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비디오 설치에서의 스크린 구성방식에 따른 관객성에 대한 연구 - 더글라스 고든과 더그 에이트킨의 작품을 중심으로 -
  • 저자명|박선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더글라스 고든, 더그 에이트킨, 비디오 설치, 비디오 아트, 스크린, 장치, 스크린 배치와 구성, 관객성, 설치 미술

국문초록

1970년대 초반 비디오 아트의 한 형식으로 출발하여 공연, 퍼포먼스, 조각 등 다양한 예술 영역과 융합, 확장되어온 비디오 설치는, 근래 영상장비와 디스플레이 환경의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라 새롭게 주목된다. 본 논문은 오늘날 기술의 발전을 통한 영상 장비와 디스플레이 환경의 변화로 인해 비디오 설치는 초기 비디오 설치와는 어떠한 다른 점들이 있는지, 또한 기술의 변화에 따른 관객성, 관객의 체험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출발한다. 또한, 비디오 설치 연구가 아직 1970-80년대 초기 비디오 설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논의에 머물거나 갤러리 영화 등 영화 중심 논의에 집중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비디오 설치의 현대적 맥락을 보다 최근 작업들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이를 위해 근래 다양한 스크린의 활용과 이를 통한 공간 구성을 통해 관객성을 실험하는 더글라스 고든과 더그 에이트킨을 본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선정한다. 고든과 에이트킨은 초기 비디오 설치작업에서 나타나던 매체성과 공간성 그리고 그에 따른 관객성에 대하여 이들 작업이 그 맥락을 현대화 시키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r\n 먼저 본 논문은 비디오 설치 작업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어지는 비디오의 투사 및 재현 상식 즉, 비디오 장치(apparatus)와 장치의 역사 그리고 비디오 설치 스크린의 조각적 특성과 관객성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서 고든의 비디오 설치 작업들이 조각, 영화, 비디오등의 혼성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음을 살핀다. 고든의 비디오 설치에서의 스크린은 공중에 떠있거나, 이중, 혹은 비스듬히 설치된 스크린 등 스크린 자체가 설치 오브제로서 기능하고 구성 배치되는 방식에 주목한다. 때로는 미니멀리즘적 조각성을 가지는 이 스크린은 관객들이 그 주위를 배회하며 ‘지금 여기’를 현상학적으로 경험하도록 이끌기도 하고, 스크린과 물리적으로 근접하도록 허용하여 영화 관객이 경험할 수 없는 자율성을 가지게도 허락한다. 또한 관객은 스크린 위에 비춰진 자신의 그림자를 통해 비디오 장치에 대하여 인식하고 관객성을 발견토록 유도된다. 에이트킨의 비디오 설치 작업들도 마찬가지로 조각, 영화, 비디오 더 나아가 건축적 특성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살핀다. 에이트킨은 적극적으로 스크린을 활용하여 스크린으로 방을 만들거나 하나의 공간을 완성시킨다. 그로 인해 관객은 작품을 관람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 아닌 하나의 공간에서 보다 심리적이며 감각적이고 현상학적 경험에 기반을 둔 육체적인 경험을 하고 있다고 느낀다. \r\n 본 연구는 더글라스 고든과 더그 에이트킨의 연구를 통해 스크린의 활용과 배치, 장치적 접근 등 형식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현대 비디오 설치 작업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고 비디오 설치적 맥락에서 세분화 시켜 관객성을 바라보며, 비디오 설치작업의 특수성과 비디오 설치가 어떻게 확장되고 발전되어가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Video installation, which appeared as a sub-form of video art in the 1970s, has expanded by merging with performance art, sculpture and other art forms. As technology develops, media equipment and display environments evolve to change the landscape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ifferences between early video installation and contemporary video instal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equipment and display environments.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evolution of the spectator’s experience as technology advances. Since most of the theoretical studies of video installation still focus on the early days of video installation or its cinematic aspect such as 'gallery film',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context of video installation through selected works of Douglas Gordon and Doug Aitken, who uses video installation through their experimentation of screen placements and spectatorship. Both Gordon and Aitken’s installation work modernized the context of medium, spatiality and its spectatorship.\r\n \r\n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the video apparatus, the history of the apparatus in cinema, sculptural quality of video installation and its spectatorship. Also,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Gordon's video installations, which encompass the hybridization of sculpture, film, and video. Gordon places screens in variety ways: screens suspended in the air, multiple screens, or set in an oblique angle where the screens function as an object. Occasionally, in his installation, the screen(s) function as an object like minimalist sculpture allowing spectators to phenomenological experience the ‘here and now.’ In this case the spectators move around the screen space and creating autonomy for spectators by allowing physical proximity to the screen. Moreover, the screen allows spectators to recognize the apparatus of video installation as they become aware of their shadow on the screen. While it is possible to project in high quality as projection apparatus develops, Gordon utilizes the immensity of the screen frequently creating a psychological experience for the spectator surrounded by and immersed in Gordon’s images. Likewise, this study will look through Aitken’s video installation which includes the quality of sculpture, cinema, video, and architecture. Aitken makes a room or a space by actively using screens. Therefore, the spectator feels rather than just sees an artwork. The experience evokes a psychological, sensual, and physical reac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experience in a space.\r\n \r\n By examining Douglas Gordon and Doug Aitken’s use of screen placement, apparatus and more, it expanded knowledge of the formal aspects of video installation. Moreover, The study looks into video installation with various and segmented spectatorship and how they are being expanded and developed.\r\n\r\n\r\n\r\nKey words : Douglas Gordon, Doug Aitken, video installation, video art, screen, apparatus, screen placement, spectatorship, installation art

비고 : MMA-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