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1990년대 이후 인문사회과학 지식생산의 탈식민 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 저자명|채웅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탈식민, 식민성, 세계화, 국제화, 지식장의 전지구화, 전지구적 지식장, 인문사회과학, 지식생산, 담론분석, 1990년대

국문초록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인문사회과학 지식생산의 탈식민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글이다. 1990년대 본격화된 탈식민론은 서구 헤게모니에 대한 한국 지식장의 의존적 성향에 대항하고자 했던 담론적 실천이다. 탈식민론은 한국 학계의 중요한 전환기였던 1990년대에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또 단순화할 수 없는 논리의 결합체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것과 유사한 문제의식을 공유한 1970-1980년대 토착화론과 달리 탈식민론은 특정 분과나 진영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비교적 뚜렷한 지향을 드러내는 담론 명칭에도 불구하고 논리상의 그리고 분과상의 다양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과거의 활기와 짧지 않은 계보에도 불구하고 탈식민론은 여전히 정리되지 않은 채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정리되지 않은 채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탈식민론에 대한 비판과 연구들은 그것이 생산된 1990년대 이후 지식장의 맥락에 대해서 함구한 채 내적 논리만을 다루거나, 그것을 종종 갈채와 공격의 대상으로 삼았을 뿐이었다. 논리적 구조에 대해 다루는 경우에도 담론 내부의 이질성과 다양성은 설명되지 않은 채 담론 전체가 뭉뚱그려 논의되곤 했다. 담론을 분석적으로 다루지 않는다면 담론이 가진 의의와 가치를 과대 또는 과소평가하고, 논의의 확장과 전유 가능성을 선험적으로 배제하거나 논의의 필요성을 당위론적으로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 두 경우 모두 탈식민에 관한 생산적인 논의의 진전을 어렵게 한다.
탈식민이라는 문제를 한국 학문의 동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더욱 생산적인 방향으로 재정향하기 위해서는, 탈식민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되 그것을 1990년대 이후 한국 지식장의 맥락 속에 배치하고 그것의 복합적인 결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1990년대부터 그것이 다시금 회자되기 시작한 2015년까지 탈식민에 대한 지향을 드러낸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논저 총 72건을 분석대상으로 수집했다.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질문들은 담론의 전개 양상, 논리적 구조, 맥락적 조건, 유형화 및 유형별 특징을 묻는다. 이 연구는 비판적 담론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삼으며, 담론을 지식장 내적 그리고 외적 차원과 사회적, 제도적, 인식론적 차원 등 다각도에서 살피기 위한 분석틀을 활용했다.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텍스트를 연대기적으로 살펴본 결과 탈식민론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추적할 수 있었다. 탈식민론은 1990년대 초 기존의 학술적 논제와 스스로를 구별지으며 문제의식을 형성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문제의식이 더욱 확장되는 동시에 여러 반론에 부딪히며, 논의의 확장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다. 2000년대 후반을 지나자 탈식민론은 자체의 시의성을 강조하는 데에 둔감해지고 논리적인 진전에 소홀해지면서, 문제의식은 기존의 수준에서 정체되었다. 다만 2010년대를 즈음하여 탈식민론에서는 지식장의 전지구화라는 새로운 문제틀이 제시되었다.
텍스트를 연대순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탈식민론의 복수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 연구는 담론의 논리적 구조를 공시적으로 분석하고 담론을 맥락적으로 재구성했다. ‘식민성’, ‘세계화’, ‘탈식민’이라는 언표는 대다수 텍스트에서 주요하게 언급되는데, 텍스트에 따라 상이한 내포를 갖는다. 지식의 구성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념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유한다고 하더라도, 그보다 지식 자체의 존재 조건에 주목하는 텍스트들도 존재한다. 탈식민론의 논리를 지탱한 참조체계에도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의 담론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러한 담론의 다양성은 1990년대 이후 지식장의 혼란스러운 상황과 긴밀하게 관계를 맺고 있다. 세계와 관계 맺기에 관한 성찰로서의 탈식민론을 생산하는 데에 가장 깊게 관여했던 맥락적 조건은 세계화였다. 세계화는 지식장 외부의 사회적 차원에뿐만 아니라, 지식장 내부의 제도적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에도 상당한 파급효과를 야기했다. 탈식민론은 세계화와 결부된 영어 열풍, 대학의 신자유주의화나 포스트 담론의 급격한 수용 등에 대해 저항하거나 혹은 그것들을 적극적으로 원용하면서 논의를 확장했다.
탈식민론의 논리적 구조와 맥락에 대한 반응은 그것을 유형화하는 단서가 되는데, 그중에서도 탈식민 전략을 가장 주요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탈식민론은 전통 계승 담론, 맥락적 이론화 담론, 식민제도 변혁 담론, 연구문화 개선 담론으로 나뉘며, 그중 맥락적 이론화 담론의 경우 삶 기반 지식생산 담론과 현실 기반 이론전유 담론으로 구분된다. 분류 과정에서 논자들의 위치와 궤적을 담론적 구성물로 취급하여 유형화의 설득력을 높이고, 앞선 분석들을 종합하여 각 하위담론들의 특징을 서술했다. 이와 더불어 탈식민론 내외부에서 각 유형에 가해진 비판들을 제시함으로써 전략의 타당성을 탐문했다.
이 연구는 탈식민론의 논리적 구조와 맥락적 조건을 분석하고 그것을 유형화함으로써, 담론의 이질성을 드러내고 탈식민과 그 전략에 대한 토론의 여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토론 가운데 지식장의 전지구화 경향에 대한 고찰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앞으로 탈식민론의 시발점이 되어야 하며, 이로부터 한국 지식장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새로운 논쟁과 모색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탈식민의 가능성에 대하여 진지하게 탐구하고 토론하며 기술하는 작업의 토대가 바로 한국의 연구문화이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탈식민을 위해서 한국에서의 연구가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에 관한 질문을 던지면서, 한국에서의 학문 재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인 변화가 탈식민을 위한 매우 기초적인 필요조건임을 주장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discourse on academic decoloniz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ince the 1990s. This decolonization discourse is a discursive practice to counteract Korean academia’s dependency on Western hegemony. It was raised in the 1990s, when Korean academic field faced an important turning point, and it is the combination of logic that cannot be simplified. Unlike the indigenization discourse in the 1970s and 1980s that shared a similar consciousness with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discipline or camp. Besides, it contains heterogeneous positions despite the name of discourse that seems to reveal a clear orientation.
In spite of the past vigor and almost three decades of history,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remains and be criticized unorganized. Criticism and studies on the discourse have been concerned only with its inner logic without the context of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1990s or treated it as a subject of cheering and attack. Also, as for that logical structure, it was not fully explained with its heterogeneity and diversity. However, if we do not deal with discourse analytically, the value of discourse will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so that the discussion on decolonization will be difficult to be advanced.
In order to reorient the problem of decolonization to the more productive direction in light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Korean academic field,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needs to be historicized by being plac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1990s and being critically analyzed with the complex texture of the discourse. The analysis included a total of 72 pape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rom 1990 to 2015, which diagnose the coloniality in Korean academy or suggest strategies for decoloniza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critical analysis of the discourse are about the deployment of discourse, logical structure of discourse, the contextual condition of discourse, and the typology of discourse. This study use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and utilized an analytic framework to examine the discourse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level of Korean academic field and with social, institutional, and epistemological dimensions.
First of all, This study track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by chronologically outlining the texts. In the early 1990s,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was formed with critical mind on academic colonization, putting distance from other discourses in the 1970s and 1980s. In the late 1990s, it began to expand its theme and at the same time it faced several criticisms pointed out the falsity of the discourse. After the late 2000s, it did not come to prove its own timeliness and the logical progress gradually decreased. Nevertheless, around the year 2010,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presented a new problematization as globalization of the field of knowledge.
To specify the plurality of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reveal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texts chronolog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discourse synchronically and reconstructs it contextually. The terms of ‘coloniality’, ‘globalization’ and ‘decolonization’ are mainly mentioned in most texts, which have different connotations depending on the texts. Even though the thesis on existentia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knowledge is largely shared in the discourse, there are texts which pay attention to the existing condition of knowledge itself. The reference system that supports the logic of the discourse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discourses from East and West, traditional and modern discourses. This divers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fusing context of Korean academic field since the 1990s. It was globalization that deeply involved in producing the discourse as a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Globalization has exerted not only in the social dimension on a large-scale, but also in the institutional and epistemological dimension in the field of knowledge.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has expanded the discussion resisting or invoking contextual factors associated with globalization, such as the ‘English fever’ in Korea, neo-liberaliz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rapid acceptance of the ‘post discourse’.
The logical structure and the reaction to context are a clue to classify and typify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and the strategy for decolonization suggested by the discourse has been the main criterion. The four sub-discourses are the discourse on ‘succession of tradition’, ‘transformation of the colonial system’, ‘improvement of the research culture’, ‘contextual theorization’. The last stance divided into the discourse on ‘knowledge production based on life’ and ‘theory appropriation based on reality’. Positions and trajectories of the authors, as discursive formation, are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to enhance the persuasive power of typification, and the features of each sub-discourses are summarized by synthesizing the preceding analyzes.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strategy by presenting the criticisms of each sub-discours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analyzing the logical structure and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in that it typified the discourse revealing the heterogeneity of discourse and that it provided a room for discussions about academic decolonization and its strategy. In these discussions, it is inevitable to consider the tendency towards globalization of the field of knowledge. The decolonization discourse, as a reflexivity to relation with world, has to take the discussion about the globalization as a starting point. At this point, the research culture in Korea is the foundation of the work exploring, discussing and describing the possibility and strategy of decolonization. This study suggests, while throwing the question about the significance of research in Korea, that institutional change to facilitate the academic reproduction in Korea is the very basic requirement for decolonization.

비고 : MVC-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