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디어 퍼포먼스(Media Performance)에 나타난 다중시점 연구
  • 저자명|유지훈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미디어 퍼포먼스, 다중시점, 스크린 인터페이스, 총체극, 디지털 극장, 포스트드라마틱 연극

국문초록

미디어 퍼포먼스(Media Performance)는 현실 재현을 바탕으로 인간의 감정을 소비 또는 소유할 수 있게 해주는 장르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미디어 퍼포먼스의 극장은 관객 또는 구경꾼에게 객관적이며 재현된 상황을 관조적인 태도로 엿보거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자체가 현실로 간주되기도 한다. \r\n\r\n미디어 퍼포먼스의 극장에서 극적인 리얼리티의 가능성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영상 이미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영상을 활용한 전달방식은 배우가 언어로 전달하는 것보다 더욱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과거 공연에서 나타난 ‘액자화된 현실’ 즉 무대의 공간을 마치 TV를 보는 것과 같이 현실과 분리해서 바라보는 시각은 통합되어 나타난다. 스크린은 체험의 형태로 전환되어 평면의 스크린에 상영되는 이미지는 관객에게 입체적으로 수용이 된다.\r\n\r\n본 논문에서는 평면의 스크린이 관념적 또는 물리적으로 평면에서 탈피하여 입체적 스크린 또는 입체적 공간을 구성하기 위해 다중시점에 기대었던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형태적 의미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스크린과 역동적인 스크린 그리고 확장된 스크린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역사적으로 다중시점을 관찰하고 표현하기 위한 방법적 또는 논리적 접근으로서의 분류이며 관념적, 시대적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r\n\r\n미디어 퍼포먼스는 스크린의 콘텐츠(contents)와 형태(form)에 나타난 다중시점과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가장 근원적이고 보편적인 형태로 작용되는 인간으로서의 신체 혹은 음악, 사운드, 인터랙티브 등이 가지는 독립되어 완성된 예술로서의 시점을 동시에 포함한다. 이로 인해 관객은 그것을 평면으로 인지하지 않고 객체에서 주체로 전환되는 현상을 자유롭게 경험함과 동시에 파편화된 시공간의 변화에 의한 입체적 공간을 수용하게 된다.\r\n\r\n다중시점은 지각이 구분되는 경험에 의해 인지되며 그 결과는 사유의 확장이다. 즉 다중시점에 의한 지각의 구분이 일상으로 확장되어 경험되고 체험된다는 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에 나타난 다중시점 연구의 중요성에 관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영문초록

Media performance is a genre that allows audience to consume or possess their emotions by constructing reality. The audience often feel the reality in media performance theater while they watch or interact with it. This thesis focuses particularly on the moving image, one of various methods to express reality in media performance theater. Visual communication engages the audience in ways that verbal or linguistic communication cannot. The complexity of visual communication is in its \r\ncapacity to induce conflicts, caused by multiplicity of perspectives. Multiple view unsettles the stability of the linear perspective and leads to layered understanding of reality. In other words, the audience may experience the everyday life "expanded" from the division of perception through multiple view. The significance of investigating the aesthetic dimension of media performance precisely lies in the perceptual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multiple view. \r\n The "framed reality" in traditional theater tends to work as a contrived, autonomous world, inducing a kind of spectatorship analogous to television viewing. Current usages of moving images convert the "framed reality" into a unified screen. This is to say that the functional essence of media performance is grounded in screen interface. This research explains how planar screen utilized the multiple view conceptually or physically to form a three dimensional screen. First, based on the form of screen, the screen interface is classified to three different models; traditional screen, dynamic screen, and expanded screen. These categories are conceptual tools, through which the usages of multiple view can be questioned and contextualized. They also help understand the conceptual and historical processes through which the media performances are developed. \r\n Media performance includes both multiple view, appeared in contents and forms of screen, and a view as a complete art, that is endowed by the most basic forms; human body, music, sound, or interactivity. Therefore, the audience experience the shift from objectivity to subjectivity while recognizing the three dimensional space, converted by fragmented time space. Multiple view is recognized by divided senses and expands the reason. In other words, the divided senses by multiple view are experienced and explored by expanding to our daily lives. Therefore, the multiple view, appeared in media performance is important to be studied.

비고 : MMA-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