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비디오 설치와 미디어 연극의 표현 방식에 대한 연구 : 비디오 장치와 연극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한다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비디오 설치, 미디어 연극, 연극성, 비디오 매체성, 포스트드라마, video installation, media theater, theatricality, video medium specificity, postdrama

국문초록

o 본 연구에서 다루는 비디오 설치와 미디어 연극은 비디오 장치를 주된 매체로 사용하면서 작품의 구성 및 설치적 맥락이 현대의 ‘연극성(theatricality)’을 내포하는 작품들을 가리킨다.
이 논문에서 ‘연극성’은 혼성적이고 탈경계적인 동시대 예술을 분석함에 있어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으로 접근된다. 이는 미디어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전통적인 예술 형식을 성찰, 탈피, 변주해온 과정 가운데 연극 담론에서 새로이 모색된 개념이다. 본 연구는 동시대 비디오 설치와 미디어 연극 작품들을 현대의 ‘연극성’을 통해 논의하기에 앞서, 전통적으로 지속되어 온 형식인 드라마 연극의 재현체계를 살펴보며 과거의 ‘연극성’은 오늘날의 논의와 어떠한 관점의 차이를 보이는가에 주목하였다. 나아가 과거 미술에서 미니멀리즘 조각, 비디오 장르를 통해 ‘연극성’이 논의되었던 점에 주목하여, 미술 담론에 도입된 ‘연극성’이 함의하는 바와 타 장르의 관점에서 ‘연극성’을 바라보는 인식이 어떠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미술에서 언급된 ‘연극성’은 60년대에 활성화된 것으로, 이는 여전히 전통적인 연극과 그것의 재현체계에 입각하여 인식되고 사용된 것이었다. 이러한 지점은 동시대의 혼성적인 예술 형식들을 다룸에 있어서 ‘연극성’이 주요한 개념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하는 본고의 주요한 문제인식으로 작용하였다. \r\n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미술에서 논의된 ‘연극성’을 60년대 비디오 매체의 도입으로부터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으로 파악하고, 동시대 예술의 확장적인 논의가 될 수 있는 근거를 찾고자 한다. 비디오 설치 장르는 표현의 주 수단인 비디오 장치로 인해 작품에 설정된 시간, 공간에 행위가 혼합되는 양상을 띠게 되고, 이로 인해 연극과 유사한 제반사항을 지니게 된다. 또한 비디오 설치 장르는 작품이 지닌 주제에 따라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밀접하게 고려하여 설치 메커니즘을 구축하며, 이때 작품은 관객이 경험할 상황 혹은 사건의 성격을 띤다. 본 연구자는 미술에 도입된 비디오 매체와 그로 인해 촉발된 변화들이 오늘날 ‘연극성’을 재규정하는 과정과 현대의 연극적 실천들과 맞닿아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그러나 비디오 설치와 연극 장르의 상호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는 초기 비디오 설치에 대한 논의 이후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미술과 연극, 과거와 현재에 따라 변모해온 ‘연극성’에 대한 이론적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현대적 개념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동시대적 관점으로 연장시켜 다시금 재고해보고자 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r\n본 논문은 변화된 연극성이 미디어 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모색되었음에 주목하고, 그 연극성이 지닌 포괄적인 개념의 가능성을 과거 미술의 비디오 설치에 대한 논의들로부터 파악하였다. 이에 상호매체적인 개념으로 수용한 현대의 연극성이 지닌 가능성과 대안을 탐구해 나가기 위하여 동일한 매체를 활용하는 동시대 비디오 설치와 미디어 연극작품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견주어보기를 시도한다. \r\n동시대 미술과 연극은 더욱 가속화된 미디어 기술 발전과 함께 그 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타 장르의 형식을 자유롭게 차용하며 다양한 실험들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부류의 작품들은 관객들에게 하나의 완성된 의미를 전달하지 않으며, 작품은 경험되지 않은 현실을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이로써 동시대 예술은 보다 관객의 직접적인 개입을 요구하며, 작품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무수히 생성되는 관객 개개인의 경험을 중시한다. 그 결과 전시/무대를 아우르는 동시대 예술은 장르에 한정된 규칙과 법칙성을 발견하고 체계화된 이론을 적용하기 보다는 각각의 작품이 예술적 소통을 위해 관객과 관계하는 방식과 조건들로 확장시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동일한 매체의 사용으로부터 예술적 실험의 맥락을 동반해 온 동시대 비디오 설치와 미디어 연극은 현대의 ‘연극성’을 통해 포괄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이를 더욱 심화시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에 앞서 상호매체적인 논의의 시도로서 사용된 ‘연극성’에 대한 초기의 맥락들을 비교하고, 그러한 논의를 현대의 관점에서 거시적인 관점으로 적용될 수 있는가를 재고찰 하였다는 지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이 던지는 질문이 동시대 비디오 설치와 미디어 연극이 장르의 경계를 넘어 작품을 통해 관객에게 넓은 사유의 기회와 다양한 형식의 작품들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길 희망한다.

영문초록

o The video installation and media theater discussed in this study refer to works that use video as a main medium and in which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xt connote the contemporary concept of ‘theatricality’. ‘Theatricality’ is an idea in theatrical discourse that emerged in the self-reflective process of the traditional art form that can be comprehensively applied in analyzing the hybridized, transboundary contemporary arts. Before discussing the video installations and media theater works with contemporary theatricality,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perspective on theatricality in the past was different from the one discussed today,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system of drama as a traditional form. Moreover,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atricality has been recognized in the discourse in fine art, particularly in minimalist sculpture and video, by comparing it with other genres of arts. The theatricality concept in the 60s, grounded on traditional theater and its representational system, is too narrow a concept in dealing with contemporary hybrid art forms. Thus finding a cognitive gap between the old theatricality and new theatricality has been one of the major focuses in this paper.\r\nFor this purpose, I find the introduction of video media in the 60s as the triggering factor for the ‘theatricality’ concept, and attempt to expand the discussion in contemporary arts. With a video device as a main means of expression, video installation shares a similar aspect with the theater in that it combines a set time, space and action. It builds an interactive mechanism between the audience and its theme, the installation itself creating the space or the situation for the audience experiences. I focus on how the introduction of video media and the changes made by it are closely connected with contemporary theatrical practices and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atricality’ today. However,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ideo installation and the theater are not as actively discussed as the previous studies on early video installa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look closely on the contemporary concept of ‘theatricality’ after going over the previous theoretical researches, extend it to contemporary perspectives, and reconsider this elusive term. \r\n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protean theatricality emerged in a new media environment, and applies discussions of the past video installation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broad concept of theatricality. To explore such possibilities, I analyze the exemplary cases and works of contemporary video installations and media theater works in comparison.\r\nContemporary art and theater actively adopts the rapidly changing media technologies as their the means of expression and borrows diverse formats from other genres to continue their experiments. These kind of works do not convey a complete meaning to the audience but provide an unexperienced reality as a simulated space. This requires more direct involvement of the audience and concerns each individual’s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the work. As a result, it is desired to expand the means and condi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 and each individual work, rather than finding limited rules and principles to apply systematized theory in contemporary art including exhibition/stage for the artistic communications. Therefore, contemporary video installations and media theater can be comprehended with ‘theatricality’, in which both have used the same media and experiment, and it leads to the conclusion of finding contemporary theatricality in a deeper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paper would be the reconsideration of ‘theatricality’ in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by comparing the early contexts of theatricality which have been used for intermedial discussions. I hope that the discussion this thesis problematizes could help audiences understand various types of art work-how they can cross boundaries and genres-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video installations and media theater.

비고 : MMA-16-04