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디지털 아트에서 보이는 인터페이스의 유희성: MediaPerformance를 위한 InterfaceDesign
  • 저자명|신두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8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디지털 아트,인터페이스,유희 충동,유희 경험,놀이,미디어 퍼포먼스,상호작용성,상상력

국문초록

현대 디지털 기술이 예술에 미친 영향 중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 한 점은 관객들이 관람의 행위에서 재미와 놀이 그리고 예측하지 못했던 뜻밖의 즐거움 혹은 충격을 찾게 되었다는 점이다.\r\n\r\n본 논문은 디지털 아트에서 보이는 인터페이스의 유희성에 관한 연구이다.디지털 예술에 환호하는 관객은 주로 시각적 즐거움과 육체적인 흥분을 추구하기 때문에 예술소비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과 참여의 행위는 유희 경험으로 쉽게 확대된다.디지털 예술 작품을 소비하려는 최초의 에너지인 유희 충동과 충동에서 재미를 얻기까지 진행되는 경험의 과정들에 대해 알아본다.또한 유희 경험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표현적 분류를 공간적 경험과 시각적 환영 그리고 환경적 조작으로 나누고 각각의 형식에서 도출되는 유희적 측면을 실제 작품 중심으로 분석한다.\r\n\r\n총체적인 감각의 인터페이스로 제시한 미디어 퍼포먼스는 하이브리드의 디지털 예술로써 관객에게 유희를 위한 최적화 된 환경을 제공한다.공연예술의 구성요소들 중에서도 특히 무대공간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으로 구축함으로서 디지털 매체를 응용한 멀티미디어의 공감각적 환경을 실질적인 연구 작품을 통해 제시한다.미디어 퍼포먼스는 디지털 아트에 있어서도 감각이 확장된 예술 표현으로 시공간의 빠른 변이와 왜곡을 통해 관객에게 신선한 경험적 환경을 제공한다.이는 본 연구가 말하는 인터페이스의 유희성이 총체적 감각으로 연출된 예술형태이며 나아가 디지털 아트는 유희성을 덧입어 일상으로 확대되어 다수에게 예술적 즐거움을 선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초록

What I have noticed the most from favorable effects that Modern Technology gives to art is audiences found enjoyment, play, and unexpected amusement or its amazement by viewing.This thesis is to study about the amusingness of interface can be seen in part of Digital Art as the title shows. Because of the Audiences who give a shout of joy for the Digital Art usually seeking for visual amusement and physical excitement, aggressive perception of consumption on art and its action of participation are easily extended to experience of amusement. We will here investigate and examine about the process of experience being progressed till to get 'amusement from impulse' and 'impulse of amusement' which is initial energy tries to consume a work of the digital art. And also try to analyze an aspect of amusement focused on actual work deduced from its format of spatial experience, visual illusion and environmental manipulation in the expressive classification of the digital interface for the experience of amusement. The media performance as hybridize digital art presented by the interface with enlarged sense serves optimized environment to audiences for the amusement. And good example that especially accepts construction of the interface environment with stage design from components of performing arts will be showed by an added research work. Media performance in the digital art offers fresh empirical environment to audiences through a rapid transition and a perversion in space-time by art activity with enlarged sense. This is what this study tries to clear that a new form of the amusingness of interface produced by enlarged sense, therefore strongly affirm that amusingness covered digital art has to be daily extended and gives the artistic amusement to the general public.

비고 : MMA-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