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 인디 뮤지션의 주체화 과정에 대한 연구 : 인디씬 내 담론과 수행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박수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국문초록

2015년 페미니즘 리부트,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은 오 랫동안 제대로 된 주체로 인정받지 못했던 여성들을 재-주목하게 만들었다. 그중 이 연구는 ‘인디씬’의 생산 주체로서 ‘여성’에 주목했다. 1990년대 초중반 형성된 인디씬은 매스컴의 의도된 오도와 당시 인디 뮤지션들이 영향 받은 해외 뮤지션들의 이미지 등에 의해 ‘저항’, ‘반항’적인 요소를 지닌 곳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자 본의 영향으로 “달달한 사랑 노래”가 마치 ‘(여성) 인디 음악’의 전반을 담당하 는 한 장르처럼 해석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과 달리 인디씬에는 다양한 장 르가 존재하며 인디 뮤지션들을 저항과 반항에만 비춰 바라보는 것은 옳지 못하다. 기존 ‘인디씬’을 둘러싼 대다수의 연구들은 인디씬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대 안적 행위들이 가능한 ‘대안 공간’으로써 혹은 여전한 ‘저항 공간’으로 상정한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그러한 흐름 단절하며 시작점부터 다른 위치에 선다.

이 연구는 ‘인디씬’을 저항이 가능한 공간이 아닌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스 스로 하고 싶은 음악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해한다. 2000년대 초반 생성되기 시작 한‘포스트 하위문화’의 흐름을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적지 않은 분량을 할애해 그간 인디씬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사용했던 ‘하위문화’이론을 국내에 적용 하는 것의 문제점을 짚고 그 대체제로써 ‘포스트 하위문화’가 지닌 당위성에 주목 했다. 이를 통해 인디 뮤지션들이 인디씬에 모여드는 이유가 저항, 반항이 아닌 대중 음악씬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은 인디씬의 특성 때문임을 알 수 있었고 무엇보다 ‘자 율의지’가 인디씬을 찾는 가장 핵심적인 배경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나아가 연구는 ‘자율 의지’를 가지고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드는 공간으로써‘인 디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의 ‘여성 생산자’에 보다 깊은 초점을 맞추었 다. 논문을 계획하며 연구자는 생각보다 인디씬에 관한 접근이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 음을 알 수 있었는데 추론컨대 그것은 ‘인디씬’이 마이너한 장르로써 주류에서 멀 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때 ‘여성 생산자 주체’인 ‘여성 인디 뮤지션’은 박애경(2001)의 지적대로 ‘소수자 중의 소수자(minority of minority)’에 속한다. 즉, 여성 인디 뮤지션은 다소 획일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인디씬의 연구 경향 속에서 한 차례 더 소외되며 제대로 된 연구 주제 혹은 주체로서 주목 받지 못했다. 연구자가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된 문제의식 중 하나다.

‘포스트 하위문화’를 이론적 토대로 삼아 자율 의지를 갖고 인디씬을 찾은 다양한 주체들에 대해 이야기 했다면 ‘여성 인디 뮤지션’들의 현재는 버틀러(Butler)의 ‘수행/성’이론을 통해 바라보았다. 행위 뒤에 주체를 가정하는 수행(performance) 과 주체를 가정하지 않는 수행성(performativity) 논의를 바탕으로 인디씬 내의 여성 들의 행위를 적극적으로 주목하고 이들이 어떤 수행 제약을 겪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여성으로서의 ‘성별’에 갇히지 않고 ‘인디 뮤지션’이 될 수 있는지 까지 살펴보 았다. 총 8명의 여성 뮤지션을 심층 인터뷰의 대상으로 삼았다. 더불어 이 외에도 3 명의 남성 뮤지션을 따로 만나 ‘인디 뮤지션의 정체성’과 같은 부분을 중점적으로 물으며 연구를 위한 참고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끝으로 보조적 연구 방법으로 ‘홍 대여신’이란 단어를 사용한 네이버 기사 27개와 디시인사이드 ‘인디 밴드 갤러리’ 에 형성된 여성 담론의 지형을 따라가 봄으로써 인디씬 내 여성들의 위치를 파악했다.

이 연구는 인디씬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할 때 인디씬을 그저 저항의 공간으로만 바라보지 않았다는 측면에서, 또한 이 안에서 소수자 중의 소수자로 제대로 된 관 심을 받지 못했던 ‘여성 인디 뮤지션’에 주목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여성 생산 주체들이 겪는 현실적 제약을 그저 제약의 나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 제적으로 그들의 경험을 구체화할 수 있는 제도권 언론과 인디씬 내부에 형성된 담론 을 제시함으로서 체계성을 더했다. 이를 통해 여성들이 말하는 수행 제약이 그저 개 인의 경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보다 확실하고 선명한 의미에서 체감되는 제약이 있 을 수밖에 없음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것은 오랫동안 비가시화 되어 왔던 여성 인디 뮤지션들의 현실을 생생하게 조명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몇몇 경우 이들이 마주한 차별과 피해를 자세히 공유하는 것이 조심스러울 정도이 기도 했다. 때때로 굉장히 열악하다고 느껴지는 인디씬 내 여성 뮤지션들의 현재에 주목한 이 연구는 이후 인디씬을 향한 더욱 양질의 주목과 연구가 이어질 가능성을 만든다. 또한 인디씬과 대중 음악씬의 경계가 연해지고 지금 인디씬의 여성 뮤지션들 이 겪는 수행 제약은 나아가 여성이 대중 음악씬에서 겪는 활동 제약을 가늠케 하는 선행 지표가 되기도 한다.

영문초록

The series of events that took place after the feminist reboot in 2015 and the murder of Gangnam Station in 2016 has drawn attention to women who have not long been recognized as proper subjects.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women' as the main producer of indie scene. The indie scene, which was formed in the early and mid-1990s, was recognized as a place with ‘resistance’ and ‘rebellion’ elements due to the intended miscommunication of the media and the image of overseas musicians affected by indie musicians at that time. In addi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apital, ‘sweet love songs’ were interpreted as a genre in charge of the overall ‘(women) indie music’. However, contrary to this perception, there are various genres in indie scenes, and it is not right to look at indie musicians only for resistance and rebellion. Most of the studies surrounding the existing ‘indie scene’ have nonetheless assumed indie scene as an ‘alternative space’ where any alternative acts are possible, or as still a ‘resistance space’. This study breaks off such flows and takes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starting point.

The study understands indie scene as a space where you can do music you want to do on your own according to ‘autonomous will’, not a space where resistance is possible. The flow of ‘post subculture’ that began to be created in the early 2000s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It pointed out the problem of applying the theory of ‘subculture’ to Korea, which has been used by a number of studies on indie scenes for a long time, and paid attention to the legitimacy of ‘post subculture’ as an alternative. This showed that indie musicians gathered in the indie scen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e scene, which has lower barriers to entry than the mainstream music scene, not resistance and rebellion, and above all, ‘autonomous will’ was the most important background for finding the indie scene.
Furthermore, the research focused more deeply on the ‘women producers’ in the indie scene as a space where various people gather with autonomous will. women indie musicians, who are women producers, are among the ‘minority of minorities’ as pointed out by Park Ae-kyung(2001). In other words, women indie musicians were once again alienated from the research trend of indie scenes, which had been somewhat uniform, and were not noted as a proper subject or subject of study.

If we talked about the various subjects who visited the indie scene with autonomous will using ‘post subculture’ as a theoretical basis, the current theory of women indie musicians was viewed through Butler's ‘performativity’ theory. Based on the ‘performance’ that assumes the subject after the action and the ‘performativity’ that does not assume the subject, I actively noted the actions of women in the indie scene and even examined what restrictions they have on their performance and whether they can eventually become ‘indie musicians’ without being trapped in ‘gender’ as women. A total of eight women musicians were targeted for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hree male musicians were met separately to ask questions such as ‘indie musician's identity’ and obtain reference information for research. Finally, 27 NAVER articles using the word "Hongdae goddess" as an auxiliary research method and the topography of female discourse formed in the DC INSIDE ‘Indie Band Gallery’ identified the location of women in the indie scen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d not see indie scenes as just a space of resistance, and also in that it focused on ‘women indie musicians’ who were not properly paid attention as a minority among minorities. It also added systematicity by presenting discourse formed inside the institutional media and indie scenes that can materialize their experiences.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restrictions that women talk about do not just stay in individual experiences, but there are actually restrictions that are felt in a clearer and clearer sense.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vividly sheds light on the reality of women indie musicians, which have long been invisible. This study, which pays attention to the present of women musicians in the indie scene, which sometimes feels very poor, creates a possibility of more quality attention and research toward the indie scene. In addition, the boundaries between the indie scene and the mainstream music scene have been narrowed, and the restrictions on performance by women musicians in the indie scene are further leading indicators of the restrictions on women's activities in the mainstream music scene.

비고 : MCS-2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