알튀세르가 이데올로기를 마르크스와 같이 환상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적 관계로 규정함을 설명한다. 이후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들」이라는 알튀세르의 중요한 논문을 중심으로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이 ‘이데올로기에 의한 호명’이라는 호명테제를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주체형성 메커니즘을 해명하는 이론이라는 점을 설명한다. 또한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을 라캉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기능주의라 규정하는 비판에 반비판하기 위해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비판을 설명한다. 알튀세르와 발리바르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비판의 핵심은 라캉 정신분석학이 ‘환상을 가로지르기’를 통해 도달 가능한 실재의 주체라는 개념을 사회구성체에까지 부당하게 확장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비판은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론을 라캉주의적인 것이 아닌 스피노자주의적인 것으로 구성하는 시도의 초석이 된다.\r\n\r\n세 번째 장에서는 발리바르의 프로이트-마르크스주의 비판을 라캉적 상징 개념에 대한 비판으로 상론하고, 라캉적 상징 개념을 대체하는 발리바르의 R-S-I 도식의 전도를 설명한다. 발리바르는 R-S-I 도식의 전도를 통해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지배자들의 이데올로기로 규정하는 마르크스와 알튀세르의 논의를 비판하고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자들의 상상의 특수한 보편화로 해석하면서 알튀세르 이데올로기론의 문제점인 저항의 가능성이라는 포스트구조주의적 문제를 해결한다. 이후 알튀세르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이데올로기론을 스피노자주의적인 것으로 구성하는 발리바르의 이데올로기론을 설명하기 위해 스피노자의 상상이론에 대한 설명을 전개하고, 또한 이를 ‘대중들의 공포’라는 개념으로 대표되는 발리바르의 대중정치론에 대한 설명과 연결짓는다.\r\n\r\n결론에서는 알튀세르 이데올로기론의 결론인 ‘토픽적 과학’과 ‘철학의 변형’을 설명하고 발리바르 이데올로기론의 결론인 ‘두 개의 토대론’, 즉 ‘스피노자-마르크스주의’를 설명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at reconstructing the theory of ideology in Marxism by adopting the theory of ideology of Althusser and Balibar. Louis Althusser de-constructs the theory of ideology in Marxism by operating the point of contradiction in it and reconstructs the theory of ideology on the foundation of his singular philosophy. Equally, Etienne Balibar embraces the problematics of Althusser, but simultaneously amends the problem of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by radicalizing Althusser's œuvre. However, Cultural Studies, facing the conjuncture of the collapsing of the 'really existing socialism' and so-called 'the end of ideology', prescribes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as functionalism and does not think of it as the object of the serious theoretical inquiry.\r\n\r\nThis study, to intervene this on-going situation of cultural studies, re-examines the critiques on Althusser in Introduc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 critiques that prescribes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as functionalism into the critique stemmed from the camp of Lacanian psychoanalysis and the critique based on the philistine viewpoint of structuralism. After that, in Introduction, this study counter-criticizes the philistine viewpoint of structuralism by expounding that structuralism is not a theory that slaughters the subjects but a theory that explains the subjects constructed by the structure.\r\n\r\nThe main body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to expound in sequence Karl Marx's theory of ideology,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and Balibar's theory of ideology. First chapter of the main body defines Marx's theory of ideology as the theory of ideology qua fantasy on the basis of the annotational work of Balibar.\r\n\r\nSecond chapter of the main body expounds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that criticizes Marx's argument. At first, this chapter emphasizes that Althusser defines ideology not as fantasy like Marx does but as the imaginary relations. And after that, this chapter, focusing on the important paper of Althusser called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explains that the main purpose of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is to explicate the mechanism of the formation of the subjects in the capitalist society by inventing the interpellation these. On top of that, this chapter also deals with the critique of Althusser and Balibar on Freudo-Marxism in order to counter-criticize the critique in the camp of Lacanian psychoanalysis which prescribes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as functionalism. The heart of the critique of Althusser and Balibar on Freudo-Marxism is that Lacanian psychoanalysis unduly extends the range of the concept - the subject of the real attainable by 'traversing the fantasy' - to social formations. This critique of Althusser and Balibar is the cornerstone of their attempts to construct their theory of ideology not on the Lacanianism but on the Spinozism.\r\n\r\nThe third chapter of the main body, on the one hand, expatiates much more upon Balibar's critique of Freudo-Marxism through his critique on the lacanian concept of the symbolic and, on the other hand, explains the overturning of R-S-I schema proposed by Balibar for the sake of substituting the lacanian concept of the symbolic. Through the overturning of R-S-I schema, Balibar criticizes both Marx and Althusser who define the dominant ideology as the ideology of the dominator and proposes that the dominant ideology is the specific universalisation of the imaginary of the dominated resolving the post-structuralistic problem of resistance that troubles Althusser fundamentally. In the next, this chapter deals with the theory of the imaginary of Spinoza for expounding Balibar's theory of ideology that constructs itself spinozistic same as Althusser, and this chapter relates this point with the explanation on Balibar's theory of mass politics represented by the concept 'fear of the masses'.\r\n\r\nIn conclusion, this study explains 'the science a topique' and 'the transformation of philosophy' of Althusser, explains 'the theory of two foundations' or 'Spinoza-Marxism' of Balibar, which are respectively the ultimate conclusion of their theory of ideology.

비고 : MVC-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