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페미니즘 정치학의 급진적 재구성: 한국 ‘TERF’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효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TERF, 급진 페미니즘, 래디컬 페미니즘, 트랜스젠더, 교차성, 젠더, 정체성 정치, 혜화역 시위, 페미니스트 정치학

국문초록

이 연구는 2017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가시화되기 시작한 ‘여성 우선’ 페미니즘 실천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트랜스젠더/퀴어에 대한 타자화를 통해 본질주의적 ‘여성’ 범주와 페미니즘-정체성 정치가 구축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온라인에서는 TERF(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라 일컬어지기도 하는 ‘여성 우선’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여성’ 의제에만 집중하는 페미니즘이 가장 급진적이고 근본적인(radical) 정치학이라 정의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을 최우선으로 여겨야 하며 여기에 퀴어, 장애, 인종 등 다른 소수자 정치학의 이슈를 가져오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고 주장한다. ‘젠더’를 가장 주요한 억압으로 상정하고, 다른 요소들과의 교차 없이 홀로 작동한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젠더 본질주의에 기반한 시각은 전혀 급진적이지 않으며 가부장제의 핵심을 근본적으로 건드리지도 않는다. ‘여성’만이 페미니즘에 대한 소유권을 독점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것 또한 아니다. ‘급진적인’ 페미니스트 정치란 어떠해야 하는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보는 연구의 주된 문제의식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출발했다.
TERF 혹은 ‘여성 우선’ 페미니스트들의 담론적 실천을 면밀히 살피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해내기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인터넷 민속지학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흑인 페미니스트들이 제시한 ‘교차성’ 이론과 ‘젠더’에 관한 버틀러의 작업을 주된 이론적 자원으로 삼았다. 참여 관찰 및 자료의 수집은 트위터를 비롯해 유튜브 채널, 온라인 여초 커뮤니티, ‘워마드’ 등 여러 온라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졌다.
‘여성 우선’ 정치를 주장하는 일군의 페미니스트 집단이 트랜스젠더에 대한 상상적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가장 주요한 출발점으로 작용한 것은 ‘젠더’ 개념에 대한 해석이다. TERF의 담론 구조 안에서 젠더는 ‘여성성’을 뜻하는 사회·문화적 성 또는 성 역할 고정관념 정도로 단순하게 받아들여졌으며 그에 따라 젠더를 해체하는 것이 페미니스트 투쟁의 목표인 것처럼 이야기되었다. ‘탈코르셋’ 운동을 통해 여성에게 억압이 되는 모든 종류의 ‘여성성’을 벗어던지고자 하는 이들은 오직 생물학적 성(sex)만이 여성임을 규정하거나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염색체, 성기 등 이른바 ‘과학적인’ 근거 외에 여성을 정의하려는 모든 시도들은 젠더의 일환으로서 여성혐오적이며 페미니즘의 기치에 어긋나는 것으로 간주된다. 나아가 이들은 여성(female body)으로 태어나 차별과 피해를 경험했을 때라야만 ‘여성’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생물학적 ‘사실’과 피해 경험만이 여성임을 나타내는 유일한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특히 mtf/트랜스여성의 ‘여성성’ 실천이 ‘진짜 여성’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코르셋’을 다시 주워 입는 행위로 읽히게 되면서 트랜스젠더로 인해 젠더 억압이 강화된다는 비판이 등장하기도 했다. 트랜스젠더의 존재 자체가 여성혐오이자 가부장제의 산물이라는 왜곡된 인식은 이러한 해석으로부터 도출된다.
한편, TERF의 담론적 실천은 젠더 이분법을 공고히 하려는 다른 사회적 실천과 조우하는 과정 에서 더욱 가시화되었다. 국내 보수 개신교의 반동성애 담론을 살핀 결과, 성평등(gender equality)에 반대하고 양성평등(sex equality)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TERF와 마찬가지로 ‘젠더’를 가장 문제적인 대상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여성과 남성 이외에 또 다른 성별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보는 입장에 따라 트랜스젠더는 비정상적이며 여성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심지어 보수 개신교회는 트랜스젠더를 적대시하는 일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의 작업을 차용하였고, 불안한 감정에 내몰린 여성들은 보수 개신교의 선전물에 무비판적으로 동의를 보내기도 했다. 기존의 권력 관계와 불평등한 사회 질서를 굳건히 하려는 보수 집단의 실천이 사회 변혁을 꿈꾸는 페미니스트 실천과 만난다는 것은 대단히 모순적일뿐더러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젠더 본질주의의 관점에서 생물학적 여성의 인권만을 “챙긴다”고 하는 페미니즘은 그 아이러니를 현실화했다. 이는 우리가 ‘여성 우선’ 페미니스트들과 그들의 타자화 실천에 대해 비판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이 연구는 여성으로 지정받아 태어난 사람만이 ‘여성’이고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으며 페미니즘은 그런 ‘여성’의 문제를 우선으로 다뤄야 한다는 인식, 그리고 이것이 가장 ‘급진적인’ 정치학이라는 일부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페미니즘 내부의 성찰을 촉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성으로 태어나 여성이 되고 남성으로 태어나 남성이 된다는 근본적인 아이디어 자체를 문제 삼지 않는 페미니즘은 제아무리 섹스와 젠더를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한계에 직면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성애를 자연화할 뿐만 아니라 지배적인 젠더 규범을 따르지 않는 이들에게서 삶의 가능성을 박탈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페미니즘이 ‘급진적인’ 정치학이 되기 위해서는 섹스와 젠더 개념을 재고해야 하고, 공통의 피해 경험을 가정하는 정체성 정치로부터 벗어나 열린 범주로서의 ‘여성’과 그 내부의 차이에 주목해야 하며, 교차성의 관점에서 ‘나’의 피해자적 위치와 가해자적 위치를 동시에 고민하는 방식으로 연대의 정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 (TERF) practice that has had a prominent role in Korean society since 2017. This study critically discusses the establishment of the essential women’s category and feminist identity politics through the objectification of transgender and queer people.
At present, the type of feminism that focuses on the “female agenda” followed by the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 tends to be defined as the most radical politics. TERF argues that feminists should consider “women” as the top priority. They argue that it is unfair to mention the political issues of other minorities, such as queer people, the disabled, racial issues, etc. when discussing feminism. This means that they believe that “gender” is the most significant issue of groups that are being oppressed, and that gender acts alone without the interaction of any other factors. However, such a vision based on gender essentialism is not actually radical at all, and fundamentally does not touch the core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it is not only women who can exclusively claim ownership of feminism. The critical subject of this study came from that mindset. The study reflected on the controversial and ironic situation of insisting on what radical feminist politics should look like.
The researcher used Internet Ethnography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research methods to critically analyze the discursive practices of TERF. The main theoretical resources were the ‘intersectionality theory’ proposed by black feminists and the work of Judith Butler on gender. Observation and the gathering of data were done through Twitter and several other online spaces such as YouTube, the Online Women’s Community, WOMAD, and so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gender” i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ERF’s politics because it helps build up the imaginative knowledge of being transgender. In the discourse structure of TERF, “gender” is simply accepted as a degree of social or cultural sex or a gender role, which refers to “femininity.” Due to this, dismantling the idea of gender has been said to be the goal of the feminist struggle. Those who want to get rid of all kinds of “femininity” do so through the “corset-free movement” because they believe it is used as a way to oppress women. They argue that only the biological sex of a person should set the gender standard. All attempts to define women other than the so-called “scientific” basis, such as chromosomes and genitalia, are actually misogynistic and are regarded as contrary to the ideals of feminism. Furthermore, they believe that women are said to be “women” only when they are born with a female body and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damage because they are female. It is the only evidence that biological “facts” and damage can be experienced by women. It is the “femininity” practice of transgender women that is read as a “corset” that “real women” want to escape. As a result, criticism has emerged that transsexualism has intensified gender repression. The distorted perception that the existence of transgender people is a product of female aversion based on the patriarchy and has been derived from this interpretation.
On the other hand, the discursive practice of TERF became more prominent during the process of encountering other social practices in order to consolidate the binary gender syste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nti-homosexual discourse of domestic conservative Protestantism, as in the case of TERF, “gender” was pointed out as the most problematic object in the process of opposing gender equality and claiming sex equality. Their viewpoint is that there should not be any genders other than male and female, and as such, transgender people have been considered abnormal, a viewpoint that has seriously threatened the safety of women. Even the conservative Protestant church took the work of some feminist theorists who were hostile to transgender people. The women who were moved by their uneasy feelings even gave their consent to reproduce the conservative Protestant propaganda without question. It is very contradictory and difficult to imagine that the practice of the conservative group to consolidate the existing power relations and the unequal social order is being met with the feminist practice of social transformation. However, in light of gender essentialism, the feminist “belief” that only biological women should be allowed female rights has made the irony real, as researchers must critically intervene in the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 (TERF) and their objectification practices.
This study has two implications. First, it is recognized that only those who are born and designated as women can actually be called “women” and feminists, and that feminism should deal with such “women” issues first. Second, it critically discussed some of the feminist claims of the most “radical” politics and called for introspection within feminism. Feminism, which does not concern itself with the fundamental idea of being born as a woman, becoming a woman, or becoming a man, is not limited to the concept of sex and gender. It is the same as depriving the possibility of life from those who do not follow the dominant gender norms as well as naturalizing heterosexu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uld rethink the concept of sex and gender in order for feminism to be “radical” politic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omen as an open category and its internal difference, away from identity politics, assuming a common experience of damage. Finally, the researchers argue that the politics of solidarity must be done through intersectionality in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position of the victim and the position of the perpetrator at the same time.

비고 : MCS-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