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스타크래프트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서사와 신화론을 중심으로
  • 저자명|박태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3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컴퓨터게임, 스타크래프트(Starcraft), 서사, 기호, 신화, 이데올로기, 자본주의/ computer game, starcraft, narratives, sign, mythologies, ideology, capitalism

국문초록

이 연구는 컴퓨터게임이라는 새로운 매체에 대한 문화연구적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곧 컴퓨터게임 자체나, 그것의 부분적 영향력 보다는 그것이 우리 사회*문화에 어떤 방식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끼치는 가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려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컴퓨터게임이 학술적 연구의 대상이 된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므로 본 연구는 우선 컴퓨터게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정리에서 시작하였다.\r\n\r\n‘컴퓨터게임’에 대한 학술적인 정의는 아직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여러 게임에 대한 논의를 종합하여 ‘컴퓨터를 매개체로 하여 현실을 벗어난 자유로운 상황에서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것’이라는 일단의 정의를 설정하였다. 분류법이라고 할 만한 장르명에서 있어서도 아직 정리가 안되어 있는 상황이어서 연구자는 주로 까이와의 이론에 도움을 받아 컴퓨터게임의 특성에 따른 10개의 장르명을 설정해 보았다.\r\n\r\n컴퓨터게임의 서사는 기존의 서사이론에서 많은 부분 원용할 수 있지만 그것의 상호작용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또한 다른 많은 부분이 있었다. 특히 시간과 공간의 측면에서의 접근에서 기존의 서사와는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기호학은 상당히 광범위한 영역으로서 컴퓨터게임에 대해서도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긴 하지만 그 구체적인 적용가능성과 접목시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연구성과가 나온 바가 없다. 이에 연구자는 기호의 개념과 그것의 컴퓨터게임에 접목시의 문제에 대해 고려해야할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문초록

This analysis is intended to approach a computer game in the context of cultural-study theories. Neither computer game itself, nor its partial effect this analysis focused on its total effect to and by society and culture: how it effects and what it effects and how it effected and what it effected. but the computer game has little time that has entered academic area, so this analysis starts with some definitions of the concepts related to computer games. / The academic concept of computer game has not been yet set, so I tried to integrate some discourses about game and define the concept of computer game as ''interaction in unreal free situation with some rules mediated by computer''. The genre of computer game, as a classification rule, helped by Caillois''s theory, I classified 10 genre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games.\r\n\r\nThe narratives of computer game in some part matched with existing theories, but in some part not matched because of its interactive character. Especially in the view of time and space, it had revealed some particular character. The semiotics can be applied to various area, and it is assumed to also applied to computer game, but I could not find any theoretical discourses about that theme. So I considered some problems about applying semiotics to computer games. The signs of computer game could be found by 5 channels as cinema and TV are, but because the character of interaction made it have no fixed texts and sign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some general, representative texts and signs. The applicability of semiotics to computer games also means the theory of mythologies by Barthes can be applied to computer games.\r\n\r\nI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I tried to analyze the mythology of Starcraft mainly by using Propp''s narratives theory and Brathes'' mythologies theory. The texts used in the analysis are professional gamers' actual fights.

비고 : MMJ-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