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오웰소설 ''1985년''의 알레고리에 대한 시각이미지 표현연구
  • 저자명|서정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조지오웰, 오웰소설 ‘1984년’, 알레고리, 전체주의,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공산주의, 자본주의, 생태적 사회주의, 굿모닝 미스터오웰, 사이버 검열

국문초록

친구 집을 방문했다. 하늘에 비행기가 날아다닌다 말했다. 친구는 무슨 소리냐며 손사래치고 하늘을 올려다본다. 마침 김포공항 방면으로 날아가는 비행기가, 안양 어느 상공을 통과하는 중이었다. 지난 7년 간, 친구는 자신 집 상공으로 비행기가 날아간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하고 있었다. 집으로 돌아와 하늘을 올려다봤다. 멀리 작은 점 비행체가 보이더니, 인천공항 방면으로 유유히 사라지고 있었다. 우리 집 상공도 비행기가 날아간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지하는 순간이었다. \r\n\r\n오웰(George Orwell) 소설은, 어린 시절 내게 있어 공상과학 소설이었고 흥미있는 우화였다. 또래 아이들의 집이면 어느 곳에나 꽂혀있던 세계문학 전집 중 한 권 정도였다. 그것에 큰 의미가 있다거나 또는 진중한 사고를 유발한다거나 하는 것은 존재할 수 없었다. 아이들 눈에는 재미난 소재들의 합창만 부유할 뿐, 깊이있는 이상과 내면의 색상 등은 찾아낼 수가 없다.\r\n\r\n사람 습성은 그렇다. 보고 싶은 것만 보려거나, 관심 있는 것에만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뉴스와 기사를 보더라도 눈에 띄는 것만 습독하려는 성향이 부지불식 깃들어있다. 언젠가 기사를 읽다가 중국의 사이버 검열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내용을 읽은 적 있다. 중국 당국이 강력한 인터넷 통제지침을 발효해 온라인상의 표현 자유를 강하게 억압한다는 내용이었다. 기자가 뽑은 헤드라인이 흥미 있었다. ‘중국, 오웰의 소설 1984처럼 강력한 인터넷 통제지침 발효’였다. 기사에는, 오웰이 경고해 마지않았던 전체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이 언급되어 있었다.\r\n\r\n우리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예를 들어 공권력의 민간 사찰이 문제가 됐을 때, ‘계자와 메일을 사찰당하는 고통’이라든가, ‘오웰 식 어법으로 다시 보는 빅브라더 사회’의 기사에는 오웰에 대한 망령이 긴요하게 서술 되어 있었다. 또 정치 이슈를 넘어 문예계 기사에서도, 오웰에 대한 잔상은 낭중지추 도드라져 있었다. 예컨대 ‘1Q84 무라카미, 1984 오웰을 불러내다’, ‘1984에서 1Q84까지 빅브라더에 길들여진 리틀피플’, 영화 ‘시계태엽 오렌지’와 ‘매트릭스’, ‘브라질’ 등에 이르기까지 오웰에 대한 언급은 문화예술 기사 전반에 걸쳐 다종다양하게 언급되어 있었던 것이다.\r\n\r\n최근 서울대 중앙도서관 발표도 이목을 끌었다. 서울대 중앙도서관의 ‘하버드대학교 대학생 선호도서 100선’에 따르면, 1위로 오웰의 소설 ‘1984년’이 차지했다고 발표를 했다. 이것은 동시대 지성에 의미하는 바가 큰 것으로, 작가 시각이 현대 지성에 이르기까지 집중적으로 연장 돼 왔다는 것을 반증해 내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발표는 서울대의 그것 이전에도 연이어 언급됐다. 예를 들어 2007년 ‘가디언(Guardian)’ 지의 조사에 따르면, ‘20세기를 가장 잘 정의한 책’ 1위로 오웰의 1984년이 차지했는가 하면, 2008년 ‘뉴스위크(News Week)’ 선정 ‘100대 명저’에 오웰의 1984년이 2위에 선정되기도 했었다.\r\n\r\n하지만 의문이다. 왜 유독 오웰인가? 현대사회가 디스토피아(dystopia)에 가깝다면, 헉슬리(Aldous Leonard Huxley)의 ‘멋진 신세계’나 자먀틴(Evgenii Ivanovich Zamyatin)의 ‘우리들’ 등을 언급하면 됐을 것이다. 하지만 꼭 오웰이다. 현대 사회가 오웰의 소설을 언급해 오고 있는 이유는, 단순히 텍스트 등으로 구성되는 문장의 집합이라는 것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또 다른 의미가 형성 돼 있었기 때문이다. 상징성, 즉 알레고리적(allegorical) 함의가 그 이유다. 백남준은 1984년도에,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라는 비디오 퍼포먼스를 통해 오웰의 그것을 내적 소재로 활용했던 바 있다. 백남준에게 있어 ‘1984년’은, 그 자체로 현대 사회에 대한 하나의 알레고리를 농축해 내고 있었던 것이다.\r\n\r\n짧고 강한 메시지는 매력적 소재가 된다. ‘1984년’의 알레고리는 단순하다. 강하다. 그것은 기술발달이 인간 삶을 고통 속에 통제할 수 있다는 것과, 절대 권력이 전체주의 사회를 형성해 사람을 주야 감시하고 처벌할 수 있다는 이미지를 간단하게 그려내 준다. 그렇게 형성된 이미지는 피안 속 형상을 만들고 텍스트는 내적 혼령이 돼 곤고한 생명을 부여받을 수 있게 해 준다. 오웰의 ‘1984년’은, 그가 원하든 원하지 않았든, 현대 사회에 있어 하나의 알레고리가 돼 왔다. 그런 알레고리는 그 스스로 생장하고 성장해 현대사회 이곳저곳을 기웃거릴 수 있게 해 주었다. \r\n\r\n보이는 것만 보려는 습성은 이 시대 중요한 화두가 됐다. ‘1984년’ 출간 당시, 소설에 대한 평은 입장에 따라 엇갈렸다. 미국과 한국 등의 반공 국가에서는 반공산주의 소설로 둔갑 돼 환영을 받았는가 하면, 일부 유럽국가와 러시아 등에서는 체제를 전복시키려는 소설로 보고 강하게 비판했었다. 그러나 오웰은, 소설 내 전체주의 국가에 대한 비유는 러시아와 공산 국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항변하기도 했다. 하지만 오늘날 공산권 국가가 붕괴한 이후에는 어떤가? 그 모든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오웰의 ‘1984년’은 그 인기가 식을 줄 모르고 상종 중에 있다. 오히려 반공시절 보다 더 많은 이유로 사회 저변서 인용 돼 오고 있는 것이다.\r\n\r\n오웰은 친자본주의자도 아니었고 친사회주의자도 아니었다. 따지자면 무정부주의자에 가까웠고 생태적 사회주의자에 가깝기도 했다. 또한 자신 나라를 사랑했던 진정한 의미의 보수주의자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같이 작가 스스로에 대한 이념 규정이 다채로웠기에, 소설 해석에서도 독자에 따라 그 판단은 모호한 구석을 담아내고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의미로 오웰의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그의 정치적 견해를 파악하려는 행위이며, 동시대 역사성에 대한 관찰의 행위이기도 한 것이다. \r\n\r\n멀리서 비행기가 날아든다. 소실점에서 보이는 그것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 또 누구 집 위를 비행해 통과해 갈 것인가? 우리는 알 수 없다. 다만 눈을 들어 그것을 살피고 생명으로 펄럭이는 거대한 날개를 관찰해 갈 뿐이다. 날개는, 보이면서도 보이지 않는 영묘한 것으로 ‘세계-내-존재’해 있어, 오늘날 우리들 머리 위를 비상해 갈 것이다. 그 때 우리 지성은 그것을 놓치지 않고 올바르게 목도해 갈 수 있을 것인가?\r\n\r\n현대의 지성이 생존해 있는 한, 오웰 창조물은 인류 끝 날까지 동행할 것이다. 동시대의 알레고리는 생명을 얻고, 인류 사유는 그 즈음 어느 부위에 편승돼 ‘1984년’의 생장을 멈추지 않게 만들어 내고 말 것이다.

영문초록

I visited my friend's house. I said that planes were flying over the sky. In response to me, waving his hands, he looked up the sky. An airplane, which was flying for Kimpo Airport was on the passing over Anyang. For the last 7 years, He couldn't noticed at all that planes had been flying over his Returning home, I looked up the sky. There was a little point of flying object seen from a distance, it was slowly disappearing towar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t was the moment when I came to realize the fact that the airplanes are flying over my house.\r\nMany novels by George Orwell's novels meant a science fiction and an interesting fable for me in my childhood. It was one of the complete works of world literature inserted in bookshelves in almost every child's book shelves. So it could neither mean a lot nor cause sincere thoughts thought. In the eyes of children, they see only the chorus of interesting materials as rich, but they cannot find lofty ideals and internal colors So is the human habits. People have a tendency to see only what they want and concentrate on only what they have interest in. For example, as to news and articles, they tend to read noticeables(something that catches their eyes) unconsciously. One day, I read an article in which China's cyber censorship reached a serious level Chinese authority enforced a strong Internet governance guidelines and strongly suppressed the freedom of expression online. The headline of reporter's choice was interesting: 'China, enforce strong Internet governance guidelines like George Orwell's novel 「1984」'.\r\nIn article, there mentioned Orwell's criticism of totalitarianism. Our situation was no different. For example, when authority's investigation on civilians became a problem, 'sufferings of investigations on accounts and e-mails', or 'Big Brother Society from Orwell's perspective', or such spector of Orwell were critically described.\r\nAnd in literary articles beyond the political issues, afterimage of Orwell was distinctly embossed. For example, from ‘IQ84 Murakami, evoke Orwell's 1984’, ‘Little People Accustomed to Big Brother from 1984 to 1Q84’, Movies like ‘Watchclock Orange’ and ‘Matrix’, ‘Brazil’, and many other references to Orwell were mentioned across a wide variety of culture and art.\r\nRecently the announcement of Central Libra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ttracted attention. According to ‘100 Harvard University Student Book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ral Library, Orwell's novel ‘1984’ ranked No. 1.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ontemporary intellects. It is a counter-evidence that the author's perspective has been extended to the modern minds. Such announcement was mentioned one after another before tha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example, according to 2007 ‘Guardian’ magazine survey, ‘Best Defined Book of the 20th Century’ ranked Orwell's novel 1984 as No. 1, and ‘100 Greatest Books’, which was selected by 'Newsweek' in 2008, placed 1984 as 2nd.\r\nBut it's still doubtful. Why Orwell? If our modern society is close to dystopia, they could have mentioned Aldous Leonard Huxley's ‘Brave New World’ or Evgenii Ivanovich Zamyatin's ‘Ourselves ’ or so. But, it is Orwell, no exception. Modern society is mentioning about Orwell's novels because there was another meaning which couldn't be defined by a set of sentences which consists of simple texts. Symbolism, I.e, allegorical meaning is the answer. Nam June Paik has used that of Orwell's as the inner materials through video performance such as ‘Good Morning, Mr. Orwell’ in 1984. To Nam June Paik, ‘1984’ itself enriches an allegory of modern society.\r\nHis short and strong message becomes attractive material. The allegory of ‘1984’ is simple. And strong. It simply depicts both images that technical development can control human life under the pain, and that absolute power can monitor and punish people day and night in a totalitarian society, That image formed creates an image under a state of enlightenment and the text becomes an inner spirit, allowing wretched life be granted. George Orwell's ‘1984’, whether he wanted it or not, has been an allegory in modern society. Such allegory grows and develops itself and allows to snoop around here and there around the modern society.\r\nThe habit of looking at and for what you want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of this era. On publication of ‘1984’, the evaluation of the novel depended on the position. In anti-communist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it turned into anti-communist fiction and received welcome while in some European countries and Russia they saw the novel as subversive and strongly criticized. But Orwell defended himself that the metaphor of a totalitarian state within the novel is not aimed at Russia and the communist countries. But what about today after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countries? Aside from all that, Orwell's ‘1984’ continues to rise in its popularity. For many reasons rather than the anti-communism years, his novel has been quoted on the sidelines of our society.\r\nOrwell was neither a pro-capitalist nor a pro-socialist. Technically, he was almost an anarchist and an ecological socialist. Some views him as a real conservative who loved his country. As the definition of the author were colorful like this, the novel interpretation is subject to the reader and sometimes their judgement is somewhat obscure. Therefore, reading Orwell's novel in any sense is both an activity to identify his political view and an observational behavior of contemporary history.\r\nAn airplane is flying from far away. Where is the thing that can be seen from a vanishing point heading for? And whose house is it flying over? We do not know. We only have to look up and observe the giant wings flapping with life in them. The wings, which are both visible and invisible inexplicably, exist within our world, and will fly over our heads today. At that time, will our intelligence not miss it to witness properly?\r\nAs long as modern intellect exists, Orwell's creation will accompany until the end of mankind. The contemporary allegory will gain life, and the reason for humanity will jump on some part by -

비고 : MCD-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