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도시공간 속 미디어퍼포먼스 표현기법 연구: 1960년대 이후 장소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지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뉴미디어, 도시, 사건, 공공성, 일상성, 밋밋한 경관, 미디어퍼포먼스, 하이퍼매개, 헤테로토피아, 심리지도, 가변적 풍경

국문초록

현대 사회에서 기술과 미디어를 배제한 도시인의 삶을 서술하기란 불가능하다.신기술과 뉴미디어에 의한 진보와 확장은 마샬 맥루한이 1960년대에 제시하였듯 지리적 경계를 넘어 인간의 확장이며 미디어 자체의 속성을 넘어 사회학적인 영역에까지 이른다. 하지만, 도시는 여전히 대량생산과 소비라는 자본주의 시스템 아래 ‘밋밋한 경관(flatland)’의 평균적이고 평범한 가능성만 제공하고 있고, 그 속에서 인간의 일상은 양식이 사라진 채 수동적이며 무감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를 통한 사이버·가상·하이퍼 등으로의 장소의 확장으로 말미암은 지각변동에 관심을 두면서 뉴미디어 기술과 예술가들의 창조적인 방식의 혼합이 일상에서 양식의 부재와 마비된 감각을 풀어낼 수 있는 개인적인 경험의 장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믿으며, 첫째, 60년대 이후의 뉴미디어의 특징과 함께 장소 개념과 도시 공간 변화의 계보를 살펴보고, 둘째, 예술가들과 건축가들의 뉴미디어 시대에서 시도한 창조적 방식의 예들을 통해 몇 가지 미디어퍼포먼스 기법들로 정리해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함께 진행된 실험들은 “사소할지라도 주의에 퍼져 있는 단조로움과 수동성을 막으려 하는 개인적인 시도이다.

영문초록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the urban life of contemporary ciries without raking into account new media and technology. Advanced media technologies,particularll' the computer, have changed not only everl,day life styles but also cultural, social, economical and artisric paradigms. The craditional concept of place has been replaced by a new concept that creates a differenr perspecrive and meaning through a varietl' of spaces such as virrual reality, cyberspace, hyper reality, and so forth. These new spaces or realities have evolved very rapidly and expanded our possibilities of expression at a staggeringpace.\r\nHowever, people in the cities grow increasingly consumerism-oriented, their bodies deal constantly wirh media screens, and rhe individual subject uhimarely disappears along with personal style. Everyday life in the cicies is largely passive and being deprived of the emotional and individual senses under the weighc of commercialism and mass media. This study suggesrs that artisric practices in combination with new media and technologies could recreare a differenr urban context, with potential for generating subjective singulariries focused on rheindividual. It is argued that, within chis new media environment, hypermediacyplaces can lead to more active and creative ways of communication in the urban lifestyle, thus encouraging a diversity of habits and behaviors.\r\n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T he first sectiona nalyzest he flow of newly createdt echnologiesa nd media after the 1960sa nd discussetsh e new realities that became possible with this new media, such as Heterotopia and Psychogeography. It is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hat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the physical and virtual spaces as well as public and urban experiencesT.h e seconds ectioni s a cases tudy that interpretsrhe role of internationala rchitectsa nd the art produceds incet he 1960si n an environment mediated by new media and technologies. Projects form Jefftey Shaw RafaelL ozano-Hemmer,Jean Nouvel and Marcos Novak are presented as the case examples.This section concludes with the analysis of three media performance techniques in urban spaces: creen and body, changeablle and scape, and mixed devices. The third and last section describes accompanying individual projects that are trying to counter the pervasive atmosphere of passivity in contemporary urbanl ife.

비고 : MMA-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