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개념미술의 상관적 국면과 확장적 국면 : 칠도 메이어레스의 <이데올로기적 회로에의 삽입>과 로만 오팔카의 <디테일>을 중심으로
  • 저자명|박영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개념미술, 이데올로기, 로만 오팔가, 칠도 메리어레스

국문초록

개념미술가 조셉 코수스의 사례를 고려할 때, 개념미술에 대한 내포적으로 실체적인 정의는 역설적으로 개념미술의 난규정성을 심화시키며, 이론가들의 입장 간의 미묘한 불일치는 오늘날 개념미술의 일차적 범주를 상정하는 데 놓인 어려움을 부각시킨다. 일차적 범주를 상정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것은 행정적인 잣대가 아닌 개념의 구체적인 운용이라는 견지에서 개념미술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이론가 피터 오스본의 분류를 원용, 수정함으로써 개념미술의 상관적 국면들을 압축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플럭서스, 미니멀리즘, 아트 앤 랭귀지, 제도 비판을 의미하며, 이들 각각의 특이점이란 인터-미디어, 사물성, 미술-언어, 중립불가능성을 지칭한다. 그러나 안정적인 국면에 연루되어 있는 동시에 그것 너머에서 사고될 수 있는 확장적 국면들에 대한 논의가 전개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메이어레스의 <이데올로기적 회로에의 삽입>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알려지지 않은 사고와 감각의 지점을 현실화하는 탈-제도적 생산력으로서의 개념성의 지대를 기술하고, 로만 오팔카의 <디테일>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무한과 비인칭성 개념 그 자체를 미시적으로 구체화하는 전-언어적 질료로서의 조형적 엽상을 명명한다. 이이서 구조주의적 심급 x에 대한 들뢰즈의 이론화와 비평가 마이클 뉴먼의 개념미술 오브제에 대한 분석에 의거함으로써 개념미술이 비-개념미술과의 관계 속에서, 그리고 동시대 시각문화나 조형 예술 일반과의 관계 속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하는지에 관해 논의한다. 작품 <에크리튀르-이미지>는 개념미술로서의 비디오아트로, 이미지-존재론적 관점을 통해 이미지-소여와 문자-소여의 동시적 생성 과정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영문초록

Considering the case of conceptual artist Joseph Kosuth, defining conceptual art denotatively and substantially complicates the difficulty of defining conceptual art. Furthermore, the delicate discrepancies between theoreticians etch the difficulty of proposing the primary category of conceptual art in the contemporary context. What matters most in proposing the primary category is the effort to grasp conceptual art not in terms of the administrative criteria, but of the concrete employment of concepts. Based on this problematization, the author discusses the correlative aspects of conceptual art recapitulatively by drawing upon and modifying the classification of theoretician Peter Osborne. These aspects are Fluxus, Minimalism, Art & Language, and Institutional Critique, and the singularities of these aspects are respectively inter-media, objecthood, art-language, and the impossibility of the (institutional) neutrality. And the author discusses the expansive aspects of conceptual art that are connected to, but go beyond those well established aspects To begin with, the author enunciates the zones of the conceptuality as the de-institutional productivity that actualizes the unknown regions of thought and sens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Cildo Meireles's Insertions Into Ideological Circuits project. And the author articulates the plastic phyllome as the pre-linguistic and premordial matter that microscopically concretizes the concepts of infinity and impersona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Roman Opalka's Detail project. Subsequently, the author discusses the status of conceptual art in relation to non-conceptual art, the contemporary visual culture, and fine art in general by depending upon G. Deleuze's theorization on the instanz x from a structuralistic perspective and M. Newman's analysis of the objet of conceptual art. The author's graduation project work L'image-ecriture is a video art work as a conceptual art work and it configurizes the concurrent becoming process of the image-matter and the word-matter from an image-ontological perspective.

비고 : MMA-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