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아트 브르 비주얼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 저자명|정영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아트 브르 ; 비주얼 스토리텔링 ; Art Brut ; visual storytelling

국문초록

'뉴미디어 시대의 이야기하기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한 본 석사논문은 회화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비주얼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이다. 선사시대의 라스코 동굴 벽화로부터 이야기와 미술은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을 나타내면서 각 시대의 과학의 진보와 사회 변화의 흐름을 타고 변화해 왔다. 본 석사논문은 그 중 개인주의적 표현양식인 아트 브르(Art Brut)작품 속에 나타나는 이야기구조와 표현구조를 분석하여 보았다.\r\n\r\n아트 브르는 정신이상자, 어린이,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 예술적 관례가 없는 사람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일종의 미술 형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개인주의적 표현양식은 수세기 동안 마치 일직선상으로 발전해 온 듯 보이는 미술사를 확장시켰으며, 나아가 지금의 현대 미술을 이루는 매너리즘 작품 사례를 통하여 현시대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아트 브르 비주얼 스토리텔링 연구의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매너리즘 양식의 시기는 첫 번째로는 16세기, 두번째로는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로 과학과 사회적 상황이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오늘날 새로운 미디어와 더불어 네오 매너리즘, 네오 바로크 의 용어들이 재탄생되고 있다. 따라서 매너리즘과 아트브르의 미술사적 고찰은 현시대의 문화적 현상의 이해를 돕는 것이기도 하다. 개인주의적 표현양식의 심리적 동기는 획일화 되어가는 정체성에 대한 불안에서부터 오며, 그 불안은 독특한 예술적 표현양식을 창조하게 된다. 또한 개인주의적 표현양식은 다시 문화적 경향으로 흡수된다.\r\n\r\n이미 현시대에 있어서 아트 브르의 표현양식은 더 이상 새로운 기법은 아니다. 그럼에도 본 연구에서 이러한 기법들을 구조적인 틀로 재조명하는것은, 이들의 독특한 개인주의적 시각언어와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본인의 작품에 아트 브르의 구조를 적용해 봄으로써 영상언어로서 구체적인 사고 전개와 표현방법의 확장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개인주의적 이야기는 획일화되어 가는 정체성과 욕망에 대한 이탈의 이야기이며 동시에 비지배적 집단들에게 필요한 담론의 역할도 할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기도 한다. 그것은 자서전적 자아 성찰의 이야기로 그 시대의 역사적 상황, 사회 물질적 상황과 맞물려서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근본적으로 영상을 이미지의 매체라고 볼 때, 회화의 연구는 영상매체의 상위개념으로서 활발한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영문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f visual storytelling in painting, inspired by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the art of stroytelling in the age of new media?"\r\n\r\nSince the pre-historic mural painting of Lascaux, story and art have been the source of man's original desire and changed periodically through techn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the art itself has been categorized into many genres. This thesis scrutinizes how narrative structure can be shaped when the content carries teh egoistic sensitivity of Art Brut.\r\n\r\nArt Brut is a term that describes the artistic style carried out by people with insanity or alienation, with no professional trianing in art. This sort of individualistic and egotistic expression has surprisingly broadened the scope of art history, which tended to have evolved in a linear way otherwise. Art Brut even propelled the emergence of modern art and continued to be the archetype of the new.\r\n\r\nThis thesis offers a new perspective on Art Brut in terms of stroytelling in the age of digital media by placing it in relation to Mannerism, wich can be positioned side by side with Art Brut. There are three critical points in the periods of Mannerism, namely the 16th, 19th, and early 20th century,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cience and society of the time. Even today, one can witness the rebirth of Mannerist terms such as 'Neo-Mannerism' and 'Neo-Baroqu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of individualistic and egotistic expression comes from the anxiety of standardized self-identity, which often leads to expressions that are simultaneously "peculiar" and artistic. This kind of individualistic and egotistic expression then begins to form a cultural tendency. This study intends that the structural side of these technical expressions can produce very unique and individual visual language and narrative structure.\r\n\r\nTherefore, the aesthetical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of Art Brut and Mannerism is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cultural phenomenon in this age of new media, thus to creatively narrate a story of our time.\r\n\r\nThis study proposes a set of working methods that utilize the basic principles of Art Brut. My animation piece <99/100> functions as an example of such methods. Art Brut, not only tells a story of individual expression detached from the standardized desire and identity, but it also implies that there is possibility for discourses for the social alienated individual because it is an autobiographical story of self-reflection through peirod's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r\n\r\nFinally, concluding this thesi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ictorial imagery of still images becomes essential to the development of moving imagery in new media.

비고 : MCD-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