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DIGITAL MURAL 디지털 벽화에 관한 연구: 보르헤스와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한 이야기 구조로서의 하이퍼텍스트성 연구
  • 저자명|고명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보르헤스 ; 고구려 고분벽화 ; 하이퍼텍스트성 ; 하이퍼텍스트 디자인 ; 인터랙티브 비주얼 스토리텔링 ; Borges ; mural of Goguryo tombs ; hypertextuality ; hypertext design ; interactive visual storytellin

국문초록

새로운 형식을 찾아 책으로부터 건너온 글쓰기가 디지털 미디어가 가진 하이퍼텍스트성의 가능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가운데, 비선형성으로 차별화된 하이퍼텍스트성은 여전히 이야기의 서사성에 부정적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것은 하이퍼텍스트성을 디지털 미디어의 일부 특성으로만 다루고 접근하는 관점이 유발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하이퍼텍스트성의 본질은 무엇이며, 이야기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일까?\r\n\r\n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풀어내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가 아니라 고전 스토리텔링인 보르헤스의 문학 작품과 고구려 고분벽화로부터 하이퍼텍스트성이라는 개념에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 과정을 통해 하이퍼텍스트성이 정보와 정보를 연계시키는 인간 능력의 한 단면으로서, 공간화된 정보의 한 형태인 스토리텔링 과정 안에 자연스럽게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그 하이퍼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소설과 벽화에서 각각 시간과 공간의 구조를 분석하여, 공간화된 정보인 이야기를 시간층으로 분리해 낸다는 개념을 만들었다. 이것은 다시 그리드로 구체화되면서 작품의 이야기 구조로 적용되었고, 결과적으로 물리적 이차원 벽이 매개하던 스토리텔링을 디지털 미디어의 가상공간 안으로 옮겨낼 수 있었다.\r\n\r\n이와 같이 본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디지털 벽화(Digital Mural)'는 하이퍼텍스트성으로 인해 서술 행위의 몫이 독자에게 돌아가는 디지털 미디어의 기술 환경 안에서 만들어낸 벽화의 새로운 개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는 하이퍼텍스트가 기존의 스토리텔링과의 단절이 아닌 소통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리텔링의 영역을 디지털의 무한한 정보체계 수준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시하는 것이었다. 특히 이야기 구조로서 하이퍼텍스트성을 구체화하는 도구로, 문학과 벽화를 활용하였다는 본 작업의 방법론은 이야기와 디지털 미디어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주체성을 확고히 인식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초록

The writing brought from the book to search for a new form is highly dependent on hypertextuality in digital media. At the same time, hypertext which is differentiated with non-linearity has been criticized by writing for print. Then, as a new technology of writing, what kind of storytelling should hypertext be? How is it related to a story? This thesis is originated from a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extuality and storytelling in digital media.\r\n\r\n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an approach was attempted to recreate a concept of hypertextuality through the research on Borges and the mural of Goguryo tombs. In the process, it was proven that hypertextuality was naturally inherent in storytelling's process as a human ability connecting information each other and a story is a form of the spatialized information. Moreover, it is discovered that spatialized information could be separated into several layers of time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respectively from Borges' novel and mural focusing on their hypertextuality. Then, the result was applied to an interactive visual storytelling, which offered a new idea of hypertext design. Consequently, mural's story telling mediated by a two-dimensional solid wall could be transferred to the virtual space of digital media.\r\nIn conclusion, the final product of this thesis, 'Digital Mural', aims to suggest a new concept of mural created with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of digital media where the readers are truly storytellers. This not only demonstrates that hypertext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existing storytelling instead of disconnection with it, but also proposes a possibility that the domain of storytelling can be extended to the level of infinite information system of digital.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this study that literature and mural were utilized as a tool of embodying hypertextuality for a digital storytelling is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subject hood of hum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tory and media.

비고 : MCD-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