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융(C.G Jung)의 개성화 과정을 통해 바라본 예술가 뷔욕에 관한 연구
  • 저자명|박사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칼 융 ; 개성화 ; 자기실현 ; 예술 ; 뷔욕 ; 무의식 ; 의식화 ; 도(道) 사상 ; Jung ; individuation ; self-realization ; art ; Bjork ; consciousness ; unconsciousness ; Tao(道)

국문초록

융(C.G Jung)의 개성화 과정을 통해 바라본 예술가 뷔욕(Bjork)에 관한 연구\r\n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누구에게나 자기실현, 즉 전체정신을 실현하여 본연의 자기의 모습을 갖고자 하는 원동력이 무의식에 존재한다. 분석심리학자 칼 융은 개인이 본래 지니고 있는 정신을 온전히 발휘하여, 무의식에 잠재된 정신활동의 무한한 가능성의 실현을 통해 한 개인의 개성이 발현됨을 주장한다. 융은 인간의 마음을 단지 물리적인 과정으로 보지 않고 한 개인이 자기를 실현해가는 유기체 적 존재로 간주하였으며 개성화 과정의 논의는 궁극적으로 본래의 자기를 찾는 과정으로 보았다. 그러나 무의식을 의식화를 하는 일은 자아의 의식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는 작업이며 사회화를 통해 다양한 페르소나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본래의 나의 실체, 즉 본연의 나를 만나게 되는 기회는 흔치 않다.\r\n나라는 존재의 의미 그리고 나아가 세계와의 관계는 온전히 과학적이고 논리 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 그러나 인간의 무의식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하는 예술가 의 작품 창작활동과 작품은 인간의 깊은 심연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앎을 더해주 는 매개적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무의식을 의식화 하고 개성화시 키는 인간의 과정에 대하여 예술가들의 예술 창작 활동에 주목한다. 또한 이는 관객들에게 자기 자신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줌으로 자 기 인식을 통해 본연의 자기의 모습으로 나아가는 디딤돌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r\n본 논문에서는 예술 활동의 창조적 행위가 한 예술가의 내적인 정신세계를 표 현하는 인간의 욕구 표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바라본다. 이에 본고는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 중 한 인간의 자기실현을 의미하는 개성화 과정이 예술가 뷔욕 이라는 한 인간의 작품과 그 창조 과정에서 내용적 형식적으로 그 특징들이 어떻게 시각화 되는지 분석해봄으로써 뷔욕이라는 예술가와 그 작품을 더 깊이 바 라보고자 한다.\r\n자신의 내적 감정 세계를 작품에 표현하는 뷔욕의 예술 작품은 그 내용적 특 징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갖는 내면의 양면성인 대극의 통합을 이루고자 한다는 점이다. 뷔욕은 자기 안에 존재하는 양극의 감정들이 인간이라면 모두 갖는 하나 의 자연스러운 감정이며 이 모든 감정을 인지하고 받아들여 통합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강조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담은 작품을 보여주는 것이 자신이 예 술가로서 해야 하는 일이라 밝혔다. 이와 같이 자기 내면의 감정의 관한 철학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드러내는 과정에서 뷔욕은 이러한 양극의 감정들에 관해 단지 표면적인 표현이 아닌 본인 내면의 진정한 통합으로써 온전한 자기의 모습 을 드러내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뷔욕의 예술 창작 과정과 그 작품 에 개성화 과정을 지향해 나아가는 모습으로 녹아 있다.\r\n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뷔욕 작품에서 시각화되어 표현되는 형식적인 특 징은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거의 모든 작품에 소재이자 주제로 다루면서 뷔욕만 의 개성이 담긴 작품으로 이끌어나가는 중요한 매체로써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다. 특히 자신의 신체를 대자연의 일부이자 하나인 모습으로 그리는 점은 뷔욕 작품을 설명할 때 독특한 특징 중의 하나로 융이 개성화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 로 지향하고자 했던 동양의 도(道) 사상 중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 것은 뷔욕을 주체로 보았을 때 객체인 대자연 즉, 세상과의 관계를 하나이자 일 부로써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r\n따라서 본 연구는 한 인간을 표현하는 예술가로서 뷔욕을 바라보며 작가 내 면의 자기실현 성장 과정 즉, 개성화 과정의 그 내용적 특징이 뷔욕 작품에 어떻 게 시각화되어 드러나는지에 대해 분석함으로 예술가 뷔욕과 그 작품들을 보다 깊이 있게 바라보는 하나의 단초가 되기를 희망한다.

영문초록

All men has the whole spirit of the original driving force behind them to realize full spirit of the original self-realization in the bottom of unconsciousness. Swiss psychologist Carl Jung’s analytical psychology claims that humans have to demonstrate their original mentality by embodying infinite potentials of mental activities from unconsciousness.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original spirit for a person to become whole the individuality is expressed which is called Individuation. Jung considered humans mind as organic being to have processes for an individual self-realization. ‘Self-realization’ indicates harmonious and mature state that is achieved by an integr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discussion about process of individuation ultimately seeks for finding one’s own true nature. But, to raise and face the unconsciousness the ego needs to be accompanied by conscious effort of work because we are socialized through living in the guise of various personas and this makes rare opportunity to meet one’s true nature.\r\nThe meaning of one’s existence, and further 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s can’t be explained fully through scientifically or logically. However, a symbolic expression of the unconscious work of an artist who works with creative activities could be intermediation to see profound abyss of human. With this point this study pay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art process by artists. It also allows the audience to look at themselves to provide time for reflection and through this process of art work by artist could be the stepping-stone for one’s self-realization. In this study point of view, the creative act of artistic activity of an artist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desire to express the inner world of human spirit.\r\nBjork’s artworks have features that expresses one’s own inner world of feelings which anyone with a human to become whole as original by integrating both opposite sides of the inner emotions. Bjork stresses that to have opposite side of our emotion in one’s mind is natural feeling of human and it’s important to recognize and integrate this opposite side of our emotion. With this content she also claims that as an artist it’s her job to show this process to audience, which contains of human emotions.\r\nThus the inner opposite feelings of self-emotion are expressed through artwork on Bjork’s philosophy. She is trying to achieve an inner self as truly integrated as a whole of a radical change rather than superficial change to reveal one’s own original spirit. This process of Bjork’s artistic creation could be seen as part of the individuation process.By looking through Bjork’s work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e most unique side of her work are distinctly features that artist itself is the subject and part of the work with her own body image, within this visualization most of her work image are dealing with her own body image as leading material or subject that the artist itself is being treated as a living work which is an important medium.\r\nIn particular, Bjork describes her body as part of the Mother Nature or as oneness. This is a distinctive part of her work that features uniqueness and could be explain to Eastern Tao(道) of thought especially between humans and nature relationship which individual and the whole of creation is connected to one another as oneness. This point of view is also Jung’s ultimate oriented thought through Individuation process.\r\nTherefore, through Jung’s analytical psychology theory of human self-realization, this study analysis about artist Bjork and her artworks and the creative feature that contains individuation process that how this contents are formed to visualize. And through this study hope that has provided more in–depth guide for view the artist Bjork and her artworks.

비고 : MMA-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