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의 TV쇼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내러티브와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관계성 연구 -한국 방송 환경의 미디어 시공간구축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명|이지용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

국문초록

맥루한이 지적한 ‘시청각의 시대’, 즉 구어 중심으로 회귀한 내러티브의 시대에서 가장 거대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텔레비전 방송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도구들과 접합하면서 끊임없이 내러티브의 방식을 진화시키고 있다. 철저히 일방향적인 스토리텔링을 고수했던 텔레비전 방송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진화를 기반으로 등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활용과 함께 변혁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는데, 이는 시청자가 TV 프로그램의 내러티브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단계에 이르게 했다.\r\n뿐만 아니라,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방송 스튜디오에 전면적으로 등장하면서, 고정된 이미지와 조명에 의존했던 기존의 방송 무대에 디지털 이미지를 통한 유동성을 부여했는데, 이는 물리적 공간에 가상의 이미지를 덧입히며 시공간의 확장을 실현하게 했다.\r\n 이 논문에서는 전반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방송환경과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뤄질 연구 문제와 목표의 커다란 두 축은 첫째,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발전이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 내러티브 전반에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게 하는지, 다시 말해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시청자에게 제공한 ‘소통 의 통로’로의 역할에 대한 고찰이고, 둘째,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방송 스튜디오 무대에 중심적 역할을 하면서 방송 구성과 내러티브가 어떤 변화를 맞이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r\n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발전은 시청자와 제작자 간의 상호적 커뮤니케이션에 변화를 주었는데, 이는 지난 90년대까지 TV 앞에\r\n수동적으로 존재했던 시청자가 TV 안으로 개입하게 했고, TV 프로그램 제작자로 하여금 이에 맞는 포맷과 방송 내러티브를 창출하게 했다. 더불어 ‘시청자’라는 단어가 방송 환경에서 점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방송 내러티브의 한 부분으로 등장하는 등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방송환경의 발전은 급기야 시청자를 방송 내러티브에 전면적으로 등장시켰으며, 이는 방송 콘텐츠의 새로운 포맷 등장으로 이어졌다.\r\n 이러한 변화와 함께, 이전에는 카메라와 출연자, 그리고 이야기를 보조하는 의상 및 패널 등의 소품이 방송 영상을 이끌어나가는 요소였다면, 이제는 보다 진보한 형태의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방송 영상에 적극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방송 내러티브에서 시청자와 제작자 간의 상호커뮤니케이션이 콘텐츠의 일부에서 작용했다면, 보다 진보한 형태의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마노비치가 주창한 ‘실시간 스크린’의 형태로 방송 스튜디오에 적극적으로 등장했다. 이러한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진화와 함께 현재 쇼 프로그램은 무대 세트 구성 등의 물리적 요소는 물론, 방송의 전반적인 내러티브 전달방식까지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영향을 받고 있다.\r\n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발전은 방송 내러티브를 두 가지 관점으로 변화시켰다. 첫째는 휴대가 용이해진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발전을 등에 업고 등장한 SNS를 창구 삼아, 시청자가 TV 방송 프로그램 내러티브 전반에 주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된 것이고, 둘째는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무대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쇼 프로그램에서는 물질적 시공간 확장을 이용한 내러티브 전개가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초기의 L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장식적 요소가 강했다면, 최근 방송에서 활용되는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고정되었던 방송 스튜디오에 유기성을 불어넣음으로 시공간을 확장시키는 한편, 프로그램의 내러티브를 이끌어나가는 주축의 역할을 하고 있고, 이는 쇼 프로그램 내러티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방송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다.\r\n 중요한 기술의 시대에는 언제나 그 시대의 지배적인 예술적 형태가 있다.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디지털 시대는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소통하는 형태가 흐름을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상상의 작업을 인지하고 앞으로 다가올 혁신에 대비해야 할 때를 이미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영문초록

'The era of convergence' that McLuhan discussed, where TV broadcastings compromise a large portion of the era of narrative of n대-colloquialism, is making changes the way of narrative as it combines with the fast changing technology.\r\nThe conventional TV programs that had held on one-way story telling came to the revolutionary change by utilizing with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screen interface of smart phone, and tablet PC; it made audiences actively participate on narrative of programs. Moreover, since screen interface emerges\r\nin broadcasting studios, it provided flexibility of studio components, which was fixed by still images and lights. This study look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era of broadcasting and screen interface.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dvanced screen interface make audiences participate in broadcasting narrative: study of 'passage of communication' that screen interface made.\r\nSecondly objective is to investigate how broadcasting structure and narratives has changed as screen interface technology takes parts as an important role.\r\n\r\n Development of screen interface changed the way of broadcasting into two-way-communication, as audiences actively participate in broadcasting that was not possible until late 90's, and it created new format and narrative. Also, it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s and producers as the term 'audience'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oday's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it leaded emergence of new format of broadcasting contents.\r\n\r\n These changes made the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broadcasting; it was mainly camera, actor, and props that help and lead the story before, but now the advanced screen interface actively takes parts in the components of broadcasting. As opposed to the fact that two-way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 affected only few part of contents, advanced screen interface takes a large portion of broadcasting studio in the form of 'Real-time Screen' that Manovich defined. By that mean, show programs have been generally affected by screen interface on physical components like stage structure and components but also the way of narrative communication.\r\n\r\n Advance in screen interface and the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evolved broadcasting narrative in two ways. First, by development of SNS from the advanced portable devices, audience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element into TV program narrative. Secondly, it expanded space and time of broadcasting environment by actively using the screen interface. Screen interface worked mostly as an ornamental factor, using LED display at the beginning, but recently it is expanding the studio by providing fluidity to the broadcasting stage. Furthermore, screen interface becomes an essential role as it leads the program narrative and it creates new standards of broadcasting.\r\n\r\n Era of new technology always has its dominant form of art. In this Digital Era there will be a form where people communicate contents via screen interface. Now we are facing the time that we should prepare the revolutionary change.

비고 : MMA-1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