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이동 컨텍스트를 기반한 투명디스플레이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 저자명|주상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투명성, 투명디스플레이, Focus+Context, 인터랙션, 컨텍스트

국문초록

매체의 변화는 그 안에 담긴 콘텐츠의 성격과 사용자의 활용 패턴에까지 영향을 준다. 투명디스플레이는 이미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지만 그 개발의 방향이 구현 기술과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까지 일상에서의 적절한 활용 모델은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투명디스플레이의 근본적 가치 탐색으로부터 기존 매체와의 차별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일상에서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r\n\r\n투명디스플레이의 가치 탐색을 위해 2장에서는 물리적/시각적 측면에서 투명성의 정의와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는 크게 매체, 공간, 해석적 관점, 제품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그에 대한 고찰을 통해 투명성의 가치를 (1)현실 재현 (2)공간의 확장과 연속성 (3)시각의 동시성 (4)기능 및 역할에 따른 가변성이라는 4가지 핵심어로 정리하였다.\r\n\r\n투명성의 가치를 매체에 적용하기 위해 3장에서는 먼저 투명디스플레이의 현황과 관련 사례에서 인터랙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여기에 앞서 살펴본 투명성의 가치를 대응하여 (1)통합적 의미 정보 (2)공간 Layer를 활용한 정보 공간의 확장 (3)직관적 인터랙션의 세 부분으로 적용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통합적 의미 정보를 위해 Focus+Context 시각화 방식의 개념을 디바이스 연동까지 확장하여 제한적 화면에서의 정보 의미의 단절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공간 Layer의 활용은 투명성에서 비롯된 중첩의 속성을 통해 공간의 정보 Layer를 확장하고 이를 통해 제한된 정보 공간의 문제를 풀고자 제안한다. 세 번째 직관적 인터랙션은 투명성의 현실 재현적인 특성과 연결하여 물리적 속성을 반영한 인터랙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r\n\r\n세 부분으로 제안된 인터랙션 개선 방안을 적용하기 위해 4장에서는 투명성의 가변적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으로 이동 컨텍스트와 전환시점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여기서 이동 컨텍스트는 일반적 컨텍스트의 요소 중 특히 장소, 디바이스, 기능의 이동이라는 3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춘 컨텍스트이며, 전환시점이란 이동 컨텍스트의 요소가 바뀌는 사이의 지점을 뜻한다. 이렇게 정의된 이동 컨텍스트와 전환시점은 See-through 타입의 투명디스플레이 사례 분석에 적용하여 그 개념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r\n\r\n5장에서는 앞선 이론적 논의를 통해 얻은 인터랙션 적용 방안과 컨텍스트 정의를 구체화화기 위한 투명디스플레이 활용 스케치 영상 작품을 소개한다. 연구 작품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활용 제안을 위해 선정된 복합문화 공간을 중심으로 Town Watching - 시나리오 - 기능 정의 - 인터랙션 프로토타입 - 스케치 영상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시나리오는 이동 컨텍스트와 전환시점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공간을 선정하여 이동수단 - DDP 실외 - DDP 실내의 3가지 씬으로 이루어져있다. 이어서 인터랙션 활용 방안에 따른 디바이스 기능을 정의하고, 이를 모바일 타입의 인터페이스 메뉴에 적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체화하였다. 영상의 3가지 씬은 (1)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2)직관적 인터페이스 레이어 (3)공공디바이스와 연동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r\n\r\n본 연구는 일상에서 투명디스플레이의 활용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를 위해 매체의 물질적 특성에서부터 활용 환경 정의까지의 단계를 통해 디지털 매체 활용 제안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앞으로 더 많은 활용 제안과 검증 과정을 통해 더욱 구체화되고 설득력을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초록

Changes in a medium affect the character of the content included in it and even users' utilization patterns. Transparent displays have already drawn people's interest since a long time ago, but their development has taken place in the direction of focusing on their implementation technologies and functions and so far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model for their utilization on a routine bas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points of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media in searching for the fundamental value of transparent displays and thereby proposing a sustainable method of utilizing them on a routine basis. \r\n\r\nIn order to search for the value of transparent display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ransparency were examined in terms of physical and visual aspects in Chapter 2. They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respective areas of media, spaces, interpretative viewpoints and products, and by considering these the value of transparency was outlined by four keywords: (1) reality reenactment, (2) space extension and continuity, (3) viewpoint simultaneity and (4) variability according to functions and roles. \r\n\r\nIn order to apply the value of transparency to media, points of interaction improvement were first deduced from the current situation of transparent displays and related cases in Chapter 3. Here methods of applying it in the three respective aspects of (1) information in terms of its integrated meaning, (2) information space extension utilizing space layers and (3) intuitive interaction were examined as against the value of transparency examined earlier. In the first place, for the sake of information, this study sought to resolve the discontinuance of the meaning of any information on a limited screen in terms of its integrated meaning by extending the concept of the Focus+Context visualization approach to device interlocking. Second, as for utilizing space layers, this study makes a proposal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imited information space by extending information layers through the attributes of overlap arising from transparency. Third, regarding intuitive interaction, this study sought to present a specific method of interaction that reflected its physical attributes by linking it with the reality reenactment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 \r\n\r\nIn order to apply the method of interaction improvement proposed in terms of these three aspects, the concept of a mobile context and the concept of a switchover point were organized in such an environment where the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 could be maximized in Chapter 4. Here, the mobile context refers to a context focused on three elements in particular among the general context elements: the movement of places, devices and functions. The switchover point means a point when elements of the mobile context change. The mobile context and the switchover point defined respectively as such were applied in analyzing some cases of see-through type transparent displays, thus materializing their respective concepts. \r\n\r\nIn Chapter 5, this study introduces a sketch video work utilizing transparent displays for materializing the method of applying the interac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context obtained through the earlier theoretical discussions. The work of this study consists of the process of town watching - a scenario - definition of its functions - the interaction prototype - a sketch video. With a selected space where the mobile context and the switchover point can be clearly shown, the scenario consists of three scenes: means of movement - DDP outdoors - DDP indoors. After that device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utilization method are defined and then applied to a mobile type interface menu, thus materializing the prototype. The three scenes in the video consist of the order of (1) information sharing among the devices, (2) intuitive interface layers and (3) interlocking with public devices. \r\n\r\nThis study was started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a transparent display utilization model, and for this, it sought to present a variety of possibilities for a proposal to utilize digital media through stages from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edia to the definition of the environment for utilizing them.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will be more materialized and persuasive through more utilization proposals and verification processes in future. \r\n\r\n\r\n\r\n\r\n\r\n\r\n\r\n\r\nKeyword Transparency, Transparent display, Focus+Context, Interaction, Context

비고 : MCD-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