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NPR 기술을 활용한 3D 점묘 화법에 관한 연구
  • 저자명|홍영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점묘화법 ; 점묘화 ; 점묘법 ; 파티클 ; 신인상주의 ; 신인상작가 ; 쉐라 ; pointillism ; particle ; NPR ; neoimpressionism ; neoimpressionist ; seurat

국문초록

예술 중 회화의 표현수단으로 전통적인 점묘화 기법(stippling)은 점(point)을 반복·중첩시켜서 대상의 디테일한 묘사나 색의 뉘앙스를 표현하는 매우 독특하고 흥미로운 예술 기법 중 하나이다.\r\n\r\n전통적인 회화에서 사물을 스케치하는 방법을 크게 나누면 선묘법과 점묘법으로 나뉘는데 선묘법은 선으로서 사물의 외형과 음영을 나타내는 방법이고 점묘법은 점을 사용하여 사물을 묘사하는 방법이다. 선묘법에 비하여 점묘법은 이미지를 구현해내는데 있어 시간과 노력이 더 들어가기에 스케치의 한 방법으로 보다는 점묘법만의 독특한 느낌과 표현으로 회화의 한 기법이나 화법(畵法)으로 발전되었다. \r\n\r\n점묘법이 회화의 한 기법으로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1886년 8회 인상파전에 등장한 조르쥬 쇠라(Georges Seurat)의 <그랑드 자트섬의 일요일 오후>란 그림을 통하여서다. 그는 사물의 색채와 구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병치혼합(竝置混合)을 통해 순수한 색을 얻고자 했었다. 쇠라의 과학적 방법의 진척은 점묘에 의한 색조 분할에서 완성에 도달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시도는 현대에 와서도 여러 화가들에게 새로운 표현기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현대의 다양한 비디오 아트, 포토모자이크, 바코드 모자이크까지 점묘법만의 독특한 사물의 표현방법은 선묘법이나 기존 회화기법과는 차별되기에 지속적인 연구의 가치는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r\n\r\n본 논문에서는 사물의 색을 분해하여 병치혼합을 통하여 묘사하는 점묘법의 이론을 그대로 받아들여 3D 상에서 새로운 예술의 표현수단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각각의 색은 그 자체로의 느낌과 힘을 가지고 있지만 병치, 조립, 해체, 교체되는 과정을 통하여 본래의 색에서 가지고 있지 않던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며, 기존의 시공간적 질서를 무시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든다.\r\n\r\n기술적으로는 3D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툴인 Autodesk MAYA 7.0™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3D 작품을 완성하되 핵심이 되는 점묘화기법을 고안하기 위하여 MAYA의 기능 중 Dynamics(particle)를 활용한다. 그리고 이 particle을 생성하기 위한 메뉴얼을 제공하고자 한다.\r\n\r\n렌더링은 Maya Software 렌더러와 Pixar Renderman™을 통하여 비사실적 렌더링 기법(NPR: non-photorealistic rendering)을 실시하였다. 또한 렌더링을 통해 얻어진 영상들을 Adobe After Effects™와 Eyeon Fusion™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이 아닌 새로운 표현방식으로의 점묘화를 구현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r\n\r\n제안된 방법은 새로운 형식의 매우 빠르고 손쉽게 예술가의 점묘화와 유사한 표현을 나타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디지털 아트, 그리고 비디오 영상처리와 같은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것이 기대된다.

영문초록

In the mid to late 1800’s a brief, but significant movement in painting evolved called pointillism. This unique form of painting was based on the scientific theories of how the optic nerve transfers information about color and how the brain interprets that information. The two best known artist using this technique were Georges Suerat and Paul Signac. Pointillism grew out of the impressionism movement which was based, in its strictest sense, on the objective recording of nature in terms of the effects of light and color. The post-impressionists broke with this limited aim while retaining the brighter colors, freedom from traditional subject matter and use of short brushstrokes and use of broken color. Seurat , and Signac in particular, embraced the use of the technique of broken color to form brighter, more luminous colors. At the time, the mixing of pigments allowed a limited range of color as too much pigment lead to muddy looking colors. Their technique placed small dots or strokes of color, often contrasting, side by side. When viewed close up, the individual strokes were apparent. When viewed from a distance, they blended into a dominant color. \r\nI adapted this pointillist technique, century old idea and apply it to my thesis. The goal of my thesis was to study an expression possibility of the pointillism style in the 3d animation. In search of a way to represent pointillism style more faithfully, this paper presents a novel pointillism technique which is capable of analyzing the color information of 3D models in the Autodesk Maya software. \r\nIn addition,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onception and proceedings of the mothodology of the works of Georts Seurat’s colored point concept, this researcher choose the particle technology in the Maya software. \r\nFirst, the proposed method is sampling the color and density of the 3D map source. \r\nThe color particle, defin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from the sampling of the 3D map source, is applied to the homogeneous distribution of particle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model. Each particle that was created have a vivid color(fill shader), circle outline color and highlight effect color. Unique aspect of this thesis is that 3D pointillism has a distinguished color material comparing with a Black and White hardware particle version. \r\nIt can be said that the works indicated here are to be a base of which will be studied continually and indicate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er’s production and study on works.

비고 : MCD-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