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의 ‘20대 현상’과 포퓰리즘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좌파 포퓰리즘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내훈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포퓰리즘, 20대 남자, 한국 20대 현상, 좌파 포퓰리즘, 급진민주주의, 라클라우, 무페

국문초록

이 연구는 ‘20대 남성 현상’을 어떻게 사고해야 하느냐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두드러지는 페미니즘, 정체성 정치, 정치적 올바름 의제에 대한 20대 남성들의 반발은 문재인 정부 및 집권여당에 대한 20대의 세대적인 비토여론과 결부되어 이른바 ‘20대 현상’으로 호명된다. 기존의 ‘20대 현상’ 담론은 20대 남성 안에서 돌출되는 반자유주의적 언동만을 문제시하며 ‘20대 현상’을 혐오 정서의 문제로 축소하고 그것을 역사적 반동으로 일축한다. 본 연구는 20대 남성의 혐오 정서와 20대의 세대적인 정치적 이탈이 동일한 구조를 띤다고 보며 ‘20대 남성 현상’을 20대의 일반적인 문제로, 그리고 그 문제의 성격을 포퓰리즘으로 규정한다.
오늘날 한국의 현실적 조건들은 샹탈 무페가 말한 포퓰리즘 계기에 부합한다. 한국의 정치경제적 조건과 문화정치적 조건이 포퓰리즘의 토양을 제공함을 밝히고 이것이 곧 20대 현상과 맞물려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열 명의 20대 보통 사람들을 인터뷰함으로써 그들이 처해 있는 조건과 정치, 시사 등에 관한 의견을 들었다. 인터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이들은 한국의 정치에 무관심하고 적대적이며 진보 세력과 보수 세력 모두에게 환멸을 갖고 기성 정치의 바깥으로부터 새로운 지도자가 나타나기를 막연히 기대한다. 동시에 이들은 개인의 경제적 행위를 압도하는 불가항력의 객관적 제 조건을 인지하는데, 이에 대해 ‘우리’와 ‘그들’을 나누고 구성적 외부를 형성하여 주변부적 존재들에 대한 일말의 우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대응한다.
여기서 포퓰리즘은 주류 담론에서 말하는, 민주주의의 위기의 상황에서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의 ‘인민에 대한 호소’를 근간으로 작동하는 과도기적이고 병리적인 정치 및 그 현상으로서 포퓰리즘이 아니라 라클라우와 무페가 정리한 좌파 포퓰리즘/급진민주주의 기획의 측면에서 접근한 ‘아래로부터의 포퓰리즘’이다. 주류 담론은 으레 포퓰리즘을 민주주의에 위협이 되는, 시급히 지양해야 할 무엇으로 보고 기존 질서의 회복을 유일한 해결 방안으로 하며 논의를 종결한다. 당초 기존 질서의 내재적 한계에 기인한 포퓰리즘의 제 문제를 기존 질서의 회복으로 극복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반면 ‘아래로부터의 포퓰리즘’은 정치적인 것의 일반적인 논리이며 자유주의 정치 공간의 주변부에 밀려나 있던 공약불가능한 제 요구와 갈등이 분출되어 외부로부터 내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제 현상을 가리킨다. 본 연구는 ‘아래로부터의 포퓰리즘’의 차원에서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20대의 반자유주의적 언동들의 표피 아래서 발아하는 인민적 요구를 들추어내 그것이 등가적 연쇄를 형성하는 지점들을 발견하고, 좌파 포퓰리즘으로 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구한다.

영문초록

In recent years, the notable backlash against feminism, identity politics and political correctness among Korean men in their 20s is being problematized as ‘20s male phenomenon’. The phenomenon is then again coupled with the high rate of disapproval of Moon Jae-In’s administration and the ruling party among voters in their 20s, being problematized as the ‘20s phenomen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urrent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are considered as moderate progressives, and that the youths are conventionally deemed to tend to be liberals, such discordance is unsettling. Established mainstream discourse of ‘20s phenomenon’ primarily examines anti-liberal enunciations among men in their 20s and reduces the ‘20s phenomenon’ into the problem of emotion of hate, dismissing it as a reactionary backlash. This paper regards that the emotion of hate of men in their 20s and the collective political deviation of the millennials share the same structure, thus defines ‘20s male phenomenon’ as a general problem of the 20s, and the nature of the problem as populism.
Social conditions of South Korea today accords with what Chantal Mouffe has labelled as the populist moment. Political economic conditions and cultural political conditions of Korea provides a foundation for populism. This paper seeks to demonstrate that such populist conditions are interconnected with the ‘20s phenomenon’. In order to do so, 10 normal people of all genders in their 20s are interviewed and asked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on politics, current affairs and conditions they are living i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erviewees are indifferent and hostile to South Korean politics, disillusioned with both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parties, and blindly anticipate new leaders to emerge from outside of established political parties. Simultaneously, they are able to recognize the irresistible force of objective conditions which overwhelm personal economic acts. They tend to counteract such force by excluding ‘them’ from ‘us’ to form constitutive outside. In doing so they hope to secure slight advantage over the peripheral beings.
The mainstream discourse on populism defines it as transitional, pathological politics which is founded on ‘appeal to the people’ by ‘charismatic leader’ at times of democratic crisis. Whereas this paper approaches populism in the aspect of ‘populism from below’ which Laclau and Mouffe have elaborated in terms of left populism/radical democracy. The mainstream discourse tends to regard populism as a threat to democracy and something to be rejected thus conclude the discussion by suggesting restoration of social order as the sole solution.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the restoration of the existing order is nee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populism which comes from the inherent limitations of the existing order itself. On the other hand, ‘Populism from below’ is a general logic of the political and refers to the phenomena that the incommensurable demands and conflicts which were marginalized in the political space of liberalism burst out from the outside and exert their influence to the inside. This study comprehends the problems from the aspect of ‘populism from below’ to reveal the popular demands germinating under the layer of anti-liberal enunciations of the people in their 20s, aims to find nodal points that constitutes chain of equivalence based on the popular demands and seeks the possibility for such demands to convert into a left populism.

비고 : MCS-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