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분석과 개발 : 전통문화콘텐츠와 조선코리아 모바일 웹사이트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명|강한마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문화기호학, 문화콘텐츠 분석, 문화콘텐츠 개발, 전통문화, 조선코리아, 의미생성 모델, 기호학적 사각형, 의미작용 모델

국문초록

21세기는 글로벌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향유하고 소비하는 시대로, 문화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한국 역시 문화산업의 토대가 되는 문화콘텐츠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한국의 문화콘텐츠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주로 산업과 경제논리에만 치중한 나머지, 문화콘텐츠 안에 문화원형의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채, 겉모습만 한국문화인 대중문화콘텐츠를 양산해내기도 하였다. 더욱 큰 문제는 상업화된 대중문화콘텐츠 외에 한국의 독창적인 정신문화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양질의 고급 문화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과 보편성이 담긴 생명력 있는 문화콘텐츠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r\n 한국의 고유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이제 산업과 경제논리가 아닌 인간이 창조한 문화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인문학적 기반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인문학적 기반에서 문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개발할 수 있는 도구 중의 하나가 바로 ‘문화기호학’이다. 문화기호학은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문화기호로 인식하여 핵심적 문화코드를 해석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과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문화콘텐츠의 분석과 개발에 유용한 인문학적 방법론이 될 수 있다.\r\n 이에 본 연구는 그레마스와 바르트의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전통문화콘텐츠 사례를 분석하고, 조선코리아 모바일 웹사이트의 기획과 개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전통문화콘텐츠의 사례를 분석하고 문화콘텐츠 개발의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이 문화콘텐츠 분석과 개발에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화적 가치가 담긴 ‘조선코리아 모바일 웹사이트’를 실제 기획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주목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r\n 연구 결과 전통문화콘텐츠 사례 분석에서는, 의미생성 모델을 통해 택견을, 기호학적 사각형을 이용하여 취화선을, 의미작용 모델을 활용하여 문자도를 분석하고, 멀티미디어 기반의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이 문화적 정체성과 보편성이 담긴 문화콘텐츠를 분석하고 개발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 도구임을 확인함으로써,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체계 정립에 기여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자가 진행 중인 조선코리아 모바일 웹사이트를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핵심 문화코드와 가치를 추출하고 컨셉 설계를 함으로써,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보편성이 담긴 멀티미디어 문화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양한 기호학적 접근 방법론과 응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고,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의 유용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r\n 지금까지 살펴본 문화기호학의 인문학적 방법론으로서의 유용성과 가치는, 한국문화의 정체성과 세계문화의 보편성이 담긴 양질의 전통문화콘텐츠 기획과 개발을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초록

In the 21th century, the cultural industry has been rapidly emerging around the world because we enjoy and consume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global media in our daily lives. To keep pace with these times, Korea began to activate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which is the foundation of cultural industries. But Korea mainly focused on industrial and economic interests. As a result they had tendency to churn out the shallow contents of Korean pop culture without properly implementing the authentic value of Korean culture. It is even bigger problem that we haven't enough developed our high quality cultural contents which let the world know the Korean spiritual culture. Thus, Korean cultural contents containing Korean identity and universality urgently need to be developed. \r\n Now the development of Korean creative cultural contents should be made not on a economic perspective but on humanities basis which is foundation for creating a culture. One way of the tools of the humanities is ‘cultural semiotics’ that makes cultural contents analyze and develop effectively. Cultural semiotic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useful methodology to analyze and develope cultural contents. This is because it helps us analyze our cultural identity and universality as it considers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as culture symbol and then interpret our critical culture cod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o analyze the cas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look at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OSŎNKOREA Mobile Website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Greimas’ and Barthes’ cultural semiotics. In other word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emiotics is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to analyze and develope cultural contents by analyzing the cases of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by making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plann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OSŎNKOREA Mobile Website containing the Korean cultural value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emiotics\r\n In conclusion, the case study analysis of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presents development practices of multimedia-based cultural contents such as ‘Taekgyeon’ applying ‘the Generative Model of Signification’, ‘Chwihwaseon’ applying ‘Semiotic Square’, and ‘Munjado’ applying ‘Signification Model’. Through these applying,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emiotic shows one way of the most useful analytical tools to analyze and develope the cultural contents containing cultural identity and universality. And this makes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emiotics contribute to establish the universal and objective analysis system. Next, ‘CHOSŎNKOREA Mobile Website’ project that the researcher has been participating as the director is developed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cultural semiotics. This is enable us to extract the core cultural codes and value and to design the concept. Furthermo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rocess of planning and developing multimedia content containing the identity and universality of Korea culture. It is hoped that this attempt would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analyz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비고 : MMA-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