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추상애니메이션의 환영연구
  • 저자명|김미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추상애니메이션

국문초록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이 살아있는 생명력을 느끼기 위해 매체를 이용해 왔다. 환영은 실재와 같이 관객이 느끼게 하는 장치이다. 환영은 2차원 원근법에서 3차원의 영화적 장치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살아있는 몰입과 현전을 느끼게 된다. 환영은 과거의 시각적 장치를 통한 환영에서 디지털의 공가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r\n\r\n그리스 시대의 고르기야스(Gorgias)는 '아파테(apate)' 이론은 '관객을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어떤 현상을 보여줌으로써 관객이 실제라고 믿게끔 하는 것이다."이라고 환영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실제의 고통을 체험하는 것 같은 그런 감정을 산출하는 것이다. 즉 관객의 몰입(Immersion)과 현전(Presence)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비재현적 창조물에 제한된 환영을 규정해 놓은 것은 주목할 만하다. 서양의 시각체계는 원근법에 재현된 사실주의적 환영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는 곧 사실주의적 모방의 헤게모니는 사실주의가 곧 환영이라는 관습을 만들어 냈다. 19세기 이후 실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미와 표현이 활발해졌다. 무의식적 환상과 정신적인 세계가 실재로 변하였고, 환영이 실재를 가시화한다는 점에서 추상은 환영주의를 가능케 한다. 추상예술의 환영은 원근법 이상의 새로운 것을 원했다. 묘사의 예술로서 환영을 만들어 내는 기하학에 의한 투시, 양감, 명암을 탈피하였고 새로운 환영을 위해 기계와 손잡았다. 아방가르드 추상예술은 원근법의 고전적 환영을 거부하고 사물과 음악 또는 기술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환영을 실험하였다. 더는 평면의 허구가 아닌 좀 더 생생함과 실재에 다가가기 위한 재현적인 도구의 방법으로 모더니스트들은 기계미학을 선택했다. 이러한 기계미학은 현대 테크놀로지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몰입과 현전을 느끼기 위한 상호작용 아트나 디지털 공간 속에서 자라고 진화하는 새로운 추상적 생물이 탄생하게 된다. 디지털의 '영성화' (Spiritualize)와 비재현적 표현은 이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추상적 형태는 기존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재현의 예술보다 가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추상은 환영을 이루게 된다. 과거의 아파테 이론은 가상현실과 비교할 때, Interactive와 Simulationm, 가상공간과 몰입감은 고르기야스가 내놓은 환영이론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영문초록

Art has been advanced with the use of certain medium to invigorate the live vitality in his work. The illusion is a device to make the audience to feel as if it is real. The illusion brings the living immersion and presence through the third dimension of movie apparatus and digital media in the second dimensional perspective. The illusion has changed from the past illusion of visual devices to stimulation of synesthesia of digital.Gorgias of Greece indicated that the 'Apate' theory was'a reaction through audience that was in fact intended to show certain phenomenon to make the audience to believe it as real.' Namely, the definition of illusion is rendered to calculate such emotion to experiment the actual pain. In other words, it means to feel the immersion and presence of the audience. In particular, it is interesting to define the illusion within the confinement of the creature of non-presentation. The realistic illusion reproduced in the perspective of the western visual system has long been sustained. The hegemony of realistic imitation had made the custom, so-called illusion. After the 19th century, the interest on existence has heightened, and the implication and expression on existence have become actively facilitated. In the point that the unconscious illusion and spiritual world are turned into the existence and the illusion is visualized for the existence, the abstraction enables the illusionism. The abstract art in illusion demanded the new ideals more than simple perspective. By breaking away from perspective, volume, and contrast by the geometry that makes the illusion as a descriptive art and for the new illusion, the collaboration with machine was made. The avant-garde abstract art rejects the classic illusion of perspective and experimented illusion in various ways through objects, music or technology. And the modernists selected the machinery aesthetics as a way of reproduction tool to approach to the lividness and existence, not the falsification of planes. This type of machinery aesthetics has mad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contemporary technology, and the mutually responsive art or digital space to feel the immersion and presence brings the birth of new abstract organism growing and progressing art or digital space. The 'visualization' of digital and the expression in non-representation enable as above, and the abstract form forms virtual and unrealistic abstract than the existing realistic and concrete reproduction of art in general. In light of virtual reality, the Apate theory of the past could find the similarity with the illusion theory from Gorgias with the interactive and simulation, and virtual space and sense of immersion.

비고 : MMA-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