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음악의 정보 시각화를 위한 표현적 특성 연구 (정보디자인 관점으로 보는 1950~1970년대 시각악보 연구)
  • 저자명|음문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정보디자인, 시각악보, 비주얼시스템, 데이타 시각화, 음악의 시각화

국문초록

이 시대에 요구되는, 새롭게 창조되는 예술은 서로를 모방하고 융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특정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학문과 인접하여 연장되고 실현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술의 미학을 빌려 사용하는 것이 창조성을 이루어내는 하나의 방법이 되기도 한다. 그에 걸맞추어 새로운 매체나 양식의 개발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과거부터 있어왔고 융합 예술, 융합 디자인이라는 단어는 더이상 생소하지 않다.
인간의 고도의 지성적, 감성적 활동의 산물인 음악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과거부터 인간 생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아왔다. 음악사에 있어서 화음에서 불협화음으로, 노이즈가 사운드로, 침묵마저도 음악으로 인식되기까지 표현적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었는데 이는 다양한 개념화로 이어졌다.
빌 버튼(Wil Burtin)은 시각디자인분야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시각적인 구성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기본적인 정보에 독자의 시선이 접근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즉 정보디자인의 관점으로 새로운 모형을 구축하여 제안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효과적인 이해를 돕는다.
본 논문은 제 1 장인 <서론>, 현대음악을 정의하고 시각악보를 분석한 제 2 장 <본론I>, 정보디자인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프레임워크를 디자인 한 제 3 장 <본론II>, 제 4 장인 <결론>, 프레임워크를 적용시켜 시각악보를 만든 연구작품이 실린 <부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1950 ~1970 년대 시각악보를 정보디자인 관점으로 분석한다. 음악을 정보로 규정하고 데이타 시각화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작한다. 즉, 음악이 들려주고자 하는 심상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음악을 정보 시각화 하기 위한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 음악이 가지는 특성은 추상적이다. 음악은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 예술이다.
- 그 보존 및 표기는 시각적 매체인 악보를 사용해 왔다.
- 이러한 질적 범주의 음악을 시각화한 것을 시각악보라 한다.
- 시각악보는 음악이 가지는 주제와 감성을 기록하고 소통하도록 한다.
- 연구자가 1950 ~1970 년대의 시각악보 사례를 분석해 본 바에 의하면 시각악보는 음악이 가지는 시간성을 바탕으로 창작자의 주의력과 기억력을 응축시켜 표상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정보디자인의 개념 및 유형을 분류하고 사례를 분석한 결과 알베르토 카이로(Alberto Cairo)의 수레바퀴 모델의 핵심요소가 본 연구에 적합한 분석 툴로서 타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의 연구작품(Hamonograph of AAA)에 카이로의 핵심요소를 대입시켜 분석한 후 새로운 프레임워크Score Grep 를 제작한다. 프레임워크Score Grep 를 적용시켜 시각악보를 디자인한다.
시각악보를 그래픽 모티브로 접근하고 정보 디자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학문적인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음악을 시각화하기 위해 시각악보의 표현적 특성을 연구하여 실효성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는 음악의 구성 원리가 정보디자인의 요소로 전이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시각악보의 가치와 적용방법을 찾아냈음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수직적 조화에서 수평적 조화를 위한 실천으로 볼 수 있다.

영문초록

Newly created arts in this age tend to imitate and integrate with each other. It goes beyond the scope of a particular discipline and extends to other disciplines. The use of the aesthetics of other arts is a way of achieving creativity.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style is also being actively pursued. This trend has been from the past, and the words convergence art and convergence design are no longer unfamiliar.
Music, which is a product of highly intelligent and sensitive activities of human beings, has become an important element of human life from the long past, both east and west. In music history, expressive problems were constantly raised from dissonance to harmony, noise to sound, and even silence to music, which led to various conceptualizations.
Wil Burtin said that, in the field of visual desig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space is of the utmost importance in visual composition, which defines how the reader's gaze approaches basic information. In other words, building and proposing new models from the viewpoint of information design helps visual understanding.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chapter 1 , chapter2 which defines contemporary music and analyzes graphic score, chapter3 which summarizes the concept of information design and presents the framework, chapter 4 , and the which contains research works that made graphic scores by applying the framework.
The researcher analyzed the graphic score from the 1950s to the 1970s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 The study defines music as information and creates a framework for data visualization. That i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image that music is trying to tell. It is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r data visualization of music.
-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are abstract. Music is a time art with sound.
- Its preservation and notation have used score as a visual medium.
- Visualization of this qualitative category of music is called graphic score.
- Graphic score records and communicates the theme and emotion of music.
-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analysis of graphic score from the 1950s to the 1970s, graphic score was a representation of the creator's attention and memory based on the time of music.
-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ncepts and types of information design and analyzing the examples, it was found that the key element of ‘Visualization Wheel Model’ of Alberto Cairo is valid as an appropriate analysis tool for this study. After analyzing the core elements of Cairo to the researcher's work (Hamonograph of AAA), a new framework Score Grep was created. Then the researcher applied the framework Score Grep to design the graphic score.
There is not enough academic research to approach graphic scores with visual motifs and explore them from information design point of view. In order to visualize the music, this research studi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graphic scores and made a system effective.
This shows that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music can be a mediator that can be transferred to the element of information design, meaning that it has found the value and application method of graphic score. This attempt can be seen as a horizontal harmonization practice from a vertical harmonization.

비고 : MCD-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