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뉴미디어 예술의 인터페이스 연구
  • 저자명|문경원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시각과 시각성 시각언어 인터페이스 뉴미디어 예술촉매 중간영역 상상력 소통 이미지 미디엄 바디/ Vision and Visuality Visual LanguageI nterface New Media Art Catalyst Inter-domain Imaginations Communicat

국문초록

오늘날 급변하고 있는 뉴미디어 환경은 시각 변동을 야기하는 새로운 시각 언어를 생산하고 있다. 시각 언어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사유를 반영해주는 시각 현상을 통해 고찰할 수 있다. 특히 예술은 재현의 역사를 통하여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역동성을 표출한다. 뉴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다양해진 시각 예술은 시각의 개념적 확장을 활성화하며 예술의 새로운 지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수많은 이론적 논의를 촉발하고 있으며 변화된 ‘시각성(Visuality)’ 을 함의한다.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패러다임은 예술에 큰 파급 효과를 끼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의 표면적인 형식에 집중하기보다는 뉴미디어의 속성을 이해할 새로운 시각과 구체화된 관점을 갖추어야 한다. 실제로 뉴미디어 예술작품에서는 기존 예술과 달리 미디어의 원리와 속성이 작품의 구조와 형식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뉴미디어의 원리와 그에 대한 이론의 고찰을 통해 뉴미디어 예술 실천을 새롭게 범주화하는 실제적인 개념과 분석이 요구된다.\r\n\r\n뉴미디어 원리에 의해 새롭게 구현되는 미적 체험과 지각의 확장은 예술적 상상력과 자율성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는 미디어와 의식 사이에 다양한 경로를 구축하여 사유를 확장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이 논문에서는 뉴미디어의 ‘작용’과 ‘발생’의 영역에 접근할 하나의 연구 방법론으로서 인터페이스 개념을 제안한다. 원근법이 근대적 시각을 형성해준 결정적 방법론으로서 다양한 예술적 실천을 가능하게 했다면, 인터페이스는 변화된 뉴미디어 예술이 펼치는 스펙트럼의 구체적 경로를 포함하여 오늘날 새롭게 개념화되는 시각 체제를 이해하는 유용한 개념을 제공한다. 즉, 두 객체 사이의 물리적 매개체로서 형성된 인터페이스의 본래 의미는 예술적 실천을 통해 기술적 차원에서 내용적 차원으로 자연스럽게 발전한다. 즉 인터페이스의 기능은 관념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실재(가시적 대상)와 정신(비가시적 세계) 사이에 실천적인 방법론을 구축하는 시각 언어가 된다. 따라서 뉴미디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확장된 개념적 규정은 새로운 시각예술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틀로서 유형화될 수 있다. 뉴미디어 예술의 인터페이스는 예술 작품의 ‘프레임’과 ‘스크린’의 전략적 구성을 통해 개념화된다. 하나의 환경으로서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촉매’ 작용, ‘중간 영역’의 형성, ‘상상력’의 구조적 결합, 새로운 ‘소통’의 채널 등의 속성을 드러낸다. 이들 속성은 사유의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자율성을 확장하고 새로운 세계를 형상화하는 예술의 원동력으로 발전한다.뉴미디어 예술의 발현 형태는 예술(세계)―미디어(테크놀로지)―인간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한다. \r\n\r\n이에 연구자는 예술 작품과 관람자를 매개하는 뉴미디어의 속성에 따라 해석과 의미의 체계로서 ‘이미지 인터페이스’,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미디엄 인터페이스’, 그리고 공감각적 지각의 통로로서 ‘바디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이미지 인터페이스는 수적 재현과 추상성, 합성과 변형에 의한 새로운 환영을 실행하고 비가시적 세계를 구현한다. 미디엄 인터페이스는 상호작용을 통해 고정적 거리를 붕괴시키고 감각과 지각을 확장하며 인터리얼리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바디 인터페이스는 비결정적 시공간의 가상성을 통해 공감각적 경로를 구축한다. 이처럼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분석은 뉴미디어 예술의 시각적 변용을 구체화하고, 근대적 시각 체제의 변화양상을 드러내준다. 근대 이후 특권화된 주체의 시점은 다변화되고, 비결정적 구조에 의한 유연한 시각이 부상한다. 변화된 거리 설정과 유동성은 시공간의 변화를 초래하고, 새로운 가상세계를 형성한다. 수적 재현에 의한 가변성과 임의성은 새로운 실재와 상상의 시각을 구현한다. 연속성과 현전성에 의한 상호작용은 동적 감상을 실현한다. 시각은 통감각(通感覺)을 동반하는 지각적 구현 양식으로 이행되며 신체의 수행과 융합을 적극적으로 전개한다.이 연구는 인터페이스의 확장된 의미를 통해 뉴미디어 형식을 예술로 물화하는 근본 원리에 대한 하나의 분석적 시각을 제시한다. 아울러 핵심적인 시각성의 변화를 가속화하는 징후로서 뉴미디어 예술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탐색하고 새로운 시각언어의 가능성을 조망한다.

영문초록

Today'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New Media has given birth to a brand new visual language, which provokes and demands changes in visual sensibility. The visual language can be studied by examining various visual phenomena that closely reflect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their context. Especially in art, the consequences of such changing environments in New Media become expressed as dynamic visual phenomena. The recent emergence of New Media has vitalized the conceptual expansion of the visual art itself, which has already produced diverse styles and modalities, and presents yet another particular configuration of art. This latest trend has stirred up numerous theoretical debates and discussions and evolved to imply the new concept of 'visuality'.The new paradigm, which is based on the digitization of images with the computer technology, distinctively sets apart the current art from the traditional art.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novel intrinsic aesthetic view to overcome the current emphasis on mere technical aspects of artistic expression and to sublimate this phenomenon as the autogenous dialectic of the art world. In fact, the principle and attributes of media are the important cause to define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se New Media artworks. Therefore, only through the careful speculation of the theory and principle behind the New Media, one can categorize the concepts and analyses of the current artistic phenomena.The unique aesthetic dimensions along with the newly acquired widened perception in nature could make it possible to actualize the artistic imagination and autonomy. It also brings about the expansion of thoughts by actively providing various links between media and cognition. Here, I would like to present the concept of the 'Interface' as one methodology to study these phenomena in respect to its role as the agent to make it happen. As the perspective once became the definitive tool to establish the modern sense of sight and enabled the realization of diverse artistic ideas, the 'Interface' is the concrete operations for the diverse spectrum displayed by ever-changing New Media Art. Moreover, the 'Interface' provides the valid concept to reflect the newly conceptualized scopic regime.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interface, which was originally defined as a physical intermediary between two objects, has naturally evolved from a mere technical definition to a new level with contents in the milieu of New Media Art. As the role of Interface expands on its conceptual level, it also becomes the visual language to create the practical method to link the real (visible object) and the mind (invisible world). Therefore, this novel and conceptually expanded definition of the New Media Interface can be employed as a typological frame to analyze the current artistic phenomena.The 'Interface' of New Media Art can be conceptualized by the strategic formation of the 'frame' and 'screen', which are already revealed in existing art. In addition, the actu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can include the following four concepts: its role as the 'catalyst', to form the 'inter-domain', to structurally combine 'imaginations', and as a new channel of 'communicat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ultimately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art to expand its sensual autonomy and to configure the novel world.The birth of New Media Art has creates a new relationship among art, technology and man. The new visual space created by the Interface comprises of the 'Image' that encompasses its changing nature and meaning, the 'Medium' that establishes new symbiotic relationship through mutual interactions, and the 'Body'of the synesthetic passages. Specifically, as the 'Image Interface', it presents the numerical representation and abstraction, the illusion of composition and transformation, and the embodiment of the invisible world. As the 'Medium Interface', it demolishes the fixed distance through the mutual interaction, expands the sensitivity and perception, and develops the inter-reality. As the 'Body Interface', it forms the synesthetic passage as the subject-in-interface by creating the virtuality of the undetermined visual space.The present analysis of the 'Interface' as a newly established methodology makes it possible to actualize/materialize the visual affection of New Media Art and to encompass the changed visual system. Especially in modern age, each individual subject's diversified points of view have become privileged and emphasized. The various points of view demonstrate the fluidic and undetermined nature of the Interface. The establishment of new distance and fluidity allows such synesthetic changes and formation of 'virtual' worldly-view. Numerical representation, which results in variability and randomness, embodies the novel 'Real' and insubstantial vision/sights. Furthermore, the interactivity with its basis on infinity and present-ness enables the dynamic appreciation of New Media Art. Ultimately, Vision becomes a perceptive expression modality that accompanies the completeness of senses and further develops into the actively performing body and the embodiment.In summary, this study on New Media Art Interface presents analytic view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the reification of media tool into an original class of art. Likewise,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e New Media Art Interface as an indicator of the accelerated changes happening at the core of visuality. Taken together, the discussion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the significant and meaningful outlook on the novel form of contemporary visual language.

비고 : PVC-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