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서사 창작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보드게임 개발 연구
  • 저자명|정병목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서사 창작 ; 스토리텔링 ; 보드게임

국문초록

정보가 최고의 가치로 꼽히는 첨단 디지터르이 시대. 그러나 여전히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감성적인 이야기이다.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며 공감의 힘을 얻어내는 스토리텔링. '수레바퀴가 없이도 훌륭했던 사회는 존재했다. 하지만 스토리가 없었던 사회는 존재하지 않았다.'라고 말한 우르슐라 르 귄(Ursula Le Guin)의 말처럼 스토리텔링은 교육에서부터 예술, 기업경영, 출판, 게임, 문화 콘텐츠 산업 등 모든 영역을 아우르며 21세기의 커뮤니케이션 기법 및 표현양식이 되고 있다. \r\n\r\n특히 교육콘텐츠와 관련해서 스토리텔링은 교육과 재미를 결합시켜 교육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교육현장에서는 스토리텔링과 관련된 교구매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r\n\r\n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와 중요성을 인식하는 동시에 효과적인 서사창작 교육을 위한 교구매체로서 보드게임에 주목하였고, 연구를 위해 보드게임의 현황과 교육적 효과 등을 살펴보았다.\r\n\r\n또한 대한민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고 아동의 서사창작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재미있고 유익한 교구매체로서 스토리텔링 보드게임의 개발 과정을 연구하였으며, 게임의 컨셉과 그래픽의 가독성, 이미지 등이 아동을 대상으로 적절한가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r\n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스토리텔링 보드게임을 개발하였다.\r\n\r\n1. 기획\r\n서사창작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보드게임의 기획단계에서는 현재 보드게임의 시장흐름을 살펴보고 교육적 목표를 가진 스토리텔링 보드게임을 제작하기 위해 그에 맞는 시스템을 선택하고 보드게임의 개발 컨셉을 정하였다. 또한 전체적인 시스템과 배경 이야기, 룰의 디자인, 시각적인 그래픽 요소를 분류하고 리서치 작업을 진행하였다.\r\n\r\n2. 설계와 개발\r\n스토리텔링 보드게임의 설계와 개발과정에서는 프로프의 민담형태론, 그레마스의 설화도식과 행동자모델 등을 적용하여 룰 디자인과 밸런싱 작업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그래픽 작업으로서 아동에게 다양한 세계와 시점을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방법과 기법, 조형석 해석을 다양하게 시도하였고, 카드와 보드판 등의 보드게임 구성물에 민족 고유의 문화적 전통을 반영하였다.\r\n\r\n3. 테스트 및 수정과 보완\r\n설계 및 개발과정을 거친 프로토 타입을 예비적용과 대상적용으로 나누어 테스트플레이를 하였고, 이를 통해 개발 중인 보드게임의 시스템과 게임의 규칙 및 수준을 점검한 후, 도출된 문제점과 내용을 가지고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토 타입의 제작에 반영하였다.\r\n\r\n4. 최종 프로토 타입 완성\r\n수정사항의 검토를 통하여 게임의 규칙과 수준을 최종적으로 정하였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최소화시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최종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였다.\r\n\r\n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최종 프로토 타입인 한국형 스토리텔링 보드게임 <옛날 옛적에>가 완성되었다. <옛날 옛적에>는 아동기 교구매체로써 아동에게 스토리텔링에 대한 높은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게임의 규칙과 아이템에서 발생되는 재미를 통해 서사창작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조상들의 삶과 문화유산 등이 글과 그림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어 옛날이야기가 지향하고 있는 올바른 가치관과 세계관을 게임을 하는 아동에게 형성시켜 줄 것이다.

영문초록

Storytelling is a new expression mode of the 21st century comprising all areas including education, arts, business management, publication, and game and cultural content. Especially related to educational content, storytelling has a highly educational effect by combining education and enjoyment. However, as for current facts and figures on educational instruments related to storytelling in the education field of Korea, it is common to produce and distribute replications of overseas educational products, or directly import them for sale. Hence, it is keenly required to develop quality educational instruments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s. This study noted board games as effective instruments for education on writing epics , and,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storytelling board game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that is suitable for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and can improve creativity in children.\r\n\r\n1. Planning\r\nIn order to produce a stor]rtelling board game having the desired educational goal, I selected a suitable system and decided on the concept of a board game to be developed.\r\n\r\n2. Design and development \r\ndesigned a rule design and balancing work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development of inherent cultural a storytelling board game. At the same time, I reflected the tradition of the people in the board game.\r\n\r\n3. Test, corrections, and complementation\r\nI conducted correction and complementation work after reviewing the system and the rules of the game through the process of test play.\r\n\r\n4. Completion of the final prototype\r\nI made a final prototype so that corrections and/or commercialization may be made, if necessary.\r\n\r\nKorean-style storytelling board game, , meaning "once upon a time" in Korean, is an educational instrument for children that is designed to attract their interest through storytelling. Since the game includes traditional lives and cultural relics in writings and pictures, it r,vill give the right sense of value and views of the world to children through old stories.

비고 : MMA-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