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텔레비전 코미디의 수용과 일상적 실천: 웃음 텍스트를 둘러싼 권력관계와 저항성의 실천적 의미에 관하여
  • 저자명|유경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텔레비전 코미디 웃음 즐거움 텍스트 해독 문화실천 저항성 권력관계 이데올로기 패러디 유행어/ TV Comedy Laughter Pleasure Text Decoding Cultural Practice Resistance Power Relationship Parody Fad Word Ide

국문초록

본 연구는 대표적인 웃음 텍스트인 텔레비전 코미디 텍스트를 통해 웃음과 즐거움에 개입되어 있는 권력관계와 지배-저항의 문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텍스트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으면서도 수용자의 자율성과 저항성을 퇴색시키지 않는 연구방법을 모색하였다. 수용자의 실질적인 저항성을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고, 이에 대해 두 가지의 방법론을 통해 제시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r\n\r\n첫째, 텔레비전 코미디라는 문화적 텍스트를 수용하는 과정에 권력이 어떠한 형태로 개입되어 있는가를 포착하고, 이 과정에서 소극적 의미화 과정으로서 발현되는 웃음의 성격과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에는 웃음 텍스트의 극내 권력관계와 극외적 권력관계, 텍스트와 수용자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개입되는 권력관계가 모두 포함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인 [웃찾사]와 [개그콘서트]의 각 코너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를 분석함에 있어 본 연구자는 텔레비전 코미디 텍스트 수준에서 수용의 저항성을 고려하되, 그 의미를 과도하게 찾기보다는 그러한 저항성을 강제하는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는 첫 번째 연구문제가 수용자의 일상적 실천에 관한 질문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질문이기 때문이다. 즉, 텍스트 분석은 지배와 저항의 문제에서 지배에 기울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또한, 텍스트 수준에서 텔레비전 코미디 텍스트가 지닌 저항성을 약화시키고 수용자의 일탈과 저항의 자유로운 흐름을 강제하는 지배적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자의 자유로운 일탈과 저항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구조들이 텍스트 수준에서는 제한적으로 발견되고는 있지만, 그것이 저항적이고 일탈적 해독으로 나아가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텔레비전 코미디 텍스트를 수용하는 의미화 과정에서 권력은 계급적 저항성이나 전복성에 뒤틀리기보다는 기존의 질서와 가치를 강화시키는 구조에 적극적으로 개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자본주의적 질서와 가치, 루키즘의 강조로 나타나고, 동시에 여러 사회적 실제 관계 속에서 다수의 정상성을 확인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권력의 개입을 통해 웃음은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현실적 이해관계를 위한 자기처벌과 다수의 공모적 성격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수용자의 저항성의 근거가 되는 웃음의 에토스가 권력의 개입에 의해 조절되고 통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r\n\r\n둘째, 저항성의 실천적 의미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문제로서 유행어와 코미디 상황 패러디를 통한 일상적 실천의 내용과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텍스트의 해독의 저항성과 그로 인한 즐거움이 문화적 실천으로 연결되는 지점과 그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서, 그동안 문화연구에서 집중해 온 해독과정에서 수용자의 저항성보다 일상공간에서의 수용자의 실천적 행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웃찾사]와 [개그콘서트]를 즐겨 보는 대중문화의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웃음텍스트를 활용한 일상공간에서의 문화적 실천은 전유와 재전유, 왜곡, 변형 등의 과정을 거치며 그것이 담지하고 있는 저항성을 유감없이 표출한다. 응답자들은 의미 없이 사용되는 것처럼 보이는 유행어나 상황 패러디를 통해 자신을 표현하기도 하고, 때로는 친밀감을 확인하거나 과시하기도 하며, 독특한 놀이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기존의 위계질서를 비틀기도 하고,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저항적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하며, 자체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기도 한다. 그러나 웃음이 권력과 지배질서의 이데올로기와 결합되면 그 행위 역시 제도적 질서를 받아들이는 수동적 행위에 불과하게 되며, 이 때문에 일상적 실천이 내포하는 저항적 문화실천의 모습은 온전한 저항성을 발현하지 못하고 지배질서에 포획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헤게모니를 획득하기 위한 힘겨루기의 모습도 보이며, 집단의 구성원으로 포섭되거나 배제되는 일종의 통과의례로서의 제의적 모습이 나타나는데, 이때의 모습들은 기존의 제도적 질서와 의미를 답습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적 실천이라기보다는 제도적 행위의 재구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일견 의미 없어 보이는 유행어와 패러디와 같은 ‘작은’ 일상적 실천 행위들이 제도적 권력과 질서 속에서 다양한 권력관계를 비틀기도 하고 허물기도 하며, 그들만의 놀이와 문화를 생산해내면서 저항성의 실질적 모습들을 구축해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r\n\r\n희극과 소극, 텔레비전 코미디를 포함하여 웃음 텍스트에 관한 연구는 사실 그리 적지 않음에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실천하는 상황과 언술들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으며, 특히 텔레비전 코미디와 관련한 연구는 학문적 영역에서 철저히 소외되어 왔다. 그러나, 텔레비전 코미디는 대표적인 대중문화 텍스트일 뿐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와 결합되어 일상생활 곳곳에 녹아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텔레비전 코미디의 수용의 문제를 시청과정으로부터 일상적 실천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유행어와 개그상황 패러디와 같은 ‘작은’ 문화적 실천이 지니는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요구되며, 본 연구가 그러한 첫 번째 시도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wer relationships between dominance and resistance, intervening in pleasure and laugher through the analysis of comedy shows, the typical text of laughter. With two different methodologies,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presented in this study. The first question is to find out how the power intervenes in the process that a TV comdey show, a sort of the cultural text, is projected to the public and to explai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laughter caused by passive signification. In solving the first question, various power relationships, including inner power relationships of comedy shows and outer ones and ones intervening in interaction between audiences and a text, were all examined. Two popular comedy shows in the country '웃찾사(Oot-Chaat-Saa: people who are looking for laughter)' and 'Gag Concert'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each coner of two comedy shows were analyzed. In the text analysis, elements restraining resistance were critically examined, and it has been carefully avoided to pursue excessively the signification of the resistance. This is why the first quesion is a sort of transition stage for audiences'' daily practice. Thus the text analysis focused more on issues related to dominance than resistance. As the result of first ques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 dominant structure that weakens resistance inherent in the text of TV comedy show and restrains audiences''s deviation and free stream of resistance. Structural requirements for free deviation or resistance of audiences were scarcely found in the texts. There is limit in developing into deviating and escaping decoding.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ower was structurally ad actively involved in the reinforcement of existing systems and values. Laughter strengthens existing social stereotypes, represents conspiratorial nature of the majority. It means audiences ethos of laughter is intervened and controled, on which audience''s resistance is based. The second question is to interpret practical meanings of resistance, where fad words and real-life parody of the TV comedy that has in practical respect. This research focuses on investigating where the detoxicating resistance and its pleasure are transformed into cultural practice and the possibility of such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practice of audiences in their life rather than decoding process which has been a popular subject in the cultural studies. As subjects, audiences of pop culture who favor 'Oot-Chaat-Saa' and 'Gag Concert' were focus-interviewed by groups. From the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cultural practice of the text of laughter in real life has been processed such as appropriation and re-appropriation, distortion, and transformation, and audience expressed its resistance actually. Interviewees answered that they expresses themselves, confirms or shows off intimacy, or forms their own unique play culture through fad words or parodies of TV comedy which seemingly appears without particular meaning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such behaviors distort existing systems, become effective resisting tools against existing values, and even stretches out to establish their own new systems. However if the laughter gets associated with power and dominant ideology, real-life practice related to such laughter becomes a mere receptive action of agreeing existing systems and values, which might make the resistance that should be inherent in such cultural practice weakened and eventually captured by the dominant social systems. In the process, battles for hegemony can emerge and also certain ritual features of rite of passage, to draw in or remove members from a group, can arise. In that this state represents duplication of existing systems and their meaning, it would be close to re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ized practice, rather than cultural practice. Nevertheless it should be noted that petty practice of comedy audience`s using fad words or parodies sometimes distort or destroy various power relationships existing in fixed institutions and systems, and gradually establish substantiality of its resistance through new unique play cultures. Laughter texts, especially TV comedy shows have never been considered as a feasible subject of such study so far.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V comedy shows are not only the symbolic text of pop culture but also a very influential factor of our life due to their linkage with various media. Therefore we now should shift our position from not just mere audition to actual practice in our culture, and actively study to interpret and analyze meanings of ''petty'' cultural practice such as fad words and parodies in our real-life. In this light, this study will have its significance as the first attempt to consider the consumption of comedy shows as actual practice.

비고 : MVC-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