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모홀리나기(Lazlo Moholy-Nagy)의 시각적 간극에 관한 연구
  • 저자명|성민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모흘리나기, 시간적 간극, Lazlo Moholy-Nagy, visual spacing

국문초록

이 논문은 모흘리나기의 폭넓은 관심사를 보여주는 저작들 가운데 탈근대적 시도에 속하는 포토플라스틱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모흘리나기는 대표적인 모더니스트로서 모던을 넘어서 포스트모던에 이르는 그의 새로운 시각과 인식은 오늘날 멀티미디어 아티스트라는 호칭마저 무색하다. 탈근대 미술을 상징하는 한 형식이자 차용, 중첩, 혼합, 분할 등을 표현 양식으로 하는 포토몽타주는 누구나 디자이너, 예술가임을 자처하는 디지털 시대에 진정으로 대중들의 도구가 되었다. 이는 마치 20년대 '반 예술(non-Art)'의 대중적 실천인 듯 보일지도 모르나 무분별하게 확산되어 그 가치가 평가 절하되어 왔다. 따라서 지적 실험의 원천이었던 1920년대 아방가르드를 통해 포토몽타주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바우하우스의 모흘리나기가 현대적 포토몽타주로 명명했던 포토플라스틱이 동시대 아방가르드 포토몽타주와 어떠한 차별적 요소와 독자성을 가지는가를 정리하여 그 가치를 재검토 하고자 한다.\r\n포토플라스틱은 관념적 추상의 기반위에 사실적 재현이 절충된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상이 없는 아이디어의 재현은 단지 보이는 것(Seeing)뿐만 아니라 생각하는 것 (Thinking), 느끼는 것(Feeling), 움직이는 것(Moving)을 동시에 표현하고자 하는 동시적 시각(vision in motion)의 시도였다. 이처럼 그는 자유로운 연상과 다중적인 암시를 추구했고, 이것은 탈중심적, 비선형적 양상으로 전개되었다.\r\n또한 초현실주의와 다다, 구성주의에 각각 영향을 받았지만, 이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포토몽타주를 수행하였다. 포토플라스틱이 동시대 포토몽타주와 구별되는 큰 특징은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의 속성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인데, 이것은 대립이라기보다는 통합(integration)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적인 양상(ambivalent)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시각적 간극(spacing)을 5가지(1.실재와 환영의 병치, 2.시공간의 중첩, 3.게슈탈트에 의한 착시, 4.말과 이미지의 유희 5.반복과 중복)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모흘리나기의 시공간을 디지털 영상작품으로 구현해봄으로서 시대적 간격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실험하였다.

영문초록

This thesis an analytical research on the photo-plastic which is perceived as a post-modern venture amongst works reflecting multifarious interests of Laszlo Moholy-Nagy. Although Laszlo Moholy-Nagy was a representative modernist, his visions and perceptions expanded to the postmodernism even beyond the modernism outshines such a current term as a multimedia artist.\r\nThe photo-montage, which is a symbolic form of the post-modern art and has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adoption, superimposition, mixing and separating, came to be a sheer tool of the public in the digital age in shich everyone claims him- or herself as d designer or an artist. This appears just as the public's practice of the 'Non-Art' in the 1920s, but such indiscreet widespread dissemination resulted in undervaluation of the photo-montag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urther understand the photo-montage through the avant-garde which was the origin of intellectual experiment in the 1920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urposes to identify what differences and orginalities exist between the photo-plastic named by Laszlo Moholy-Nagy of Bauhaus as the modern photo-montage and the contemporary avant-garde photo-montage. The photo-plastic presents a compromised way which is the realistic reproduction on the basis of the conceptive abstract. This production without a tangible subject was an attempt of 'vision in motion' in order to express 'Seeing','Thinking','Feeling' and 'Moving' simultaneously. As such, he pursued unbounded associatoins and multiple suggestions in the decentering and nonlinear form. He was also affected by the surrealism, Dadaism and constructivism, but he performed unique photo-montage by assimilating the effects. The most conspicuous nature of the photo-plastic, compared to the contemporary photo-montage, is that there coexist two contrary. \r\nAccordingly, this paper studies the time spacing caused by the above-mentioned ambivalence in 5 aspects: 1.Juxtaposition of existence and illusion, 2. Laying space-time, 3.Illusion by Gestalt, 4. Palying with words and images, 5. Repetition and Doubling. Lastly, conducted is specifying intervals of the ages by embodying the space-time of Lazlo Moholy-Nagy in a digital image work.

비고 : MCD-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