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Fashion Blogs as a New Media for Communicating Global Fashion Images
  • 저자명|Susan Jo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패션 블로그, 패션 구조, 문화 매개자, 재매개, 온라인 패션 미디어/ fashion blog, fashion system, cultural intermediary, remediation, online fashion media

국문초록

2000년대 이전까지 ‘패션 블로거(fashion blogger)’라는 용어는 일상생활은 물론 패션 산업이나 미디어 산업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였지만, 21세기 현재 패션 블로거들은 강력한 문화적 행위자(cultural agency)로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들은 빠르게 증가하며 패션산업이라는 가장 엘리트적인 제도의 일원이 되었고, 패션산업의 사회문화적 변화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새로운 대안적 취향 생산자 집단(new alternative tastemakers)’으로서의 패션 블로거, 그리고 하나의 온라인 패션 제도(online fashion institution)로서의 ‘패션 블로고스피어(fashion blogosphere)’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디지털 뉴미디어로서의 패션 블로그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r\n\r\n첫째, 이 연구는 사회문화적 제도로서의 패션 산업 그리고 재매개(remediation)의 원리들과 같이 디지털 문화를 관통하는 개념들을 살펴봄으로써, 영상문화(visualculture) 속의 패션 블로고스피어의 현 상태에 접근하기 위한 이론적 틀과 관점을 제시했다. 둘째, 뉴미디어 전문가들이 패션 블로그의 미디어적 특성으로 제기한 기존의 함의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러한 미디어적 특성들이 어떠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지니고 있는지 고찰했다. 셋째, 패션 블로고스피어의 행위주체들과 미디어적 요소들을 규명하고 체계화하는 탐색적 연구로서, 21개의 패션 블로그에 대한 중층기술(thickdescription)을 시도했으며, 온라인 참여관찰과 온라인 인터뷰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민속 지학(virtual ethnography)’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했다. 넷째,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패션 블로고스피어 내에서 서로 구분되는 네 가지 패션 블로그 유형을 발견하였다. 수용자 지향적인 산업 내부자(Industry Insider Audience-Oriented), 자기 지향적인 산업 내부자(Industry Insider Self-Oriented), 자기 지향적인 산업 신참자(Industry Novice Self-Oriented), 수용자 지향적인 산업 신참자(Industry Novice Audience-Oriented)가 그 네 가지 유형이며, 이를 중심으로 그들의 미디어 사용 양상과 재매개의 실천들을 해석하였다. \r\n\r\n온라인 패션 제도로서의 패션 블로고스피어 에서, 행위자들은 패션 유통 방식의 전환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중요한 사회문화적, 사회경제적 함의를 갖는 문화 매개자로서 나타난다. 나아가 현재의 패션블로그는 상당히 최근에 등장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문화에서의 미디어와 패션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패션 블로그는 우리가 패션을 영위하고(wear) 또 그것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방식, 패션을 정의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온라인 패션 체계는 물론, 이와 함께 변화하는 패션 미디어의 정경의 중심에 자리한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에서 고찰한 패션과 미디어의 변화 양상이 정보 시대의 디지털 혁명 속 패션문화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초록

Prior to the millennium, the term ‘fashion blogger’ did not exist as a customary word in our everyday use, let alone in fashion’s or the media industry’s collective vernacular. Since then, fashion bloggers have become a powerful cultural agency of the 21st century. It has, thus, become of even more significance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of this group of new alternative tastemakers, considering their exponential impetus from birth to membership in one of the most elite institutions, and the progressive stimuli on the socio-cultural variables of the fashion system. First, by reviewing concepts of transcultural flows, and the fashion system as a socio-cultural institution, this study offer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perspective with which it approaches the state of the fashion blogosphere within visual culture. Second, as of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blog, existing implications by new media experts, and the principles of remediation,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 concise retracing, and structure of its socio-historical context. Third, the study conducts towards finding the elements of the fashion blogosphere as well as its agents under academic conditions. The facilitation of thick description assisted in giving a rich portrait towards an immersive and engaging insight. Fourth, through virtual ethnography, primarily in the form of onlin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secondarily online interviews, following the subsequent data analysis, four distinct types of fashion blogs within the fashion blogosphere were indentified: the Industry Insider Audience-Oriented (IA), Industry Insider Self-Oriented (IS), Industry Novice Self-Oriented (NS), and the Industry Novice Audience-Oriented (NA). Additionally, sub-groupings within these four principal types were analyzed for their media use, as well as forms of remediation in fashion blogs interpreted. This study infers the fashion blogosphere as an online fashion institution that reveals its agents as cultural intermediaries whose significant socio-cultural, and socio-economic ramifications mark a watershed of how fashion has become to be distributed. Furthermore, the current role of the fashion blog has gained momentum that suggests – despite its recent coming to existence – a changing fashion media landscape, in tandem with an online fashion system that has changed the way we wear, see, communicate, assimilate and define fashion. Ultimately, I hope that this study can inspire further, and more in-depth research on online fashion culture in new media, and society.

비고 : MVC-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