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네트워크 정보시각화 연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중심으로
  • 저자명|주신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네트워크 시각화, 모바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네트워크, 트위터

국문초록

어디서나 연결된 세상의 시작으로, 시간을 넘어 공간을 초월한 커뮤니케이션이 시작하게 되었다. 네트워크는 정보를 잇는 하나의 연결망이었지만 시간의 흐름으로 개념이 확대하여, 이전부터 존재한 학연, 지연 등을 통한 사회적 연결의 이해로 확장되고, 사람과 사람만의 연결이 아닌 정보 자체도 유기체가 되어 생명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단지 시간의 축적을 기준으로 리스트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킹을 하는 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 습득에서는 리스트 형식의 텍스트 정보 제공은 적은 양의 정보를 보기에는 무리가 없다. 하지만 긴 시간 간격을 두고 확인을 하거나 각 정보의 단편적 이해를 넘어서기 힘들고, 온라인 인간관계 확장에 있어서는 다소 불편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n\r\n단편적인 데이터의 이해가 아닌 정보로서의 역할을 주고, 온라인 안에서의 인적네트워크의 확장과 정보가 연결되고 확장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네트워크 시각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네트워크 시각화의 특성으로는 첫 째로 거시적과 미시적 시점을 통해 맥락적 부분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내용을 동시에 봄으로써 전반적인 흐름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계층 구조는 많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정보를 재배열한다. 마지막으로 상호 관계를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유입된 다량의 정보를 통화시키고 연결된 관계를 사용자에게 이해할 수 있고 미적으로도 풍부한 시각적 효과를 준다. 하지만 위의 네트워크 시각화는 전반적인 흐름을 보기에 적합하지만 다량의 정보를 작은 디바이스에 구현해내기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정보 생산에 있어서 직접 손으로 터치 디스플레이의 창을 통해 접근하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경험들은 사용자에게 또 다른 경험을 주기에 모바일 미디어의 이해가 필요하다.\r\n\r\n본 연구자는 현재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속성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3차원 구조로 Z축 영역의 공간 확장을 통해 다량으로 유입된 정보를 물질적 크기가 아닌 하나의 창으로 인식하여 무한한 공간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동적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설정의 변경과 출력이 가능해야한다. 상호작용성은 터치스크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된 특징으로 사용자의 즉각적인 조작을 통해 계층구조의 유동성이 있어야한다. 시간을 중심으로 유입되는 정보를 고정된 출력이 아닌 선택한 구간의 정보유통 과정을 유기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 위치에 관한 알림을 제공하고 단절된 단계가 아닌 각 단계에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야한다. 이를 바탕으로 제안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셉은 연결의 동사형으로 'Connecting' 으로 사용자가 온라인 안에서 정보와 사람간의 관계의 연결이 현재 진행형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Connecting 은 두 가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와 인맥을 시각화 한다. 하나는 노드와 링크로 구현된 인맥 연결망과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보여준다. 네트워크 시각화에서 보여준 거시적과 미시적 시점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전반적 과정과 흐름을 보여준다. 다른 하나는 트리맵 시각화를 통해 구현된 글 종류와 현재 인기 있는 검색어를 시각화한 인터페이스이다. 네비게이션 바를 나누기보다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는 로고를 통해 사용자 조작 흐름이 끊김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의 위치를 제공하여 상, 하 단계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하고자 하였다. 그리드라인의 이동을 통해 사용자와 어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을 돕고 원하는 정보의 공간 확장을 통해 목적에 맞는 정보에 집중하였다.\r\n\r\n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정보시각화에 대해 알아보고 네트워킹을 시각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안된 네트워크 정보시각화 연구는 모바일 디바이스 뿐 아니라 제한된 영역의 디스플레이 안에서 다량의 유입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 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영문초록

A study on Network Visualization for Mobile Interface Shinyung Joo Major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Arts Yonsei University Thesis Supervisor: Hyoshin Park 'Communication' that transcends time and space has formed the beginning of a universally linked world. A 'network' used to be a connection between materials, but a network itself becomes an organism as it connects societies that used to be linked by regionalism, school relations, or kinship if its sense can be expanded to the passage of time. People can produce and share resources anywhere and anytime these days by using mobile devices. Current social networking services supply a list-form interface only according to an accumulation of time. It is not difficult to perceive a little amount of text-formed information when people only like to communicate with others via social networking. However, if they do not access the network for a while or desire to expand their online relationships, the current social networking provides slightly inconvenient services. Also, it is quite hard to understand each material in overall as materials are supplied in list/text forms.\r\nDissertation includes research about network visualization that shows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expanding information to enlarge the online human network as well as to deliver complete information rather than fragmented material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network visualization is that users can observe the overall flow of resources on the network, as it is possible to witness details of context and information that user want to see at the same time through both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Secondly, hierarchy structure organizes various data and rearranges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purpose. The last feature is that network visualization gives plentiful visual effects, which help users to combine much influx of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o observe connected relations. Network visualization is suited to perceive general movement of network. there could be some limits to materializing much information in a small device, because users approach the device directly via a touch screen to produce information. As these practices provide novel experiences for users, they need to be informed about understanding mobile media.\r\nStudy proposes properties of materializing network interfaces through applications that are realized on current mobiles. Firstly, flowed-in information in large quantities due to space expansion of z-axis territory on three-dimension structure is recognized as a window, not by its size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expansion of infinite space. Also, it should suggest a kinetic interface so that the users need to change or rearrange settings and print out data according to their purposes. Interaction as a property of a touch screen device must have a liquidity of the hierarchy structure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operate. It needs to organically show an information circulation process of flowed-in information pursuant to time in priority. Moreover, it should be able to notify a user's location info via navigation function and not fragmentally, but naturally lead every step. A network interface concept for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ose factors represents that users are in a present progressive relation of connecting information and humans online. 'Connecting' visualizes information and personal connections by two kinds of interfaces. One shows methods of personal connection network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materialized by node and link. It shows general processes and flow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mentioned in the discussion on network visualization. The other is a visualized interface of currently popular search words and letters that are materialized by trip-map visualization. It is made for the user's operation to be fluently flowed through navigation functioned logo instead of dividing a navigation bar and to be freely moved up and down as offering each stage's location. In addition, it focuses on information for the right purpose and use due to space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assists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applications through movement of grid lines.

비고 : MCD-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