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시각-도시경관에 대한 작업연구
  • 저자명|유비호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시각, 도시경관, sight, unrban landscape

국문초록

현대사회는 디지털 문화 환경의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은 전통적인 공간과 시간개념을 초월하여 각 지역의 장소성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도시공간은 국가정책과 다국적 기업의 자본력에 의해 개발되고 구성되어가고 있다. 도시공간은 특수한 목적과 합의에 따라 자본의 질서로 재편되고 있다. 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자본 시스템에 의해 그들의 욕망을 소비한다.\r\n\r\n본 논문은 이러한 구조적 관계를 밝혀내고자 일상적 도시공간에서 문화적 특이점을 발견하고 기록하고자, 도시공간이 근대 이후 국가 정책과 자본력에 의해 기획되고 배치되었던 일련의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도시공간은 특정 장소를 중심으로 주체와 권력의 관계방식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콘텍스트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면밀히 관찰하다 보니 도시공간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들이 잠재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도시공간의 다양한 정치 문화적 유형이 근대 시기의 도시화 과정에서 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n\r\n연구 작품 제작진행 방법에서 본인은 한국의 특정한 도시공간을 중심으로 권력과 주체가 관계 맺는 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도시의 특정 장소를 리서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도적 시스템이 만들어내고 있는 사회 구조적 시스템을 알아내었다. 더 나아가 관객들(이미지 수용자)이 자연스럽게 작품에 개입하며 이미지를 읽어나갈 수 있도록 뉴 미디어의 특성이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작품과정을 거쳤다. 결국 뉴미디어 문화 환경 속의 미디어 수용자(혹은 관객)가 현재 도시경관을 구조적으로 읽어나가며 사회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 인터페이스 구성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영문초록

Our current society is placed in a vastly changrng digital culture environment. The "digital" is overtaking the concept of traditional space and time which makes place, a senselessnes existence. But,even today, city space is developed and formed by the political measures and capital strength of multinational business.\r\nA specified city space is reformed as a pvramid system of capital strength which depend a specific purpose and conspiration. People within this space comsume thier desire along the systematic capital strength. It was intended to find this structural relationship which required research and record on the cultural difference in a normal everyday living city space.\r\n\r\nAs part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series was researched in the city space that produced and arranged by political measures and capital strength. At this point, it was able to find that the various cultural contexts are formed by relationship of the core and power in conjunction with city space. On top of that, the existences of various social issues arise due to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ing of these materials in the point of cultural politic view. It was possible to find a city space with various types of culture-politic in the nearest process of city life. In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find the strongest base of theory in the arrangement of current city and the identity establishments of human areinfluenced by the wertern scoping regime of perspective.\r\n\r\nThe research took place to find the structure that produc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and the power with a consideration of specified Korean city space.lt was possible to find that the social structural system was made by the system of regime.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the artwork was progressed and created by computer programming in which, the viewers could find familiar or getting familiar to new media and the artwork was designed to follow as natural as possible.\r\n\r\nThe thesis consist researches of characteristics in new media. It was desigred for customers in the background of new media to read and understand the landscape of specific place.

비고 : MMA-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