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Digital Media Library Project: 온라인 미디어 영상 공간 연구
  • 저자명|이융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온라인 미디어, 영상 공간, Digital Media Library

국문초록

본 연구 프로젝트는 2004년에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진행된 ‘이생규장전’ 워크숍 과정의 다양한 주제들과 논점들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이생규장전 워크숍은 일종의 창작 포럼으로써 김시습의 삶과 문학,이생규장전에 나타난 시의 세계,조선의 성리학과 도가 사상,이생규장전에 나타난 건축 공간,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세계,가상현실(VirtualReality)과 무대공간 이라는 주제들에 대해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세미나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워크숍을 통해 정리된 핵심은 물리적 세계로서의 현실세계와 꿈과 환상의 세계로서의 가상현실에 대한 사유체계를 어떻게 이해하여 새로운 예술로 표현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었다.\r\n\r\n물리적 존재영역에서 구축된 경험과 지식이 새로운 방식의 시각적,청각적으로 표현되는 세계가 일종의 꿈의 세계이며,그것은 미래로 가는 디지털 영상공간의 핵심적인 화두가 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그 화두를 풀어갈 수 있는 기제를 ‘도서관(라이브러리)’에서 모색하였다.특히 워크숍을 통해 접한 ‘안견의 몽유도원도의 세계’는 포스트 디지털시대의 영상공간의 개념과 의미를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훌륭한 텍스트였다고 할 수 있다.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나의 분신’인 아바타의 죽음은 나의 죽음으로 체화(體化)되는 감각이 커지지만 아직까진 내 몸이 배고프고 배설해야 하는 것을 내 아바타가 해결하지는 못한다.이것은 분명 현실세계다.꿈에서 깨어난 세계다.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 프로젝트의 실험적인 특성이 있다.개인이 생각하고,말하고,시각적으로,청각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세계가 온라인 미디어 공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축적될 수 있는가에 대한 기본 연구이다.동시에 이러한 열린 실험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도서관’이라는 개념적 설정을 활용한 글쓰기를 진행하였다.이러한 문화적 상상력을 풀어가는 생각의 단상을 정리한 논문은 앞으로 본격적인 온라인 미디어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한 실제적인 준비의 과정이기도 하다. \r\n\r\n이 기본적인 연구는 온라인 미디어 공간이 물리적 실재(實在)로서 활용되고 있는 현상을 주목하면서 일상세계의 물리적 실재(實在)로서의 지식과 예술이 축적된 문화적 인터페이스로서의 도서관(라이브러리)의 개념과 의미를 논의하여 디지털적 물성을 지닌 도서관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제안을 마련해보는 것이다.우리가 인지하고 느낄 수 있는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은 사실상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단계라고 볼 수 있다.지금 우리가 말하는 ‘물리적 공간으로서의 영상 공간’은 시각,청각,촉각을 중심으로 통합되어 운영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구현된다.문자 중심이 아니라 시각,청각,촉각 등이 작용하는 영상공간이 구성되고 운영되면서 실제적인 물리적 존재감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문화적 인터페이스도 공고해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r\n\r\n본 연구는 앞으로 연세대 영상대학원과 같은 문화콘텐츠 기획과 제작을 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교육기관들에 필요한 실험이다.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에 따라 온라인 미디어공간에 적합한 디지털 미디어 라이브러리 개발의 방향은 달라질 것이다.하지만 온라인 미디어공간의 개념과 실재를 구성하는 전략적 접근의 한 예로써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제적인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능적,논리적인 부분들에 대해서도 논의가 추가될 것이다.또한 가상적으로 연세대 영상대학원의 시각적,청각적 문화콘텐츠를 온라인 미디어 공간 안으로 수용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라이브러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본적인 실험이 진행된다.향후,본 프로젝트를 근거로 하여 연세대 영상대학원에서 필요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실험이기를 바란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how to understand the thinking system of actual reality as physical world and virtual reality as fantastical world, and how to describe it as new art based on the An Kyon''s A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virtual reality and stage space.It regarded world, which describe experience and knowledge built in physical world as new visual and auditory method, as a sort of dreamy world, and it as the core topic of digital image space bound for the future. Accordingly, it sought for the memorial service that can settle the topic in the library. An Kyon''s A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s a good text that can new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image space in the post-digital era. From this side, it is characteristic of experimental project. This is basic study of what such art world as the thinking, talks, and visual and auditory expression can be formed and accumulated in online media space. At the same time, it progressed the writing that put conceptual setting up - ''library'' for effective achievement of this opened experimental project.This basic study discuss the concept and meaning of library as cultural interface that physical realities of usual world, knowledge and art, are accumulated to make proposals of digital properties, library''s form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state that online media space is applied to physical reality.Also, it is necessary experiment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conduct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as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uture like Yonsei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It makes a basic experiment on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library system that can imaginarily take the visual and auditory cultural contents of Yonsei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in online media space. It wish for the applicable experiment that design online media space requisite for Yonsei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 Arts in the future.

비고 : MCD-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