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시제이호와 포임 넘버 투(詩第二號와 POEM no.2 )
  • 저자명|정재원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이상 李箱. 시제2호 ; 이상 ; 시제이호 ; 오감도 ; 일렉트로니카 ; electronica

국문초록

본 연구와 작업의 핵심은, 이상(李箱)의 '시제2호(詩第2號)' 를 분석 해체해 음악으로 만들고 이를 다시 영상화 함으로써, 이제까지 문학 작품을 멀티미디어 작업에 이용하는 주요 수단이었던 '내용, 분위기 그리고 주제 반영' 의 굴레에서 벗어나 '구조'와 '표현기교' 를 근거로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유명 시를 테마로 영상 작품을 제작하는 일은 매우 흔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시의 낭독 혹은 타이포그라피가 이어지는 가운데 '시의 내용 혹은 분위기' 에 관련된 이미지들이 등장하는 단순한 형태에 머물렀다. 음악도 비주얼의 뒤에 깔리는 BGM 수준 이상을 보여주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원작 시를 해체해 음악으로 해석한 후 이를 다시 분석해 비주얼로 제작하는 과정을 거치면, 원작 시의 '멀티미디어 버전' 이자 한 편의 '보고 듣는 시' 로 작품을 완성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아직까지 이렇게 원작 시의 구조와 형식미를 분석해 비주얼로 변환하고, 나아가 사운드와의 연계성까지 실험한 예는 드물다. 이상의 '시제2호' 가 선택된 이유는, 본 작품이 60여년의 시간차를 뛰어넘어 90년대의 일렉트로니카(Electronica)음악과 유사한 스타일을 보여줌으로써 상기의 '구조 분석형 뮤직비디오' 를 작업하기에 더없이 적합한 형태를 갖추었기 때문이다.\r\n이에 연구자는, 먼저 제 1 재료인 일렉트로니카와 제 2 재료인 '시제2호'가 수록된 '오감도'를 각각 분석한 뒤, '오감도'에 수록된 '시제1호'와 '시제2호','시제3호'에 각각 일렉트로니카의 방법론을 대입시켜 가며 고전 시의 새로운 음악적 해석 방법을 제시했다. 이어 상기의 연구를 바탕으로 <시제2호>를 분석 해체하여 일렉트로니카의 방법론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음악 를 완성하고, 나아가 이렇게 완성된 를 동명의 비디오로 시각화(視覺化)하는 최종 작업을 수행했다.\r\n이렇게 최종 완성된 비디오 는 일종의 '소스(source)'이다. 공연 장면과의 교차편집을 이용해 커머셜한 용도의 뮤직 비디오로 사용할 수도 있고, 연주자의 연주에 따라 비주얼이 변화하는 인터렉티브 아트로 개발하는 일도 가능할 것이다. 고전 작품을 현대적 표현 언어를 통해 리뉴얼하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일이지만, 그렇게 재해석한 결과물을 새로운 표현의 단초로 이용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와 작업이 고전 문학 작품을 활용하는 방법의 폭을 넓히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영문초록

The key point of this study and work is to find a new way of producing by analyzing and deconstructing 'Si-Je-2-Ho' of Sang Leei having its basis on 'structure' and 'expression technique' and making it into music. This method deviates from the custom of using 'contents, atmosphere and reflecting of subject' of literary in multimedia works. Making digital visual works using famous poems as a theme is very common, but in most cases it remains at a simple state where the images appears only relating to 'contents of the poem or atmosphere' while the poem is recited or a typography is followed. In fact the music has shown just the level of laying BGM behind some visuals. But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deconstructed poem into music and reanalyzing to make it into a visuali completing the 'multimedia version' or 'watching and listening poem' of the original work is possible. This experimental example of transforming the visual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original poem and even relating it with a sound is very\r\nuncommon until now. The reason that the 'Si-Je -2-Ho' of Sang Lee was chosen is because this work has the most suitable form of making the above stated 'form analyzing styled music video' by jumping the 60 years of time difference and showing similar rnusical style of the Electronica in the g0' s . Here upon, the researcher presented a new rnusical translating method of classical poem. This is done by analyzing the 'o-Kam-Do' first i that includes the first and seconcl material of Electronica and 'Si-Je-Z-Ho', and then substituting the methodology of Electronica into each of the ' S i - J e - 1 - Ho', 'si-Je-Z-Ho' and 'Si-Je-3-Ho' that are included in 'o-Kam-Do'. subsequently, having this study as a basis, the music 'PoEM No. 2' was compreted by analyzing and deconstructing 'Si-Je-2-Ho' and restructuring it into the Electronica methodology. Furtherrnore, the last step of visualizing the completed 'POEM No. 2' into the same namecl video was accomplished. Thus, the final completed video

비고 : MCD-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