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 루쉬(Jean Rouch)의 다큐멘터리에서 드러나는 초현실주의: 자동기술법과 참여적 민족지학을 중심으로
  • 저자명|권현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다큐멘터리 ; 초현실주의 ; 장 루쉬 ; 자동기술법 ; 공유된 인류학 ; 시네마 베리테 ; 시네-트랜스 ; documentary ; surrealism ; Jean Rouch ; automatism ; shared anthropology ; cinema-verite ; cine transe

국문초록

실재하는 현실을 토대로 있는 그대로의 삶을 전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영화가 ' 다큐멘터리'라는 용어로 처음 불리기 시작한 1926년부터 다큐멘터리의 개념과 표현 방식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발전하며 변화해 왔다.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삶을 통 하여 그 속에 존재하는 진실을 찾아 드러내고자 한 신념은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주 제의 수많은 다큐멘터리가 제작되면서도 결코 변하지 않고 지속됨으로 다큐멘터리의 고유한 특성으로 자리 잡았다.\r\n다큐멘터리와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초현실주의는 사실을 바탕으로 현실의 모습을 통한 진실을 추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다큐멘터리와는 상반되게 무의식, 꿈 등의 정신적 세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1924년 <제1차 초현실주의 선언>을 통하여 공식화된 초현실주의 운동은 이성에 의하여 억눌린 의식을 자유롭게 해방시켜 억압 된 무의식의 세계를 밖으로 표출하여 표현함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려 하였다. 이는 초현실주의자들은 이성적인 판단에서 벗어나 의식이 자유로워지면서 현실을 초 월하게 되었을 때에 진정한 현실에 이를 수 있으며, 그 안에 숨겨진 진실을 찾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r\n\r\n이처럼, 다큐멘터리는 있는 사실을 바탕으로, 초현실주의는 무의식의 세계를 통하 여 현실의 모습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외적인 개념과 표현 방식에서 서로 차이를 보 이는 듯하다. 하지만, 다큐멘터리와 초현실주의가 존재하는 사실과 억압된 무의식의 세계를 통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현실 속에 존재하는 진실을 찾아 드러내는 것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r\n그렇다면 '진실 찾기'라는 같은 목적을 가진 현실의 표현, 다큐멘터리와 무의식 세 계의 표현, 초현실주의는 서로 연결될 수 있지 않을까? 본 논문은 이 한 문장의 질 문에서부터 출발하여, 캐서린 러셀(Catherine Russell)이 장 루쉬(Jean Rouch)의 고 유한 민족지학 연구 방식과 영화적 특성이 초현실주의 미학을 입증하는 역할을 하였 다고 주장한 것을 길라잡이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러셀의 주장을 바탕으 로 장 루쉬의 민족지학적 관점과 그의 영화적 방법론을 분석함으로 다큐멘터리와 초 현실주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r\n장 루쉬는 기존에 존재하는 픽션과 논픽션, 사실과 환상, 현실과 초현실에 대한 개념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특한 감성을 통하여 민족지학 연구에 임하였으며, 더욱 효과적인 연구를 위하여 영화라는 매체를 사용하였다. 루쉬는 연구 대상자와의 진정한 소통을 통한 민족지학 연구와 영화제작을 중요시하였으며, 그의 철학은 루쉬 만의 고유한 연구방식이자 영화적 방법론인 '공유된 인류학(shared anthropology)', '시네마 베리테(cinema-verite)', '시네-트랜스(cine-transe)' 등을 통하여 드러난다. 루쉬의 영화적 방법론은 '카메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카메라는 그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루쉬가 카메 라는 소통의 장애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자극하는 매개체이며,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영화적 현실에서 숨겨진 진실이 드러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루쉬의 영화적 관점은 아프리카에 존재하는 고유한 문화적 특성과 결 합하며 루쉬만의 독특한 초현실주의적 감성을 표출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r\n초현실주의자들이 이성의 통제에서 벗어나 억눌린 의식에게 자유를 주고 무의식의 세계를 탐방함으로 내면에 감추어진 모습을 표출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루쉬는 카 메라를 통하여 현실의 모습을 자극함으로 카메라 앞에 선 촬영 대상자들로 하여금 자신도 인식하지 못한 내면의 모습이 드러나며 그 안에 숨겨진 진실이 드러날 수 있 을 것이라 믿었다. 본 논문에서 루쉬의 영화적 방법론을 통하여 정리한 다큐멘터리 와 초현실주의의 연결점은 현실을 더욱 현실적으로 보게 함으로 드러나는 진실 찾기 에 있다. 실재하는 현실에 카메라를 위치함으로 새로운 현실, 즉 카메라에 의하여 만들어진 영화적 현실 안에서 억압된 내면의 세계를 표출시킴으로 현실 속의 보이지 않는 진실을 영화적 가수(假睡) 상태(film-trance)에 빠지며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 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영문초록

The method by which the documentary expresses reality has progressed and changed with the times since the term documentary was first used to describe films that focus on actual reality in 1926. Although large variety of documentaries have been produced over the years, the strong conviction to reveal the truth behind our ordinary lives has never been replaced. In fact, it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 documentary film.\r\nContrary to the documentary, which aims to deliver the truth based on actual reality, surrealism, which arose within the same time period as documentary filmmaking, focuses on the mental world, such as the unconscious or dreams. The surrealism movement was made official through "The First Surrealist Manifesto" in 1924. It tried to create a novel role of the arts as expressing the repressed unconscious, which is under the control of rationality. Surrealist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concealed truth when it reaches the veritable reality, as consciousness escapes from rational thinking and becomes free to surpass actuality.\r\nTherefore, the external concepts of documentary and surrealism, based on actual fact and the unconscious respectively, seem to be different. However, these two opposing ideas pursue the same aim to expose the truth, which can be found in veritable reality.\r\nAs documentary and surrealism have the same target, 'to recover the truth', can they connect to each other even though one focuses on reality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unconscious? This study started at this question and developed from Catherine Russell's opinion about Jean Rouch's unique ethnographic studies and filmic point of view, which she said led his work into surrealistic esthetics. This thesis analysed Jean Rouch's ethnographic perspective and filmic methodologies to determine a connection between documentary and surrealism.\r\nJean Rouch fully engaged himself in enthnographic studies with his distinctive sensibilities and used the medium of film for more effective research. He broke the existing notions of fiction and non-fiction, real and surreal, and fact and imaginar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in the study for both enthnographic study and film making. His philosophy emerged along with his unique way of study and filmic methodologies, which are 'shared anthropology', 'cinema-verite' and 'cine-trans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Rouch's methodologies revolved around the 'camera'. The came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 elements for his methods. Rouch said that the camera is not an obstacle to communication, but that it works as a medium that stimulates the situation to reveal the truth in the reality newly formed by the camera. His distinctive perspective certainly contributed to the demonstration of his unique surrealistic sensibilities.\r\nAs surrealists tried to present the veiled inner mind by visiting the unconscious to give the suppressed conscious freedom, Rouch believed that he could discover the unseeable truth by exciting the situation with his camera and provoking the filmic reality, where the subjects could show their inner thoughts without awareness. When the camera was located in the actual reality, the filmic reality could be formed and in the new world, the pent-up inner conflicts would be exposed. Thus, this moment spurred the invisible truth by film-trance. The connecting factor of the documentary and surrealism can be found in their search for the truth, which leads to the more realistic disclosure of reality.

비고 : MMA-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