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글로벌 텔레비전 드라마의 수용자와 수용의 담론: Sex and the City의 2,30대 여성 수용자를 중심으로
  • 저자명|홍정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전지구화 문화적 정체성 포스트페미니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성 수용자 연구담론의 생산/ globalization cultural identities postfeminism postcolonial feminism female audience study production of discours

국문초록

전지구화는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로서 깊숙이 배여 들어 작동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고자 했던 이론적인 노력들은 거시적인 맥락에서 이를 단순화하거나, 지나치게 추상적인 설명들을 낳았다. 이러한 이론적인 시도들은 현재,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대해 경제결정론적이고 서구중심적인 무리한 해석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현실을 압도하는 지나치게 고도화된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그 현상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실천들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미시적으로 전지구화가 진행되고 있는 구체적인 장소와 맥락을 살펴보는 것이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전지구화라는 거창한 개념을 이야기하기 이전에, 실질적으로 전지구화가 어떻게 경험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된다. \r\n\r\n그 구체적인 경험의 장소는 다양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본 연구는 글로벌 텔레비전 드라마의 수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곧 미국의 거대 미디어 자본에 의해 생산되고 글로벌 유통의 경로를 거치는 드라마가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주변부에 위치한 여성이라는 이중적인 억압을 경험하는 한국의 여성들의 상황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좀 더 깊게 관찰하기 위하여 드라마 Sex and the City를 선정하여 이를 시청하는, 서울에 거주하는 2,30대의 중산층 여성들의 이야기를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담아내고자 하였다. 동일한 텍스트도 그것이 놓여진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진다는 측면에서, 뉴욕의 전문직 여성들의 삶을 묘사하고 있는 HBO가 제작한 TV 드라마 Sex and the City가 한국의 텔레비전을 통해 수용될 때 그것은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그 드라마 텍스트의 유입은 한국이라는 맥락 안에서 다양한 권력의 장들, 담론들과 맞물린다. 따라서 전지구적인 흐름을 따라서 흘러들어온 이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를 마주 대한, 본 연구에 참가한 여성들은 그 안에서 의미를 전유하고 새로운 담론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r\n\r\n먼저, 연구 참여자인 여성들은 자신들과 이 드라마 텍스트를 둘러싸고 있는 담론들, 그 중에서도 가부장적인 미디어 담론에 저항하는 여성적 담론을 생산하고 있었다. 또한 이 여성 수용자들은 텍스트 내부의 서구 메트로폴리탄 페미니스트 이상과 교섭하고 있었는데, 이는 자신들이 처한 몇 겹의 더 억압적인 상황이라는 차이를 잊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동시에 부분적이고 복합적이며 때로는 모순적인 그녀들의 정체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 문화연구와 페미니즘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적 상황인 전지구화에 주목하되 여성 수용자들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저항의 단면을 포착할 수 있었다. 이는 한국의 여성들이 특히 미디어를 통해 일상 속에 깊숙이 침투한 전지구화의 헤게모니와 한국 사회의 견고한 가부장적인 권력, 그리고 또 하나의 단일화된 지식권력을 지향하는 서구 페미니스트 이상들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한 대답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지구화의 현장에 대한 중심화된 시선을 지양하되 중심주변의 이분법을 경계하고, 가부장적 억압의 상황을 잊지 않지만 본질주의적인 오류에 빠지지 않은 연구를 지향하고 이를 수행하였다.

영문초록

Globalization operates embedded as an existent reality. Most theoretical studies aimed to analyze globalization have produced simplified, if not abstract, explications. And these theories include economic deterministic and Euro-centric explanation of globalization. Otherwise, the researchers tend to suggest exaggerated theories on realities, and overlook various types of practices within i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icro-level study that attempts to explore concrete sites and contexts of globalization. That is, such a study on how agents experience globalization should provide grounds from which to discuss the actual meanings of globalization.To better study practices and material experiences of audiences'' everyday lives with global mass media,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audiences'' reception toward a particular global TV drama, Sex and the City, and how it is received in Korea, particularly from perspective of Korean female audiences who are double oppressed -who are positioned within marginal region and oppressed as women. For closer observation, this study entails in-depth interviews with young, middle-class, Seoul viewers of Sex and the City.This study finds that the drama text, Sex and the City, which depicts four female characters, high-income dwellers in New York, acquires new meaning as shown on Korean cable television. Furthermore, the drama text is articulated with multiple sites of powers and discourses of Korean society. The female interviewees of this study, therefore, encountered this drama text in global flow, appropriated its meaning and constructed new spheres of discourse-count discourse against patriarchial media discourse and female discourse of negotiation with Western feminist ideals. These informants of this study produced female discourse resisting against patriarchial media discourse surrounding this drama text and negotiated with metropolitan feminist utopian ideals contained within the text. Their tactic is that they do remember their own situation harshly double oppressed comparing to western feminist intellectuals. On the other hand, it shows how the female audiences construct their partial, complex, sometimes contradictory identities.

비고 : MVC-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