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CounselAR : AR마스크를 이용한 심리 상담 서비스 연구 - 온라인 시대에 적합한 온라인 상담 도구 탐색 -
  • 저자명|고주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1
  • 담당교수|강연아

주제어

국문초록

본 논문은 AR 마스크를 이용하여 온라인시대에 온라인 상담의 적합한 도구를 찾고자하였다. 정신 건강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공통된 문제다. 심리 상담은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전통적인 해결책이었지만, 부정적인 사회 인식과 제한적인 접근성과 같은 장애물로 사람들이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겼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화상 통화, 음성 통화 또는 채팅을 통한 원격 상담과 같은 여러가 가지 새로운 상담 수단을 찾았다. 이러한 의사소통 수단은 접근성, 편의성 및 익명성의 관점에서 기존의 상담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이 있지만 온라인 상담의 효과에 있어 개인적 상호 작용의 부족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3차로 나누어 연구 1에서는 온라인 상담에서 증강 현실 (AR) 마스크를 사용할 가능성을 조사하였고, 연구 2에서는 참여디자인을 통하여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인터페이스 설계하는 것을 도왔고, 연구 3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설계된 상담환경에서 3회에 걸쳐 상담을 진행하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AR 마스크는 사용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캡처하여 얼굴 움직임을 감지한 다음 컴퓨터 생성 이미지를 얼굴에 겹친다. 연구 1에서는 AR 마스크를 사용하면 익명성을 유지하면서 상담의 효과를 측정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자기 개방 수준을 높일 수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온라인 상담 중 AR마스크가 참가자의 자기 개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AR마스크의 효과는 참가자의 자기 개방 성향과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다. 상담 중 AR마스크를 사용한 경우 자기 개방 성향이 낮은 참가자는 자기 개방 성향이 높았고, 자기 개방 성향이 높은 참가자는 자기 개방 성향이 변하지 않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자신을 노출하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AR 마스크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을 통해 나온 문제점을 기반으로 사용자(내담자, 상담자)와 같이 온라인 상담 서비스 플랫폼 인터페이스 설계하는 것을 목적에 두었다. 3번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내담자와 상담자의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켰고, 총 8개의 주제로 16개의 화면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참여디자인 워크숍을 통한 서비스의 인터페이스의 설계는 서비스를 어려워할 수 있는 잠재 사용자를 설계의 협력자로 참여시켜 연구자가 느끼지 못했던 불편함이나 어려움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실무적인 사용 가능성에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나온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3회기로 이루어진 상담을 진행하였다. 3회기로 진행된 AR마스크를 이용한 상담은 회기에 따른 자기개방과 AR마스크에 대해 차이를 보였다. 1회기 상담에서는 AR마스크에 집중하고, 관심을 보이며 자기개방이 적었던 반면, 3회기 종결시점에서는 AR마스크의 착용여부에 집중하기보다는 상담의 내용에 집중하며 1회기와는 확연한 자기개방수준을 보여주었다. 또한 3회기 종결시점에는 자기개방측면에서 AR마스크를 착용한 내담자와 AR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내담자 사이에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AR마스크를 이용한 심리상담 서비스는 일부 사용자들에게 단기 상담이나 상담의 초기, 두려움을 낮춰주고, 사용자가 원하는 개방 시점에 마스크를 벗고, 상담자와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초록

비고 : DIT-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