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만화영화 팬덤의 특성과 문화실천에 관한 연구: 수용의 갈등과 저항적 즐거움을 중심으로
  • 저자명|오주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대중문화 수용자 만화영화 팬덤 문화적 결핍 즐거움 저항 해독 문화생산 문화실천/ popular culture audience animation fandom cultural lack pleasure cultural production cultural practice

국문초록

대중문화를 바라보는 시각 내에서 수용자 ‘대중’은 단순히 지배이데올로기가 전달하는 텍스트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집단으로 전제되어 그들 내부에서 생성되는 즐거움의 의미와 수용의 의도가 무시되고 간과되는 측면이 있어 왔다. 그러나 문화가 생산과 보급 및 수용의 순간들이 교차하면서 엮어지는 변증법적 변화의 영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수용의 주체인 대중의 활동이 그저 수동적인 차원에서 머물지 않을 것이라는 감지는 문화를 읽어내는 작업에서 필수적이다. 지배이데올로기론의 주장대로 대중의 수용은 단지 받아들이는 것에 그치는 것인가, 그리고 그것이 대중문화의 상업논리에 놀아나는데 불과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수용의 맥락 안에서 구해야 할 것이다. 그 동안 문화에 대한 관심이 생산과 보급의 차원에 집중되어 수용자들의 활동들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다면 이제는 그들의 수용의 의도와 갈등, 의미생산 활동을 내부자적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r\n\r\n이 연구에서는 단순히 ‘소비’ 행위로 치부되어 온 대중문화의 수용이 문화 ‘생산’과 문화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만화영화 팬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수용의 차원을 텍스트의 층위에서만 바라보는 것을 지양하고 일상 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총체적인 수용의 맥락을 연구의 초점으로 삼았다. 연구대상과 방법으로는 2005년 10월 20일부터 12월 2일까지 ㅇ대학교 만화영화 동아리 <만화사랑>을 선정하여 참여관찰과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r\n\r\n연구문제로는 첫째, 만화영화 팬으로서의 취향형성은 공식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둘째, 만화영화 팬덤이 제공하는 즐거움의 경험은 어떤 것인가 셋째, 만화영화 팬덤에 기초한 문화적 생산과 실천 양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팬덤의 대상으로서 만화영화는 지배문화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주변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황은 만화영화 팬들에게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고, 나아가 정책적으로는 문화적 결핍의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만화영화 팬들은 지배문화와의 갈등과 대립 속에서 적극적 수용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팬들은 다양한 해독방식을 드러냈고, 그러한 해독을 통해 적극적으로 즐거움을 만들어 냈다. 그들은 만화영화를 둘러싼 지배문화의 구조를 예민하게 파악해내고 있었으며 비판의 의지를 가지고 그에 대항하는 수용을 실천함으로써 단순히 지배이데올로기의 공모자 내지는 수동적 수혜자라는 틀을 벗어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용자상을 구축하고 있었다. 만화영화 팬들에 의해 구성된 만화영화 팬덤은 개인적 차원에 그칠 수 있는 해독의 즐거움과 저항 의식을 연대해 나감으로써, 지배문화 안에서 일정 부분의 문화 영역을 확보한다. 팬덤을 통하여 만화영화 팬들은 그들의 이익에 부합하는 문화 양식을 생산해 나가고 유지 및 보수해 나가면서 문화적 결핍의 상황을 극복하고 사회 안에서 새로운 문화 세력을 삽입시키고 있었다. 만화영화 팬덤이 확장시키는 문화의 영역은 지배문화와 끊임없이 갈등하고 저항하고 교섭하면서 문화의 틀을 유동시키고 있었다. 이 연구는 비록 만화영화 팬덤이라는 단일한 사례에 머물고 있다는 한계를 지니지만,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또 다른 층위로서 수용자 존재와 그들이 어떻게 적극적 문화 실천과 생산을 하고 있는지를 제시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초록

The audiences, ''the masses'', were presumed to be a passive group receiving texts which deliver dominant ideology, so that the meanings of their pleasure and the inclinations of their reception were neglected and underestimated. Becaus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entered cultural studies have not read activities of audiences properly, a research about the inclinations, the conflicts and the practices of meanings within their reception from a view of an insider are needed. This study focused on animation fandom investigates the procedure of the reception of popular culture which was considered as a merely ''consumption'' behaviour and then is found as a realm of cultural ''production'' and cultural ''practice''. Thus, it is designed to observe the whole context of the reception including everyday lives beyond the confines of narrow readings of texts. Speaking of the used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participation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embers of the animation fan club, Manhwasarang in Y University were performed from 20th, October to 2nd, December, 2005. The research problems are the following. ; Firstly, how are tastes of animation fans constructed in relation to official culture? Secondly, What experiences of pleasure are given to them by animation fandom? Thirdly, What is the cultural production and cultural practices based on this animation fandom? After proceeding this study, the research finds that animation is located in the margin relatively to the dominant culture, thus, this marginal position gives negative impression to its fan. Furthermore, policies relevant to animation have reproduced cultural lack. Animation fans show active reception in conflict with the dominant culture. They have diverse ways of reading texts and produce pleasure on their own initiative while reading them. Also, their keen perce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dominant culture leads them to critical cultural practices to resist it. In addition, Animation fandom constructed by its fans draws individual pleasure of reading and resistance into solidary ones in order to ensure their sphere against the dominant culture. To be brief, these animation fans produce their own cultural styles, overcome the condition of cultual lack, and expect their new emergent culture in a society. Although this research is limited to a case study of animation fandom, it is meaningful in that it finds out audiences to influence a culture and their active ways of practice and production.

비고 : MVC-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