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가상공간에서의 몸 확장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저자명|서혜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8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뉴미디어 예술, 넷아트, 몸의 확장, 포스트휴먼, 아바타, 사이보그, 사이버네틱스, 인공생명예술, 사이버 공간, 메타바디

국문초록

우리는 무엇을 아름답다고 여기는가? 아름답다고 판단함에 있어 기준은 무엇이 며 무엇에 기초하는가? 본 연구는 아름다움의 기준과 가치에 대한 본인 스스로의 물음에서 시작되었다.\r\n\r\n본 논문은 몸에 대한 기존의 담론에서 출발하여 사이버 개체인 메타바디로 변화하는 몸의 확장을 통해 이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 여기서 도출된 이론적 고찰들을 작품에 반영하여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n\r\n본 논문의 연구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r\n\r\n먼저 이론적 고찰을 위해 몸의 확장을, 현실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가시적 확장과 가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비가시적 확장으로 나누어 생각해보았다. 가시적 확장과 관련하여 살펴보자면, 포스트휴먼 시대의 우리 몸은 기 휴머니즘 시대에 가지고 있던 물리적이고 제한적인 개념을 벗어나, 가상 공간으로 확장 가능하고 변화 가능한 존재가 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기본으로 ‘몸’ 자체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의미를 살펴본 후, 성형과 사이보그로 대표되는 올랑(Orlan)과 스텔락(Stelarc)의 예술 세계를 살피고자 한다. 여기서 이 두 작가의 예술 세계는 서로 다른 듯 보이나, 타고난 아름다움을 극복하고 완벽한 아름다움을 얻기 위한 성형행위로서의 몸 확장과 기계의 힘을 빌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몸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결국 유기체인 인간의 몸과 이물질의 결합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게 되므로 같은 맥락으로 간주하였다.\r\n\r\n다음으로 비가시적 확장에서는 실제가 아닌 가상공간으로 확장하는 가상의 몸 확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너의 ‘사이버네틱스’이론을 전제로 할 때 가상으로의 몸 확장은 생명체를 흉내 내고 인간을 닮으려는 기계에 대한 또 다른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아바타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가상공간으로의 몸 확장으로 인해 몸 소외 현상, 사이버 창조물의 자아 정체성에 대한 문제 등이 야기되고 있다.\r\n\r\n본 연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메타창조이론으로 설명되고 있는 인공생명기술을 통해 살아있는 개체로 까지 발전되어 표현되는 몸 확장의 예술적 형태를 살피고, 메타창조 개념의 발생학적인 확장을 통해 본인 작품의 근간인 ‘메타 바디’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였다. 여기서 발생학적으로 확장한다는 것은 사이버상의 존재를 파생시키는 것에 있어서 그 모체를 유기체에 두고 그 유기체에서 사이버 개체를 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는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여 그 형질을 담은 또 다른 개체인 ‘아이’가 탄생되는 것처럼, 사이버 상에 유기체인 나의 형질을 파생시켜 사이버개체를 탄생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유기체로부터의 파생이라는 특성으로 인공생명예술과 구분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생물학적 범주로의 메타창조 과정을 통해 탄생한 사이버 개체를 ‘메타바디’라 명명하고 도출하게 되었으며, 미국의 여성작가인 린 허쉬만 리슨(Lynn Hershman Leeson)의 작품을 통해 예술에 있어서의 메타바디 사례를 모색하였다.\r\n\r\n결과적으로 이러한 이론적 고찰들을 작품에 반영하여 본인의 유기체적 특질을 나누어 지니는 6개 사이버 개체들이 탄생되었으며, 본 논문에는 이들의 탄생과정과 웹에서의 성장하는 모습 전반에 대한 기록과 함께 완성된 모습을 수록했다.

영문초록

What do we regard as beautiful? What are the criteria and the basis of making that decision? This study was initiated by self-questioning the standard and the value of beauty. This paper begins with mentioning of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body, whi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ress the theoretical studies derived from solution searching efforts that includes studying of the body extension into a meta-body, a cyber entity, through the work of arts.The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First, in order to conduct the theoretical study, the extension of the body was divided into two types, one being the visible extension in the reality space and the other being the invisible extension in the cyber space.In terms of the visible extension, our body in the post-human era has freed itself from the previous physical and constrained boundary which was the concept that prevailed in the humanism era. It became an existence that is capable of extending itself into the cyber space and capable of change.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various meanings and definitions of the ‘body’ itself first and further studies on the arts of Orlan and Stelarc whose arts are represented by plastic surgery and cyborg. At this point, the art works of each artist may seem different in the types of art. However, when comparing the extension of body through plastic surgery pursuing a perfection of beauty while overcoming the natural beauty and with the extension of body via cyborg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human being from the help of machines, both types of arts have a common ground where both are combinations of an organic body and outside substances. Thus these two arts are considered to have some coherence.Next, on the invisible extension,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sion of the virtual body in the cyber space rather than in the real space. Setting forth Weiner’s Cybernetics theory, the extension of the body in the cyber space is another form of the machine trying to become a human being, imitating life which is expressed with Avatar. However, due to the extension of body into the cyber space, issues such as body alienations, creation of self-identity in the cyber space, etc have been brought about. Going a step further, this study touches upon the artistic form of the extension of the body that is based on the meta-creation theory where the extension of the body has been developed and expressed as a living entity through the AI technology. Moreover, through the embryological extension of the meta-creation concept, the ‘meta-body’ concept was derived which has been the basis for my art work. The meaning of the embryological extending the body in this paper is that, when deriving an entity in the cyber space, the foundation of the entity come from an organic substance, from which a cyber entity is generated. In other words, just as an independent entity, 'child', is born from the conception between the ovum and the sperm that carries the characteristic form and quality of the mother and the father, it is a sequence of process that creates the cyber entity derived from the organic self in the cyber space. Therefore, this approach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AI art based on the fact that this is derived from an organic substance. I have named this cyber entity, created from the meta-creation process of this biological category, as ‘meta-body’ and sought for examples of this meta-body from the art works of Lynn Hershman Leeson, a US female media artist. As a result, 6 cyber entities were create which composed of 6 different organic characteristics that I possess as a whole from applying the above theoretical studies in the art works. This paper exhibits the birth processes of these 6 cyber entities and documents the overall growth process as well as the completion of the entities on the web.

비고 : MMA-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