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상호 작용으로서의 참여적 양식, 예술가와 대상의 관계연구
  • 저자명|전소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참여적 양식

국문초록

예술과 사회는 오랜 시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형식보다는 내용, 미학보다는 삶의 의미를 강조하는 포스트모던즘이 도래한 이래 그 둘의 관계는 참여와 개입의 형태로 변모해 왔으며 예술의 사회적 참여와 개입에 대한 논의는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예술가는 사회를 관찰하고 기록하거나 주관적으로 표현해내는 존재로부터 나아가 사회 속으로 들어가 타인의 삶 속에서 생활하며 자신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 하거나 재현해 내기에 이른다. 예술가와 대상의 역할과 위치는 큰 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그 어느 때보다 그 둘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상호작용으로서의 참여적 양식으로 제작된 작품에 관한 본 연구는 작품 제작에 있어 예술가와 대상의 관계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r\n\r\n이 논문에서는 '참여적 양식'을 제작의 주체인 예술가와 대상이라는 이분법을 극복하고 대상으로 재현된 주체들이 예술가와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에 등장할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 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제작과정의 의미까지 확대하여 정의한다. 참여적 양식은 예술가와 대상이 함께 작품을 만들어 가는 의미를 넘어서는 것으로 둘 사이의 관꼐에 대한 고민을 통해 작품 제작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이끌어내고자 하며, 예술가와 대상간 관계를 그들이 속한 사회로 확장하려는 실천으로서 주목하고자 한다. 참여적 양식은 예술가와 대상의 관계맺음에 주목하여 작품 제작에 있어 주체의 위치나 제작 주체와 대상의 관계가 어떻게 변모되어 왔으며 단순히 예술가의 대상이었던 그들이 발언권을 가지고 제작의 주체로서 등장하게 되는 과정을 드러내며 작품 제작의 방법론에 대한 대안적 제시를 해준다. 또한 개인으로서의 대상이 속한 사회로 시선을 확장하는 행위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이끌어내려는 실천적 성향을 가진다.\r\n\r\n참여적 양식의 작품제작에 대한 관심은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과 같은 미디어의 발전과 보급으로 누구나 쉽게 자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사회 문화적 맥락에 맞닿아 있다. 누구나 손쉽게 자기 이야기를 하고, 이를 재현해내는 방식의 확장은 누구나 제작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주체와 대상의 관계 변화와 새로운 주체로 등장한 개인들은 작품 안에서 예술가와 대상의 관계를 재고해보게 하였으며 작품 제작의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참여적 양식에 주목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r\n\r\n본고는 작품 제작의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참여적 양식에 주목하여 예술가와 대상의 관계맺기 방식을 고찰한다. 이러한 관계맺기 방식은 작품제작에서의 제작자와 대상간 관계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제작자와 대상간 변화된 위치와 새로운 주체로 등장하게 된 개인들을 전제로 한다. 참여적 양식에서 예술가와 대상이 관계맺는 방식은 주제나 대상에 따라 그들의 사적 경험이나 기억을 재현해 내기도 하고, 예술가의 개입으로 도출된 새로운 이야기가 덧붙여 지기도 하며 그들이 속한 공동체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예술가와 대상은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치유나 성장을 경험하기도 하고, 사회 변화를 위한 실천적 목소리를 내기도 하낟. 본문에서 분석한 작품들은 이를 증명하며 다양한 형태의 참여적 양식의 의미와 가능성을 제시한다.\r\n\r\n대상을 바라보고 관계맺기하는 방식으로서, 참여적 양식은 작품제작의 방법이자 태도일 뿐 아니라 대상을 재현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참여적 양식에 대한 작품 분석은 주체와 대상에 대한 인식의 반영으로 또한 대상이 속한 사회가 독해되는 사회 문화적 맥락을 드러낸다. 본고는 작품 제작의 방식, 소통의 방식에 대한 고민과 실천의 반영으로서 참여적 양식을 통해 개인의 사적이고 일상적인 발화가 사회적 실천으로 확장되어 갈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Art and sociely has been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for a long time. As postmodernism arrives and context and meaning became more important than a form or aesthetics, the relationship of art and society has changed as well. They started to participate and intervene in each other, and discussions on art participating in society became endless from diverse perspectives. Within such a relationship, artists do not just observe, write, or recreate from their point of view, but also participate in a society by living a life of others and talk about his or her own experiences or representing the others. The role and status of art and society has dramatically shifted, and the interaction became more important than ever. This study on participative arl form including interaction was motivated while concerning on a relationship betrveen an artist and objet in this thesis,'participative form' stretches its meaning to an objet actively cooperating in [he process of artwork, not just being a part of the artwork in an interac[ive form. The newly defined relationship of artisl and objet intend to derive a new theory of art-making and to expand the relationship toward a society they belong to. Participative form focuses on how the subject and objet relate to each other, research how the relationship has been changed, and reveal the process of how objet achieves its right to have opinions on art-making and play a role of producing. The process of this thesis will eventually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on art-making. The theme of participative art-making was partly mo[ivated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rvhere everyone could readily produce their oln stories due to prevalence of media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 and smart phones. The shift of media environment would allorv anyone to be a producer, and such a change induced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of an artist and objet and to focus on the participative art form as one of alternative art-making method. The relationship of artist and objet would reveal the objet's private experience or memories, add another story by intervention of an artist, or derive a social discourse of their society. Throughout the process, artist and objet grow, get healed, or represent on practical social issues. Art lvorks cited on this thesis prove those roles and therefore suggest a meaning and possibility of participative arl form of various styles. Participative art form not only works as a method or attitude of an artist but also represents its objet. Therefore, the analysis of an artwork conveys the awareness of subject and objet and reveals lhe socio-cultural context of a society. The thesis aims to verify the method on horv the participative form achieves a social practice through private and ordinary story of an individual.

비고 : MMA-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