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의 기원
  • 저자명|박용석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장소 특정적 미술 ; site-specific art

국문초록

미술작품이 어떤 장소에 설치되는 것에는 언제나 그 이유가 있어왔다. 주술적 행위를 위한 선사시대 동굴 벽화, 중세시대의 성당 내부를 장식한 미술품들, 특정 계층의 권위를 상징했던 르네상스 미술이나 국가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근대 박물관이 만들어지기까지 장소는 특정한 시대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곳이었다. 이것은 오늘날 미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모더니즘 이후(1960년대를 기점으로)에 등장한 미술에서 장소는 미술 창작의 소재나 완성된 작품이 놓이는 공간이 아닌 미술창작의 중심으로 등장한다. 특정한 장소에 의하며 특정한 장소에 대한 작품. 이것을 우리는 '장소 특정적 미술'이라 부른다.\r\n이 논문은 '장소 특정적 미술'의 기원을 살펴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원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연구자가 '장소 특정적 미술'을 사상이나 양식이 아닌 특성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술이 등장하게 된 인과관계들을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통해 오늘날 다양한 장소와 결합된 미술의 의미들을 비평해 볼 수 있을 것이다.\r\n논문의 2장에서는 '장소 특정적 미술'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을 서술하였다. 장소의 개념은 이-푸 투안의 주장을 바탕으로 그린버그가 주장한 모더니즘 미술에 이르기까지 미술과 장소의 관계를 간략히 소개한다. 3장에서는 '장소 특정적 미술'을 체험, 관계, 담론의 3가지 특징으로 파악한다. '체험'은 '미니멀리즘'과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에서 나타난 '연극성'을 주요 특징으로 보고 있으며 '관계'는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에서 언급된 안-밖, 물질-비물질, 소멸-생성의 변증법 구성 과정을 통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담론'은 1960년대 사회와 미술의 관계를 서술했던 '한스 하케'의 작품을 주로 인용하여 장소가 물리적 공간을 넘어서 개념적인 공간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영문초록

All artworks have a reason for being set in a specific place. From primitive cave painting for shamanic purpose and artworks decorating medieval cathedrals to Renaissance art symbolizing authority and modern art confirming national identity, the place for an artwork reflects the ideology of its times, as in contemporary art. Since the 1960s, place is a key element, not merely a space of display. We refer to work defined by or about a specific site as 'Site-Specific Art'.\r\n\r\nThis dissertation sheds light on the spring of 'Site-Specific Art'. I grasp 'Site-Specific Art' through its features, rather terms of thought or mode, as I think it possible to grasp these by review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through which this type of art emerged. Through this process the meaning of an artwork in combination with places is criticized.\r\n\r\nTheoretical background to understand 'Site-Specific Art' is described in Chapter 2. In this chapter, relations between art and site are introduced, based on Yi Fu-Tuan's assertion and Clement Greenberg's theory on modern art. In Chapter 3, 'Site-Specifec Art' is characterized by three elements: experience, relationship, and discourse. 'Theatricality', represented by minimalism and work by Robert Morris,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experience'. 'Relationship' is explained through interior-exterior, material-non-material, and a process of dialetic creation between extinction and form physical to conceptual space, quoting mainly work of Hans Haacke who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art in the 1960s.

비고 : MCD-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