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시각적 환유 표현 연구: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디자인의 시각적 환유 적용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미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수사학, 환유, 시각적 환유, 인접성,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

국문초록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과 표현매체의 증가로 수용자와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크리에이티브하고 다양한 디자인 영역으로의 도구적 확장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첨단의 기술력만으로 구성된 디자인 콘텐츠는 수용자에게 일시적인 호기심과 즐거움을 경험하게 할 뿐, 정확한 메시지 전달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은 이루어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수용자를 위한 미적 경험의 제공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주요 기능인 소통가능성에 대한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r\n\r\n본 논문은 미디어가 지닌 특성과 메시지를 어떻게 미학적으로 결합하여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시각적 수사학에 접근하였다. 수사학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는 사람의 감정과 분위기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도 수사기법 중에 하나인 환유는 단순히 언어의 문제에만 국한된 개념이 아니라 인간의 인지 작용과 깊이 연관되어 있어 우리 사고와 태도 및 행동에 큰 영향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시각적 환유에 대한 연구는 미디어 특성,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그리고 수용자의 경험과 감정을 연결하여 하나의 통합적인 디자인 컨셉을 구상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r\n\r\n환유는 은유와 더불어 인간의 사고 영역을 확장시키는 유용한 표현 수단이다. 야콥슨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환유가 인간의 경험을 토대로 언어, 사고, 태도 그리고 행위를 구조화하는데 쉽고 효과적이며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환유의 사용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적은 노력으로 수용자에게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과 함께 1)경제성의 효과 2)유연성의 효과 3)사실성의 효과 4)참신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r\n\r\n20세기에 들어와서 환유는 수사학을 시작으로 인지언어학, 정신분석학, 기호학, 철학 그리고 예술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문적 영역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어휘적 대치현상인 일차원적 개념에서 인간의 언어, 사고, 태도 그리고 행동에 이르는 인지과정으로의 다차원적 개념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r\n\r\n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환유의 개념을 시각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적용하고, 이를 ‘시각적 환유’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환유의 구조 및 의미작용 방식에서 목표 개체와 매개 개체 그리고 인접성의 개념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시각적 환유의 개념을 디지털 혁명으로 인한 디자인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생산자 중심의 디자인’에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으로의 변화가 매개 개체를 결정하는 관점을 바꾸어 놓았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수용자와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상호작용은 시각적 환유의 인접성 표현 영역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r\n\r\n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시각적 환유 적용 과정을 체계화하여 하나의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The Rhythm of City’라는 모션그래픽 작품을 제작하\r\n였다.

영문초록

A Study on Visual Metonymy Expression of Communication Design - Focused on Application of Visual Metonymy for Digital Media Design Misa Kim Major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Media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Arts Yonsei University Thesis Supervisor: Hyoshin Park Communication media has advanc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rough the digital revolution, and now seeks expansion towards the domain of visual design - the creativity and diversity of which allows sentimental communication. However, the efficac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ocused only on its technological competence is limited within the boundaries of trivial interest, thereby unsuitable for precise delivery and consistent interaction. The aesthetic quality of a visual communication medium, must therefore be proportionate to its communicative capabilities. \r\nThe present study takes a visual rhetoric approach to determine how the attributes of the media can be aesthetically integrated with its messages. Rhetoric messages substantially influences emotions and ambience. Metonymy is one of such techniques that relates not only to the linguistic applications of rhetoric but so far as to human perception and recognition. In this context, studying visual metonymy shall contribute to designing an integrated concept that abstract envelops media attributes, messages, and consumer experience and emotions. Like metaphor, metonymy effectively extends the scope of thinking. The Russian linguist Roman Jakobson is among the many advocates of this rhetoric technique, in the light that metonymy conveniently structures language, cogitation, attitude, and behavior altogether on the basis of human experience. Using metonymy, messages can be delivered promptly and precisely, with relatively less effort; it is therefore economical, flexible, realistic, and original.\r\nMetonymy in the 20th century has attracted attention from many different fields of study, including rhetoric, cognitive linguistics, psychoanalysis, symbology, philosophy, and aesthetics. Its meaning, from a one-dimensional concept of word substitution, extended itself to a multidimensional cognitive process that encompasses human language, thinking, attitude, and even behavior.\r\nIn this study, such an extended concept of metonymy has been applied to visual communications process and thus entitled Visual Metonymy. And communication design ca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established studies on how contiguity of the target entity with the vehicle entity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structure and signification of metonymy. In addition, Visual Metonymy as a concept was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design caused by the digital revolution. The result was that the change from a producer- oriented design to a consumer-oriented one led to a change in perspective on the vehicle entity selection. Moreover, digital advancement that now allow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with the consumers has also expanded the boundaries of Visual Metonymy and its scope of expressive contiguity.\r\nOn the basis of such studies, the application of Visual Metonymy on digital media design was systemized to propose a process of idea generation, and with it was produced a motion graphic work, ‘The Rhythm of City’.

비고 : MCD-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