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디어 공연 예술의 형식적 실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연구
  • 저자명|김형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9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스크린 미디어, 디스플레이, 미디어퍼포먼스, 지각의 확장, 설치미술, 개념미술, 총체예술, 중세 제단화, 미래주의, 바우하우스, 대상화, 재매개화, 스탠드 얼론, 스크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국문초록

급변하는 미디어 패러다임에 따라, 현대의 예술적 표현 방법 또한 피동적 관객을 위한 무대제공에서 참여자 능동형의 지각적 확장과정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전자적 혹은 광학적 장치에 근거한 디스플레이가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가운데 구체화된다. 우리가 흔히 언급하는 미디어 아트라는 예술적 현상은 바로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며, 예술적 표현방법 면에서 이전의 역사와의 연속성과 단절 모두를 드러낸다.\r\n 본 연구는 스크린 미디어가 포함된 과거의 예술표현 사례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미디어 아트라는 분류의 테두리 안에서 공연/퍼포먼스의 형식적 실험을 관찰하며, 연관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스크린 미디어를 통한 예술표현 형식의 역사적 연속성 및 자의적 특징들을 살펴보는데 있다.\r\n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r\n 먼저 이론적 고찰을 위해 스크린 미디어라는 용어를 기술적 정의를 통해 구체화시키며, 정보의 교환방식 면에서 대별되는 특징들을 총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크린 미디어의 특징 중 가장 명료한 부분을 공간적인 연속성에 대한 단절로 보고 미디어 퍼포먼스의 근원을 중세의 제단화에서 찾았다. 중세의 제단의 특징은 퍼포먼스의 특징을 그대로 지님과 동시에 합목적적인 가변형의 프레임을 통해 가상의 공간을 구현하려는 데에 있다. 이의 영향은 현대의 설치미술과 공연예술의 스크린 미디어 사용목적과도 부합하며 이의 형식적 특징 또한 원형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n 두 번째로 스크린 미디어가 예술적 표현도구로서 자체적인 발전을 의도했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현대의 퍼포먼스의 역사에서 어떻게 스크린 미디어가 차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이는 개념예술의 전통과 총체예술에 대한 시도로 보고 이에 해당하는 사례를 미래주의와 개념예술 그리고 바우하우스나 어느 쪽 집단에도 소속되지 않는 프레드릭 키슬러 등을 통해 검증해 보았다.\r\n 결론에서는 위와 같은 스크린 미디어 퍼포먼스에 대한 고찰에서 드러난 독특한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시각적 기법 면에서 반복, 확대, 입체, 원근, 대비, 대상화/재매개화의 6가지로 종합하고, 음악가 탄둔 등 다원적 구성을 갖는 현대 작업의 사례를 통해 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스탠드 얼론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여 스크린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이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문초록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media paradigm, the aesthetic literacy has changed into participant- selective perception from a spectator-centered proscenium. Because the purposes of past media artresearch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the present situation, it does not give inspiration to media art producers in practical production or the researchers who want to like the notion between traditional art expression and screen media in new media art. So the historical approach of what we see and how we use screen media will be useful for researching current aesthetic media literacy.\r\n\r\nThis paper’s objectives are as following :\r\n\r\n1. Trace the usage of screen media in art area to its origins.\r\n\r\n2. Analyze the historical facts and implications belonging to Media Art Performance and its formalism.\r\n\r\n3. Provide an original theorem of communication in mediated environment with visual screen processing.\r\n\r\n In order to achieve those objectives, term on screen media are redefined with the concept of expansion of human perception and spatial continuance. New definitions infer the relation between new screen media and altarpieces in Romanesque and Gothic in Northern Europe.\r\n\r\n The result provide the implications of screen media art through conceptual media, so called, a performance and interactive language of screen media its own. Therefore, this paper also covers historical ceses; for example, Futurism, Conceptualism as well as Bauhaus and the forerunners who have been considered outsiders.\r\n\r\n Going a step further, an original video work that was inspired from the movie and novel “Fight Club” is explored. It is composed of 6 different language of screen media, that I suggest as a whole from applying the above theoretical studies in the art works.

비고 : MMA-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