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A Study on Visual Representation of Literary Contents using Postmodern Methodology of Pastiche
  • 저자명|김아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8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패스티쉬(혼성모방) ; 패러디 ; 포스트모더니즘 ; 아트북 ; pastiche ; parody ; postmodernism ; artist''s book

국문초록

전통적인 카테고리와 장르를 뒤엎고 고급예술과 하위예술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태도이며 이는 이 시대 미술과 디자인 분야에 걸쳐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패스티쉬 기법의 특징이기도 하다. 미디어와 디지털 문화의 보급은 감당하기 어려운 엄청난 정보의 홍수를 가져왔다. 그에 비례하여 질적으로 훌륭한 컨텐츠를 선별, 섭취하는 것은 점점 어려운 일이 되어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많은 이론가들이 기존의 콘텐츠를 차용하여 재구성하는 패러디에 충분한 문화적 가치를 부여해 왔다. 반면 패스티쉬는 “공허한 패러디”라는 별명을 얻으며 프레드릭 제임슨이나 할 포스터 등과 같은 학자들 및 많은 이들로부터 비평적 거리를 가지지 못하는 가벼운 모방 정도로 해석되어 비난의 화살을 받아온 것이 엄연한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패러디와 패스티쉬에 대해 난무하는 정의와 이론을 검토, 정리하여 그 가치를 재평가하고자 한다. 이론가 린다 허치언에 따르면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 달리 패러디와 패러디 모두 넓은 범위의, 또한 여러 종류의 - 존경의 의미부터 풍자의 의미까지- 에토스(ethos)를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미술사적으로 패러디 작품으로 분류되어 왔던 것 중에 오마쥬(homage) 의 성격을 띠고 있는 작품이 많은 것을 보아도 이 점을 간파할 수 있다. 그렇다면 패러디와 패스티쉬를 구분짓는 가장 뚜렷한 경계는 원작의 뒤섞임(hodge-podgyness)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바삐 돌아가는 현대사회의 넘쳐나는 정보와 이미지의 홍수 속에서 발화(utterance)의 시급함에 대응하기 위해서 창조적인 재구성으로서의 패스티쉬는, 고로, 격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패스티쉬 기법의 성공인 사례연구를 통해 현대 작가들이 어떻게 기존의 것들을 흥미롭게 뒤섞어 다시금 예술적 산물로 만들어 내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또한 대중에게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가고 일상을 예술로 끌어들이고자 20세기 초반의 전위예술가들이 만들기 시작한 아트북(Artist’s Book)의 역사와 사례를 들어 현대미술과 문학의 복합적이고 패스티쉬적인 성격을 되짚어 보며 미디어화 등에 대한 미래의 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영문초록

Postmodernism rejects the traditional notions of categories and narrows the gap between high and low art: these characteristics also apply to pastiche, a methodology whether knowingly or unknowingly widespread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It is an era for pop culture and digital technology, which have resulted in an easy access to a flood of information. However, selecting and consuming quality contents have, as a result, become more challenging. In this sense, many theorists have prized the cultural value of parody that takes the existent contents, appropriates, and reconstructs them. On the other hand, pastiche has gained the nickname, “blank parody,” being criticized as shallow imitation by scholars such as Frederic Jameson and Hal Foster. In this thesis paper, I will examine many theories of parody, redefine parody and pastiche as well as their creative values. According to Linda Hutcheon, parody and pastiche can both carry a variety of ethos, unlike what we assume. Therefore, parody can respect the original while pastiche can turn into value-laden appropriation. By providing case studies of exemplary works, I will try to reexamine its possible use in fine art as well as applied art. In rapid-paced contemporary society, pastiche as a means of creative compositing should be encouraged for the necessity and urgency for utterance.

비고 : MCD-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