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후기 디지털 시대 서울 공공미술 현황과 대안
  • 저자명|양지윤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르페브르의 관점 ; 서구의 공공미술 ; 예술의 사회 참여 ; 관객의 예술 행위 참여 ; public art

국문초록

2005 년 10 월 1 일 청계천 복원공사로 삼일고가 도로가 철거되고 청계천이 복개되었다. 그러나 서울시가 청계천 상징조각물로 미국의 조각가 올덴버그의 으로 선정하여 문화계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공공미술작품을 둘러싼 찬반논란은 한국사회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왔다. 테헤란로 포스코 빌딩 앞의 아마벨 사건, 을지로 3 가 Subway Comic Strip 이라는 이름을 설치되었다가 철거된 벽화 작품 등이 있다.\r\n 성완경은 이런 논란의 근거가 공공미술이 근본적으로 갖는 모순적 성격에서 기이한다고 이야기한다. 공공이라는 가치관과 미술이 가져왔던 작가주의적 성향이 대립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라는 해석이다.\r\n 본 연구는 현재 진행중인 미술장식법 개정안을 둘러싼 미술계간의 의견 차이에서 시작하여 후기 디지털 시대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에서 공공미술이 갖는 가치관의 재정립을 시도한다. 1960 년대 애국선열동상 건립사업에서 시작한 한국의 공공미술은 2005 년 현재 더 이상 공공장소에 있는 미술을 의미하지 않는다. 공동체 공동의 관심, 즉 공익을 위해 존재하는 예술로써 기능한다. 본 연구는 수잔 레이시가 주장하는 뉴장르의 공공미술의 기능을 지지한다. 공공미술을 해석하는 범위를 넓혀보자는 관점이다. 공공미술은 그 작품 선정과정에서 작품의 기능까지 모두 공공적 차원에서 시민들을 위해 존재해야한다.\r\n 공공미술의 문제는 작가의 독백에만 있지 않다. 소통자, 사용자에게 있다. 삶의 현장, 일상의 순간에서 사용자는 창작자가 창조한 소통의 미디어를 통해 미학적 경험을 한다. 예술은 자신의 우월성을 입증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그런 예술을 통해 문화적 삶에 대한 권리를 향유하고 문화적 성숙을 이룰 수 있는 매개체로 존재한다.

영문초록

On October 1st of 2005, the construction of restoration for Chung-gye-chun finally revealed its figure after removing the Samil elevated road. However, there is a critical issue in the cultural aspect when Seoul government have selected an American sculptor; Oldenberg and his work called "Spring" as a symbolic statuary for Chung-gye-chun. Nevertheless, there are various upcoming controversaries surrounding by public art in the Korean society.\r\n There are some examples of these controversaries, which can be, the controversy on Amabel in front of the Posco Building in Teheran Road, a mural painting that has been taken down at Uljiro 3ga called "Subway Comic Strip" after the installation and so on.\r\n Professor Sung Wan Gyung comments that the bases of these controversies are caused by what public art possesses in nature, which basically holds conflicting characteristics between public value and artist-centered disposition of the art.\r\n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controversy in Korean art world over the new public art law; aims to redefine the new meaning of public art in Seoul as the city of Post Digital Revolution.\r\n Korean Public Art has begun with the movement for constructing statues of patriotic figures during the 1960s. In 2005, public art in Koreapursues more various territories rather than performing as art aorks in public spaces. As Suzanne Lacy declares it as "New Genre Public Art" , public art exists for the public benefic for the people who encouter the art work in everyday life. Public art should create discussions from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artists with people.\r\n Public Art is not just the monologue of an artist, but the dialogue with audienses. In every day life, piblic art should perform the role as communicating media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encouraging audiences to enjoy their culture more and more.

비고 : MCD-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