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디지털 가상공간에서의 BI(Brand Identity)디자인의 공간성(Spatiality)에 대한 연구
  • 저자명|김혜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브랜드 ,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 공간성 , 디지털 가상공간 , 가상현실공간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Brand , Brand Identity Design , Spatiality , Digital Virtual Space , Virtual Reality Space , Brand Communication

국문초록

우리는 브랜드 경쟁시대에 살고 있으며 국가 간 자유무역협정 체결로 글로벌 브랜드 경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국적 소비자의 욕구와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발은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기업 브랜드의 효과적인 차별화의 필요성에 의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기업의 정체성과 전략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기에 이를 시각화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미디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어 나타난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위한 표현방식 또한 다양해지고 있지만, 2차원적인 단순한 평면적 이미지들이 대부분이었다. BI 디자인에 있어 평면성을 탈피하고 2차원의 한계를 극복한 3차원적 공간성에 대한 사례나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가상공간에서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디자인의 공간성에 대한 내용으로, BI디자인에 3차원적 공간성을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브랜드를 접하는 소비자에게 가치와 경험을 제공하고 다양한 브랜드에 적용할 수 있는 BI디자인을 제안하고자한다. BI디자인을 위한 공간의 개념과 변화유형, 가상공간의 특성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가상공간에서 브랜드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오브제의 표현, 모션, 컬러 및 질감 표현, 빛의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상공간에서 가상현실공간으로의 확장을 염두해 두고 현재 VR 콘텐츠의 상용화 상태와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심리적 거리에 대해서도 함께 연구하였다. 3차원 공간성의 증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대한 현실감과 사실감을 높여준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가상공간, VR시스템 등과 함께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에 더 몰입할 수 있게 만들며, 깊이감을 가진 공간의 활용을 통해 브랜드 인식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공간성 표현을 위한 속성으로 심미성, 운동성 및 시간성, 다차원적 공간성, 유연성 및 가변성, 상호작용성 이 5가지로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표현요소로 형태 및 오브제와 모션, 컬러 및 질감, 빛의 표현과 이미지 셰이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분류된 속성과 표현요소들을 사례분석에 사용하여 분석도구를 제시하였다. 5가지 사례분석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공간성을 표현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분석도구를 도출하고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연구 작품제작을 진행하였다. 연구 작품은 소비자의 공간을 구성하고 새롭게 만들어주는 생활용품 브랜드를 기획하였다.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기획을 최종 연구 작품으로 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브랜드 영상, 포스터 형식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향후 BI디자인은 평면적 한계성에서 벗어나 공간성을 표현하는 다차원적인 이미지로 제작할 수 있기를 바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기준이 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초록

We live in a Brand Competitive Era. With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countries, global brand competition is accelerating even more. Brand Identity development has become essential with an influence of FTA to satisfy multinational consumers’ demand and sensitivity. Corporate Brand’s need for effective differentiation has led the concept of Brand Identity to be adopted. Brand Identity Design is an important way to express the corporate’s identity and strategy, so effort to make visualization of Brand Identity Design is being made continuously. As the consumers’ need diversifies and media environment changes, Brand Identity Design comes in different forms and extended. Way of expressing Brand Identity is various, but majority of them were simple, plane, 2-dimensional images. There is a need for more studies based on Brand Identity Designs exuviating 2-dimensional limit and striving for 3-dimensional spatiality. This study focuses on Spatiality of Brand Identity Design in Digital Virtual Space with a goal of applying 3-dimensional spatiality into Brand Identity Designs. The goal is to come up with Brand Identity Design that could be applied to different brands, and present consumers with value and experiences. This study has been organized accordance to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such as comcept and diversity of spaces for Brand Identity. To convey more information on brands in virtual space, object’s expressions, motion, color and texture, and also light has been studied as well. With the expansion of Virtual Reality Space in Virtual Space in mind, studies on commercialization of VR contents and psychological distance that consumers experience has also been studied. 3-dimensional spatiality’s importance augments the sense of reality in Brand Identity Design. Also to effectively convey Brand Image, virtual space, and VR system are colligated to provide consu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is helps consumers to be more observant to the contents, while systematically design Brand Identity perception with use of space with perceptional depth. Through this study, Brand Identity Design’s spatial expressions are associated with these 5 elements; aesthetic impression, mobility or temporality, multidimensional spatiality, flexibility or variability, and interactivity. Also, shape or object, motion, color or texture and light expressions along with image shade are mentioned in the study as other expressional elements. Classified properties and expressional elements are used in case analysis to suggest analysis tools. Through 5 case studies, analysis tool of Brand Identity Spatiality was drawn and was used to make the graduate work associated with this Study. Graduate work was focused on a promoting a brand that sells daily necessities that compose consumer’s space as if it was new. Guidelines for Brand Identity Design in the form of video clips and posters were made as graduate work for life style brand producing. There are hopes that future Brand Identity Design jump out of its 2-dimensional limits and produced in form of multidimensional images. This study hopefully contributed to differentiating Brand Identity Design by setting a standard in future studies to be done.

비고 : MCD-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