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 누아르 영화의 위상과 표상
  • 저자명|강봉래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필름 누아르, 네오 누아르, 홍콩 누아르, 글로벌 누아르, 한국 누아르, 남성 멜로드라마, 여성 범죄드라마, 하드보일드 묵시록, 거세의 주체, 증상의 주체, 외상의 주체

국문초록

필름 누아르는 194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할리우드에서 만들어진 일련의 범죄 영화들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1950년대 이후 주춤하던 필름 누아르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과도기를 거쳐 1980년대와 1990년에 네오 누아르로 부활했다. 1970년대의 필름 누아르는 편수는 적지만 누아르의 역사에 인상적인 족적을 남겼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영화는 <차이나타운>, <나이트 무브>, <택시 드라이버> 등이다. 이 영화들은 고전 누아르 시대의 정전을 잇는 뉴 할리우드 시대의 포스트 정전이다. 이 영화들은 고전 누아르의 세계를 확장하고 전복했다. 1980년대의 네오 누아르는 에로틱 스릴러라 불리던 영화들이었다. 시작은 1981년의 <우편배달부는 벨을 두 번 울린다>였다. 같은 해에 <보디 히트>가 나오고, 이 흐름은 <위험한 정사>로까지 이어진다. 1992년은 네오 누아르의 분수령이 된 해이다. 이 해에 <원초적 본능>과 <저수지의 개들>이 개봉했다. 1990년대 중반은 네오 누아르에서 글로벌 누아르로 넘어가는 전환기였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영미권에 한정되었던 누아르는 세계 전역으로 확산하였다. 글로벌 누아르를 견인한 영화는 <펄프 픽션>이었다. 1960년대 이후 오랫동안 잠잠했던 한국 누아르도 이 시기를 전후해 부상했다. <걸어서 하늘까지>를 시작으로 <게임의 법칙>과 <초록물고기>가 이 시기에 개봉했다. 1990년대 중반을 넘기며 한국 누아르는 주류 장르의 위치에 올라섰다. 2000년을 전후한 시기는 한국 누아르의 전성기였다. <해피엔드>, <텔미썸딩>, <킬리만자로>, <파이란>, <피도 눈물도 없이>, <복수는 나의 것>이 이 시기에 개봉한 영화들이다.
논문의 질문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필름 누아르는 무엇인가. 둘째, 한국 누아르는 무엇인가. 셋째, 한국 누아르는 한국 사회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필름 누아르는 무엇인가 하는 첫 번째 질문은 다시 두 질문으로 분기한다. 필름 누아르는 장르인가 아닌가. 필름 누아르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필름 누아르가 장르인지 아닌지, 장르가 아니라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장르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통해 규명된다. 나는 이 질문을 릭 알트먼의 장르 이론인 의미론과 통사론을 통해 규명한다. 장르의 의미론과 통사론은 장르의 언어 규약을 해명하는 이론이자 방법론이다. 장르의 의미론과 통사론은 필름 누아르의 좌표를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도구이다. 두 번째 질문인 한국 누아르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두 가지 의제를 경유한다. 하나는 한국 누아르는 왜 20년간 단절되었다가 1990년대 이후에 다시 등장했는가 하는 의제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 누아르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하는 의제이다. 한국 누아르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역사적인 접근과 구조적인 접근을 요청한다. 역사적인 접근은 한국 누아르의 궤적을 여러 인자들의 영향 관계 안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홍콩 누아르라는 중요한 인자가 포함되어 있다. 구조적인 접근은 한국 누아르는 할리우드 누아르와 홍콩 누아르와 어떻게 다른가, 그리고 한국 누아르만의 독특한 특질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나는 한국 누아르의 특성을 세 가지 하위 계열로 분류했다. 첫 번째 계열은 남성 멜로드라마, 두 번째 계열은 여성 범죄드라마, 세 번째 계열은 하드보일드 묵시록이다. 남성 멜로드라마는 남성이 주인공인 영화들이다. 여성 범죄드라마는 여성의 범죄를 다루는 누아르 영화들이다. 그리고 하드보일드 묵시록은 한국 사회의 파국을 그리는 영화들이다. 논문의 세 번째 질문인 한국 누아르는 한국 사회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하는 의제는 개별적인 텍스트들의 분석을 통해 접근한다. 각각의 텍스트 속의 인물들을 통해 당대 한국 사회의 증상들을 읽고, 시대의 경과에 따라 이 징후들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추적한다. 한국 누아르 속 주체들이 재현하는 한국 사회는 어떤 모습인가. 영화 속 인물들이 표상하는 파국은 어떤 양상인가. 한국 누아르 영화 속 인물들의 죽음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런 질문을 던진다.
논문의 차례는 이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논문의 문제 제기에 해당하는 글이다. 이 장은 필름 누아르는 왜 장르가 아닌가 하는 질문을 제기한다. 3장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장르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 장에서는 장르를 규명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장르 영화의 의미론과 통사론을 제안한다. 4장은 필름 누아르의 의미론과 통사론을 정립한다. 의미론은 필름 누아르의 시각적 요소들과 공간들의 특성을 통해, 통사론은 필름 누아르의 서사 형식과 인물들을 통해 구축한다. 5장은 한국 누아르의 위치에 대한 탐색이다. 이 장에서는 한국 누아르의 궤적과 한국 누아르의 좌표를 탐색한다. 한국 누아르와 액션영화의 관계, 한국 누아르와 네오 누아르의 관계, 한국 누아르와 홍콩 누아르의 관계를 고찰한다. 6장은 한국 누아르 텍스트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한국 누아르의 주요 텍스트들의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의 주체성과 타자성을 진단한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조명하고 당대의 현실이 영화 안에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 추적한다. 나는 한국 누아르의 남성 멜로드라마, 여성 범죄드라마, 하드보일드 묵시록을 각각 거세의 주체, 증상의 주체, 외상의 주체라는 틀로 분석했다. 남성 멜로드라마에서 여성 범죄드라마로, 그리고 하드보일드 묵시록으로 옮겨 갈수록 파국의 강도는 심해지고 죽음의 숫자도 늘어난다. 하드보일드 묵시록은 집단적 죽음으로 끝난다. 논문은 한국 누아르 영화의 죽음의 의미를 묻는다.

영문초록

Film noir is a term used to refer to a series of crime films made in Hollywood from the 1940s to the 1950s. Film noir, which had stagnated after the 1950s, was revived as neo-noir in the 1980s and 1990s after a transition period in the 1970s. The film noir of the 1970s, although few in number, left an impressive mark on the history of noir. Films representing this period include , , and . These films are the post-canon of the New Hollywood era, continuing the canon of the classic noir era. These films expanded and subverted the world of classic noir. In the 1980s, neo-noir films were called erotic thrillers. It started with in 1981. In the same year, was released, and this flow continued to . 1992 was a watershed year for neo-noir. In this year, and were released. The mid-1990s was a transition period from neo-noir to global noir. Since the mid-1990s, noir, which was limited to the United States, has expanded to all over the world. The film that led global noir was . Korean noir, which had been dormant for a long time since the 1960s, also emerged around this period. Starting with , and were released during this period. By the mid-1990s, Korean noir had risen to the status of the mainstream genre. The period around 2000 was the heyday of Korean noir. , , , , , and were released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asks three main questions. First, what is film noir? Second, what is Korean noir? Third, how does Korean noir represent Korean society? The first question of what is film noir diverges into two questions again. Is film noir a genre or not? If not a genre, what is film noir? The answer to this question hinges on the question of what a genre is. This study addresses this question relying on Rick Altman’s genre theory, semantics and syntax. Semantics and syntax is a theory and methodology that explains the linguistic conventions of genres. Semantics and syntax i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etting the coordinates of film noir. The second question, what is Korean noir, involves two related questions. One is why Korean noir was lying dormant for 20 years and then resurfaced after the 1990s, and the other is how to define Korean noir. The question of what is Korean noir calls for a historical and structural approach. The historical approach is to identify the trajectory of Korean noir with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This includes Hong Kong noir, a factor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noir. The structural approach raises the question of how Korean noir differs from Hollywood noir and Hong Kong noir, and what are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Korean noir. I have classified Korean noir into three cycles. The first cycle is a male melodrama, the second cycle is a female crime drama, and the third cycle is a hard-boiled apocalypse. Male melodramas are films with a male protagonist. Female crime dramas are noir films about women's crimes. And the hard-boiled apocalypse are films depicting the disintegration of Korean society. The third question, how Korean noir represents Korean society, is approached by analyzing specific texts. The symptoms of Korean society are read through the characters in each text, and how these symptoms have changed over time is traced. What does Korean society look like that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s in Korean noir? What kind of integration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s in the film? What is the meaning of death of subjects in Korean film noir? I ask these questions.
Chapters consist of these questions. Chapter 2 raises the question of why film noir is not a genre. Chapter 3 raises the question of what a genre is to answer this question. In this chapter, I propose the semantics and syntax as a methodology for identifying genres. Chapter 4 establishes the semantics and syntax of film noir. Semantics establish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elements and spaces of film noir, and syntax constructs through narrative forms and characters of film noir. Chapter 5 is an exploration of the status of Korean noir. In this chapter, I explore the historical trajectory and coordinates of Korean noir. I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noir and action film, Korean noir and neo-noir, and Korean noir and Hong Kong noir. Chapter 6 delve into an analysis of specific texts from Korean noi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xts of Korean noir, the subjectivity and otherness of Korean society are explored. It elucidate the contradictions between desires and ideologies of Korean society since the 1990s. This study analyzed male melodramas, female crime dramas, and hard-boiled apocalypse into the framework of the subject of castration, symptoms, and trauma, respectively. Moving from a male melodrama to a female crime drama to a hard-boiled apocalypse, the severity of disintegration and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 The hard-boiled apocalypse ends with a collective death. This study asks the meaning of death in Korean film noir.

비고 : PVC-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