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사회적 시청 인터페이스 제안 연구 ? 팬덤을 대상으로
  • 저자명|김유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사회적 시청, 소셜 TV, 사용자경험, UX, 팬덤, 서비스디자인

국문초록

오늘날 사람들은 혼자 시청하면서도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하여 온라인상의 광범위한 타인들과 동영상을 함께 보고 소통한다. 이를 사회적 시청이라고 부르고, 사회적 시청은 소통의 내용과 소통하는 주체간의 관계, 그리고 시공간적 제약에 있어서 기존의 공동 시청과 차이를 가진다. 이러한 사회적 시청은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만 기존의 사회적 시청 연구는 생방송 스트리밍과 같은 동시적 시청형태와 일반적 시청자를 대상으로 주로 이루어져왔다. 사회적 시청의 주체인 능동적 시청자는 주로 팬덤을 통해 참여와 소통을 하는데 반해 기존 연구는 팬덤의 관점으로 사회적 시청을 바라보기보다는 능동성에 조금 더 중점을 두어왔다. 본 연구는 따라서 팬덤의 관점에서 사회적 시청을 고찰하고 팬의 니즈를 충족하는 새로운 사회적 시청 인터페이스를 제안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팬덤에게 적합한 시청 형태는 동시적 시청이 아닌 비동시적 시청 형태라는 가설을 세우고 시작한다. 실제 서비스를 동시적, 비동시적 형태로 나누어 각 형태의 인터페이스적 특징과 사용맥락을 분석한 후, 실제 팬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팬들의 시청 맥락에서 중요한 키워드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팬덤, 구체적으로는 아이돌 팬덤에 적합한 사회적 시청 형태는 비동시적 형태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어 앞서 분석한 인터페이스적 특징과 인터뷰에서 발견한 키워드를 고려하여 새로운 인터페이스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사회적 시청의 연구에서 덜 다루어졌던 비동시적 시청 형태에 주목하여 새로운 형태의 비동시적 시청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는 데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주요 소비자 및 능동적 참여자인 팬에 주목하여 그들에 맞는 시청 인터페이스를 고민하고 디자인적 제언을 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영문초록

Today, people communicate with a wide range of people online through social media and online video platforms even while watching alone. Such phenomena is called social viewing. Social viewing differs from co-viewing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presence of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cation subjects. With the technological advance, such social viewing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on social viewing have mainly focused on simultaneous viewing form such as live streaming. Also while active viewers, who are the main subjects of social audiences, mainly participate and communicate through fandoms,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general viewers rather than that of fando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it is necessary to see social viewing from the perspective of fandom and to propose a new social viewing interface that meets the needs of fans.
This study begins with an assumption that the type of viewing suitable for fandom is not simultaneous viewing but the type of non ? simultaneous viewing. After dividing the existing services into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viewing platform, and analyzing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and usage context of each type, in ? depth interviews with actual fans were conducted. From the analysis and the interview, 8 keywords important in the viewing experience of the fan audience were foun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form of social viewing suitable for fandom, specifically idol fandom, is asynchronous type. Based on th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service interface design considering the 8 keywords found from the analysis and the interview.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asynchronous viewing form which was less handl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viewing, and suggests a new type of asynchronous viewing interface as a result. It also has values in that it suggests a viewing platform interface suited for fans, and makes design suggestions for future viewing interface designs for fans. As social viewing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with the advance of technology and the individualization of socie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 start on the discourse on asynchronous type of social viewing.

비고 : MCD-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