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A Study on Use of Screen Interface for Visual and Performing Arts - Focusing on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
  • 저자명|Jae Eun Chung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screen interface, visual arts, performing arts, festival, art and technology

국문초록

기술의 발전과 함께 21세기에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활용과 확장이 무한하게 펼쳐지면서 우리의 일상 생활과 문화예술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의 형식과 내용이 스크린 인터페이스에서 구현되고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예술의 형식과 내용 역시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시대적 조류라고 볼 수 있다.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창의적 활용은 새로운 예술 형식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되면서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구현 능력은 예술과 문화전반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변형과 확장의 과정에서 창의적인 컨텐츠를 이끌어 내며, 예술과 기술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다양한 예술 장르의 융합,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조율, 예술을 통한 새로운 문화적 표현이 스크린 인터페이스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하겠다. 특히 시각예술과 공연예술에서의 다양한 스크린 인터페이스 구현에 대한 창의적 활용 능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객과의 다양한 소통 방식은 바로 이러한 문제와 직결된다. 따라서 예술과 기술간 상호 조율 방안에 관한 논의들은 늘 현재진행형이면서 동시에 미래진행형이라 하겠다. 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일상 생활 속에서 보편화되면서 예술과 기술의 다각적 조율, 즉 ‘새로운 만남’에 대한 관심은 예술과 문화를 넘어 창조산업의 주제가 되어 글로벌 주제로 논의되고 있다.\r\n2013년 8월에 개최된 ‘2013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EIF)’의 주제는 ‘예술과 기술’이었다. 예술과 기술을 별개의 개념으로 구분하지 않고 예술과 기술의 다양한 조율 방식을 예술로 풀어간 2013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에서는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만남을 대중과 호흡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이러한 예술과 기술의 융합의 주제에 부합되어 초청된 작품들을 통하여 사례분석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의미가 있는 일이었다. \r\n본 연구자는 EIF에 초청된 미디어아티스트 김형수 교수의 비쥬얼아트 분야 전시인 ‘미디어스킨: 디지털 만화경 (Media Skins: Digital Kaleidoscope)’과 와이맵(YMAP)의 연출, 안무가 김효진의 미디어 퍼포먼스 ‘마담 프리덤 (Madame Freedom)’을 2012년 9월 부터 2013년 9월까지 연구 수행한 연구자로써 EIF에 참여하여 현장 연구를 통해 실제적인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었고, 다양한 사례를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r\n본 연구의 목적은 창조산업의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는 에든버러 페스티벌의 가장 핵심 페스티벌인 ‘2013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을 통하여 ‘예술과 기술’의 새로운 만남에 대한 논의를 포괄하고 있다. 페스티벌의 주제인 ‘예술과 기술’에 대한 논의는 시각예술과 공연예술로 함축된다. 시각예술 분야에서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개념과 현재적 운용까지 포괄하는 주제를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백남준의 작품을 통해 주제를 부각시키고, 에든버러의 시내의 한 복판에서 전시된 김형수의 미디어스킨 작품을 통해 대중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현재적 의미를 부각시킨다. 이러한 시각예술과 공연예술에서의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연결지점을 확인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상 지금의 예술과 기술의 현재적 상황을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창의적 예술표현은 현재보다 미래로 향한다. 따라서 ‘2013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에서 보여졌던 예술 작품들은 현재의 상품화되고 표준화된 스크린 인터페이스 제품의 활용이 아니라 미래지향적인 변화와 확장을 도모하는 예술, 즉 스크린 인터페이스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을 통해 기존의 예술 영역을 점검하고 있다. \r\n60년이란 역사 속에서 페스티벌을 문화산업적 도구로 운용하여 세계적 성공을 이뤄낸 에든버러에서 ‘예술과 기술’을 주제로 페스티벌 콘텐츠를 구성했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일년 내내 열 두 개의 페스티벌이 열리는 ‘페스티벌의 도시’라고 불리며 매년 새로운 개념의 예술을 발표할 수 있는 문화예술 도시이기 하지만 모든 페스티벌의 핵심이며 시초였던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EIF)은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예술상품만을 초청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보수적 기저가 흐르는 페스티벌에서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반의 새로운 물성을 활용하는 새로운 예술작품을 초청했다는 것의 의미는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도구적 물성의 비중이 그만큼 일반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사례분석에서 논의된 작품들은 변화하고 발전해가는 스크린 인터페이스의 도구적 물성의 특성들을 표출하고 있다고 본다. 예술적 실천을 통한 기술과의 만남은 새로운 컨텐츠를 가능하게 한다.

영문초록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emergence of technology, lives in the developed world transformed and is yet transforming rapidly everyday. Within this umbrella of technology there are many factors, however the notion of screen interface is rapidly developing and influencing our society’s creative realm and have encompassed almost every aspect of our lives. It is hard to believe that only a few decades ago, technology could only be found in science fiction books and film. These days, it is almost unfathomable how we once got through our daily tasks without a smartphone or tablet nearby, but this does not stop here. Screen interfaces are everywhere. Schools, homes, cars, restaurants, stores, and planes…it fills our lives in spaces public and private. As suc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ntents are implemented based on screen interfaces ergo continuously evolving. Like so, the current cultural art trend is heading its huge wave through the medium of screen interfaces. The creative uses of screen interface are directly and indirectly linked to the new art forms and its implementation capacities are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and area to investigate within art and culture. Art and technology these two terms converge through the expansions of screen interfaces with creative contents that are produced today. The balance between art and technology can be discussed through the synergy of various art contents and cultural expressions that are all conducted under the screen interface. Especially, it is no hyperbole to say that the significance of screen interfaces for creative utilization within visual and performing arts plays an imperative factor. Subsequently, the various delivery methods via screen interface are directly linked with issues of balanc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ultural art and the technology that is everlastingly developing. These issues at hand will definitely be an entity that needs to be discussed at present and progressively in the future. As long as technology is developing, screen interface is becoming more and more generalized and integrated within our daily lives. Thus this medium of art and technology effectively a ‘new convention’ is an up and coming controversy within the arts and creative industry and furthermore a global subject. \r\nThe main theme of the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held in August presented under the theme ‘art and technology’. The festival did not separate the two main themes of the art and the technology but implemented a platform for the public to experience the merging new genre of art and technology. Hence balancing the exhibits contents within this realm of the old and new. Intrinsically, carrying out a research on this plethora of art and technology through the exhibition and art pieces incorporating the technology has been consequential. \r\n As a participant researcher of two projects officially invited to the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Media Skins: Digital Kaleidoscope by media artist Hyung Su Kim and Madame Freedom a media performance by director and choreographer Hyo Jin Kim of YMAP. The researcher myself took part from September 2012 to September 2013. Thus carrying out this empirical research by attending the festival held in August 2013. This research includes an analysis and discussion based on the ‘art and technology’ seen through the lens of the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a festival that is significantly a promising role model of the creative cultural industry. The festivals reflection towards art and technology and its search for creative methods in presenting today's cultural direction on visual and performing arts and its innovative use of ‘screen interface’ are intertwined. Nevertheless, the realm of the creative arts is ultimately headed towards the future. Thus the artworks presented at the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were not creative products of today but a current towards the future leading development and approach for expanding our horizon for our subsequent future. Thus, through the use of screen interface the values and new objective perspectives are thoroughly investigated through this research. \r\nEdinburgh with a long history of 60 years has become a global engine for the cultural arts industry. It is thus fascinating to account the 2013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subjected towards ‘art and technology’. Edinburgh holds twelve consecutive festivals throughout the year, hence its epithet ‘city of festivals’. Consequently every year the city holds the privilege to introduce a new cultural platform to the public. However, being one of the first festivals within the city, the Edinburgh International Festival is renown to assemble more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artworks. Nonetheless, in the year 2013, with this conservative foundation, aptly inviting artworks that incorporate screen interface postulates that this is becoming more and more generalized within the art community. \r\nIn this research, one looks at each case study with an undercurrent of the developing and innovative uses of screen interface. When a purposeful innovative proceeding happens, where the arts and technology meet, it opens up a new capacity for the imagination.

비고 : MMA-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